메뉴 건너뛰기

상반기 관객 수 4,200만 명대 예상
코로나 제외 2004년 이후 가장 적어
흥행 1위 ‘야당’ 관객 수는 337만 명
“할인 쿠폰 발행 여름 시장 반전 기대”
영화 '야당'은 관객 337만 명을 모으며 올해 상반기 흥행 1위를 차지했다.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 제공


올해 상반기 극장 관객 수가 21년 만에 최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객 급감 추세가 지속된다면 연간 관객 1억 명대 역시 21년 만에 붕괴될 가능성이 크다.

23일 영화진흥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전날까지 올해 극장을 찾은 관객 수는 4,073만 명이다. 최근 1주일 관객(142만 명)을 감안했을 때 6월 말까지 추가될 관객은 152만 명 남짓으로 추정된다. 이변이 없는 한 올 상반기 관객은 4,200만 명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직후보다 못한 관객 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상반기 외화 흥행 1위에 올랐으나 모은 관객은 330만 명에 불과하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상반기 관객 4,200만 명대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2020, 2021년)을 제외하고 2004년(2,182만 명)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감염병 유행이라는 긴 터널을 막 빠져나오던 2022년 상반기 관객이 4,492만 명이었다. 올 상반기 관객 성적표는 코로나19 직후보다 못한 셈이다. 2022년 최종 관객 수는 1억1,280만 명이었으나 ‘코로나 후유증’을 이겨내지 못한 흥행 결과라는 평이 따랐다. 지난해 상반기 관객 수는 6,293만 명이었다(지난해 전체 관객은 1억2,312만 명).



극장 관객 감소는 올해 흥행 1위 영화의 성적표에서도 알 수 있다. 상반기 가장 많은 관객을 모은 영화는 ‘야당’으로 337만 명이었다. 지난해 흥행 7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전체 2위이자 외화 1위인 ‘미션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은 330만 명에 불과했다. 지난해 상반기 흥행 1위는 ‘파묘’로 1,191만 명을 모았다.

상반기 흥행 부진이 하반기로 이어진다면 연간 관객 1억 명대가 무너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극장 관객은 2005년(1억2,330만 명) 처음으로 1억 명을 돌파한 후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을 제외하면 1억 명 이상을 유지해왔다. 2013년(2억1,335만 명) 관객 2억 명 시대를 열었고, 2019년 역대 최대 관객(2억2,667만 명)을 기록하기도 했다. 관객 1억 명은 한국 영화계의 심리적 마지노선이라 할 수 있다. 전국 스크린 수가 3,296개(2024년 기준)로 2005년(1,648개)보다 2배가량 많은 걸 감안하면 1억 명대 붕괴는 초비상 신호로 읽힌다.

내수 침체 극장가까지 덮쳐

'전지적 독자시점'은 마케팅비를 제외한 제작비만 300억 원(추정)이 들어간 영화로 다음 달 중순 개봉 예정이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최근 극장가의 극심한 불황은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강세로 관객이 감소한 상황에 지난해 12·3 계엄 사태 이후 지속된 내수 침체가 극장가까지 덮쳤다는 의견이 많다.

극심한 불황은 올해에만 그치지 않을 거라는 게 더 심각한 문제다. 극장가 안팎에서는 “내년이 더 걱정”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개봉을 미뤘던 ‘창고 영화’들이 다 소진된 가운데 새 영화 제작은 급감해서다.

극장가는 다음 달 말과 8월 초에 기대를 걸고 있다.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다음 달 중순 이후 ‘민생 회복 쿠폰’이 전 국민에게 두 차례까지 지급되고, 영화 할인 쿠폰 450만 장(271억 원 상당)이 발행되기 때문이다. 영화 할인 쿠폰은 국민 1인당 4회까지 쓸 수 있으며 1회당 6,000원 할인을 받는다.

민생 회복 쿠폰 지급과 영화 할인 쿠폰 발행 시점이 극장가 전통적 최고 성수기와 겹치는 점도 고무적이다. 한국 영화 기대작 ‘전지적 독자시점’과 ‘좀비 딸’ ‘악마가 이사 왔다’가 다음 달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잇달아 개봉한다. 할리우드 영화로는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과 ‘슈퍼맨’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이 개봉 대기 중이다. 황재현 CGV 전략지원담당은 “7월 말 8월 초 성수기에 흥행 불이 지펴질 것”이라며 “하반기 ‘아바타: 불과 재’ 등이 개봉 예정이라 한 해 관객 1억 명은 넘지 않을까 전망한다”고 기대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950 이 대통령 “탱크 한 대 없던 우리가 75년 만에 세계 10위 방산대국”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9 [속보] 김건희 특검, ‘공천개입’ 김영선, 김상민 자택 등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8 ‘입 벌리면 자동 사냥’… 러브버그 천적 나타났다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7 [속보] 채 상병 특검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11일 소환… VIP 격노설 관련"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6 통영 동호항 어선 어창청소하던 선원 4명 질식해 후송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5 [속보]채상병 특검, 김태효 11일 소환…국방부 검찰단장은 직무배제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4 [속보]“좌파는 모든 것을 하는 집단”···감사원, 이진숙 정치적 중립 위반 ‘주의’ 통보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3 [단독]尹취임 직전, 돌연 최대주주 넘겼다…삼부토건 수상한 거래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2 ‘SKT 이탈 러시’ 위약금 면제에 하루 1만7000여명 번호이동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1 '관세폭탄' 일단 연기…통상·안보 고차방정식 어떻게 풀까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40 [단독] 김건희 특검, 김영선 자택 압수수색…‘윤 부부공천개입’ 수사 속도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9 [단독] 카톡, 광고 잔뜩 껴넣더니…“팔자주름 옅어진다” 거짓 광고도 버젓이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8 올해 달러값 12% 추락...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7 순직해병특검 "김태효 11일 소환‥'VIP 격노설' 관련"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6 “없어도 괜찮아요”...신차 안 사는 요즘 20·30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5 3월 이혼 이시영, 둘째 임신… “전남편 동의 없이 배아 이식“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4 [단독] ‘무자본 갭투자’ 91억 전세사기 60대 女, 대법서 징역 15년 확정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3 美 관세에 전기차 혜택 소멸… 현대차·기아 역성장 위기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2 층간소음 항의하자 ‘끓는 식용유’ 끼얹어…전신 3도 화상 new 랭크뉴스 2025.07.08
52931 시댁 식구 초대해 '독버섯 살인'…"끔찍 사고" 발뺌한 며느리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7.0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