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년 전 코로나 재난지원금 지급 때는 내구재·필수재 업종에서 매출 증대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통해 10조3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원하기로 하면서 소비 진작 효과가 얼마나 될지 관심이 쏠린다. 대면 접촉을 꺼렸던 2020년 코로나19 당시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의 경우엔 내구재와 필수재를 중심으로 매출 증대 효과가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23일 이재명정부 출범 후 첫 추경 편성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통과될 경우 이르면 내달 중순부터 전 국민에게 1차 소비쿠폰이 지급될 예정이다.

이번 소비쿠폰은 5년 전 코로나19 팬데믹 시절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처럼 가라앉은 소비를 진작시키려는 목적이 크다. 다만 당시엔 감염병이 유행하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대면 접촉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 (준)내구재와 필수재에서 매출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020년 12월 발표한 ‘1차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의 효과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으로 인한 매출액 증대 효과는 (준)내구재(10.8%p), 필수재(8.0%p), 대면서비스업(3.6%p), 음식업(3.0%p)의 순이었다.

KDI가 같은 해 발표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관한 연구’에선 세탁소(34.5%p), 안경(34.0%p), 헬스(31.4%p), 패션(의류)·잡화(28.8%p), 가구(23.3%p)의 순으로 매출 증가율이 컸다. 업종별 카드매출 중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액 비중은 안경(18.0%), 세탁소(16.1%), 마트·슈퍼마켓·생협·식료품(11.9%), 패션의류(10.9%), 패스트푸드(9.9%), 베이커리(6.2%) 순으로 높았다.

전통시장이 수혜를 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020년 전통시장에서 사용된 카드 매출 중 긴급재난지원금이 차지한 비율은 당해 매출 대비 10.03%, 전년 매출 대비 11.42%였다. 3억원 이하 소규모 가맹점의 긴급재난지원금 평균 사용비율이 8% 안팎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높다. 반면 사용불가업종인 유흥·주점과 백화점·대형마트에선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상승하지 않았다.

2020년 5월 1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전체 소비 진작 효과는 한 달간만 지속됐다. 이번엔 서비스업의 매출 증대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다.

김미루 KDI 국채연구팀장은 “소비쿠폰의 전체 매출 증대 효과는 긴급재난지원금과 비슷한 30% 내외일 것 같다”며 “5년 전에는 대면 서비스업의 매출 증대 효과가 덜했다면 지금은 상황이 달라 수혜 업종을 예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33 트럼프 "일본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32 '시청역 참사' 꼭 1년 만에 또…전기차 돌진에 울타리 뽑혀나가 랭크뉴스 2025.07.02
50131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고려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30 美FBI, 취업사기·가상화폐 탈취 北일당 수배…보상금 68억원 랭크뉴스 2025.07.02
50129 그들에겐 수도권이 천국이었다…마침내 드러난 러브버그 비밀 랭크뉴스 2025.07.02
50128 李 "주택이 투자·투기수단 됐다"…대안으로 '주식' 꺼낸 진짜 이유 랭크뉴스 2025.07.02
50127 법사소위, 오늘 상법 개정안 심사…여야 합의 여부 주목 랭크뉴스 2025.07.02
50126 사랑의 묘약? 미의 표현?…15세 신라여인은 왜 ‘비단벌레 금동관’ 썼나[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랭크뉴스 2025.07.02
50125 尹이 박박 기던 무명검사 때, 조은석은 펄펄 날던 스타였다 [특검 150일 ①] 랭크뉴스 2025.07.02
50124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연장 생각 안해…日에 30~35% 부과할수도" 랭크뉴스 2025.07.02
50123 상암동서 전기차 인도로 돌진…벤치 앉아있던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2
50122 [단독] 여당, 상법 '3% 룰' 빼고 내일 본회의 처리한다 랭크뉴스 2025.07.02
50121 [단독] 트럼프와 상견례 못했는데…"中, 9월 전승절에 李초청 타진" 랭크뉴스 2025.07.02
50120 [李대통령 취임한달] '빠른 국정안정' 초점…내각구성·추경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2
50119 [속보] 트럼프, 日 상호관세율 24%에서 30~35%로 상향 시사 압박 랭크뉴스 2025.07.02
50118 일본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남남서쪽 바다 규모 5.0 지진 발생 랭크뉴스 2025.07.02
50117 [속보] 트럼프, 日 상호관세율 당초 24%에서 30~35%로 상향 가능성 시사 랭크뉴스 2025.07.02
50116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주중 대통령 서명 전망 랭크뉴스 2025.07.02
50115 트럼프감세법안 美상원 통과…찬반 동수서 부통령 찬성표로 가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2
50114 노 1만1260원 vs 사 1만110원···최저임금 4차 수정안, 여전히 큰 간극 랭크뉴스 2025.07.02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