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무코가와 여대 홈페이지

[서울경제]

일본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여자대학인 일본 효고현의 무코가와 여대가 남녀공학 전환 방침을 정하자 재학생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지난 19일 산케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무코가와 여대는 최근 "2027년부터 학교를 공학으로 전환한다, 교명은 무코가와 대학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학교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더 다양한 배경과 가능성을 지닌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해, 특히 글로벌 사회에서 남녀 모두에게 열린 고등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공학 전환을 추진한다"는 내용의 글을 지난 17일 자로 게재했다.

1939년 창립된 무코가와 여대는 21개 학과, 1만여 명이 다니는 일본 최대 규모 여대로 꼽힌다. 학생 충원율도 95%로 경영 상 문제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교 측은 학령인구 감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성별에 관계없이 학생을 모집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재학생들은 "배신당했다"며 강력히 항의하고 있다.

이에 재학생들은 '공학과 중단 및 연기'를 요구하는 온라인 서명 운동을 통해 현재 3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은 상태다. 서명에서 재학생들은 "여자대학이라는 점을 전제로 진학을 결정한 학생들의 뜻을 존중해야 한다, 안심할 수 있는 배움터를 만들어달라"고 강조하고 있다. 한 재학생은 "일본 최대 여대이기에 공학화나 폐교는 없을 거라고 안심했었다"고 했고, 다른 재학생은 "과거 남성으로부터 심한 피해를 입어서 여대만이 선택지였다, 여대여야만 하는 이유가 있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무코가와 여자대학 홈페이지에 올라온 남녀 공학 전환 공지


일본에서는 학령인구 감소로 여대의 남녀 공학 전환 움직임이 활발하다. 일본 당국에 따르면 대학 입시에 응시하는 연령인 18세 인구는 1990년대엔 한 해 200만 명을 넘기도 했으나 올해는 109만 명이다. 오는 2050년 대학 입학자는 43만 명으로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1990년대 후반 100여 곳에 달했던 일본 4년제 여대 수는 2020년대 들어 70여 곳으로 줄어들었다. 무코가와여대의 조사에 따르면 2000년~2022년 사이 남녀공학으로 변신한 여대는 26개에 이른다.

1966년 개교한 고베신와여자대학은 올해 4월에 남녀공학인 고베신와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다. 올해 3월에는 교토코카여대가 오는 2026년부터 공학으로 전환할 방침을 밝혔다.

도쿄게이센여대, 고베카이세이여대 등은 지난 2024년부터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기도 했다.

무코가와 여대 재학생들은 학교 측에 설명회 및 의견 교환회 개최, 1학년생이 졸업할 때까지 여자대학 유지, 의사결정에 참여한 회의체 및 논의 내용 공개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학교 측은 오는 7월 28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공학 전환 방침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한편 숙명여대, 성신여대, 동덕여대 등 한국의 주요 여대에서도 남녀공학 전환 논의가 있었으나 학교측과 재학생간 갈등이 빚어지며 무산되는 일이 잇따르고 있다.

동덕여대는 지난해 남녀공학 전환 논의를 하려다 재학생의 본관 점거와 수업 거부 등 집단 행동으로 이어졌었다. 성신여대, 덕성여대 등도 남녀공학 전환을 검토했다가 무산된 바 있다. 숙명여대는 지난 2015년 일반대학원에 남학생을 받기로 추진했다가 철회했다.

"여대생 1만명에 날벼락, 배신당했다"…'일본판' 동덕여대 사태 터졌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955 ‘찜통 더위’ 다음주까지 지속…“폭염 특보 이어질 것” 랭크뉴스 2025.07.10
53954 “살아남기 힘들 것 같아, 사랑해”…홍수 휩쓸린 아빠의 마지막 메시지 '눈물' 랭크뉴스 2025.07.10
53953 비행기 타면 '커피' 꼭 마셨는데…전직 승무원 "절대 마시지 말라" 폭로, 왜? 랭크뉴스 2025.07.10
53952 펄펄 끓는 폭염에 동해마저…'길이 3m·무게 226㎏' 이것 잡혔다 랭크뉴스 2025.07.10
53951 강선우 ‘보좌진 갑질’ 의혹에···개혁신당 “정신 나간 여왕 코스프레” 사퇴 촉구 랭크뉴스 2025.07.10
53950 윤석열, 호주머니 손 빼고 수의 입어…에어컨 없는 독방 수감 랭크뉴스 2025.07.10
53949 산책하는 하남 시민들 공포 떨게하는 ‘이 동물’…13명이 물리고 다쳤다 랭크뉴스 2025.07.10
53948 윤 전 대통령, 재구속 뒤 첫 재판 ‘불출석’…넉달 만에 재구속 랭크뉴스 2025.07.10
53947 고민정 “리박스쿨 내부 문건…극우, 대한민국 접수하려 모의” 랭크뉴스 2025.07.10
53946 "한국증시, 10년간 최고 호황기 온다"…해외 큰손들 엄청난 전망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5.07.10
53945 구속된 尹, 내란재판 첫 불참…‘건강상 이유’ 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10
53944 나사 빠져가는 NASA···전문 인력 무더기 퇴직, 수장엔 ‘교통부 장관’이 랭크뉴스 2025.07.10
53943 집값·가계대출부터 잡는다…한은, 기준금리 연 2.50% 동결(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10
53942 특검 "尹 구속수사 다른 피의자와 달리하지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7.10
53941 강선우, 5년 동안 보좌진 46번 교체... 갑질 의혹은 부인 랭크뉴스 2025.07.10
53940 李대통령 국정지지율 65%…'尹구속 찬성' 71%[NBS](종합) 랭크뉴스 2025.07.10
53939 편의점 알바생, 한밤의 무단퇴사… 점주 "가게 8시간 텅텅 비었다" 랭크뉴스 2025.07.10
53938 尹 불출석에 지귀연 '어리둥절'‥"출정 거부인가?" 질문도 랭크뉴스 2025.07.10
53937 윤석열, 영원히 사회와 격리되나…“감옥 나올 가능성 거의 없다” 랭크뉴스 2025.07.10
53936 관세로 들썩이는 구리… 대서양 사이에 두고 수익률 격차 커 랭크뉴스 2025.07.10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