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성수동·홍대 거리 가보니

성동구 거리 쓰레기통 142개
홍대입구역 인근 34개 불과해
“일회용컵 회수 시스템 갖춰야”
쓰레기가 지난 14일 서울 성수동 한 건물 앞에 쌓여 있다. 음료가 상당히 남아 있는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와 캔 등이 버려졌다.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역 4번 출구. 팝업스토어와 대형 의류매장이 밀집한 이곳에는 일회용 음료컵과 플라스틱 빨대 등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었다. 한 애니메이션 팝업스토어를 찾은 김모(25)씨는 “음료를 못 들고 들어간다고 해서 쓰레기통을 찾느라 건물을 한 바퀴 돌았다”며 “쓰레기통이 안 보여 사람들이 길에 버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팝업의 성지’로 청년층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한 복합쇼핑몰 앞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음료를 들고 서성이던 이서영(27)씨는 “도로변에도 건물 내에도 쓰레기통이 없다”며 당황스럽다는 표정을 지었다. 비어 있는 일회용 음료컵을 손에 든 채 걷는 시민들도 많았다. 길거리 곳곳에는 음료 캔이나 플라스틱 컵이 뒹굴고 있었다.

성수동과 홍대 일대는 요즘 섭씨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일회용 물품 무단 투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SNS에는 성수동과 홍대입구역 인도에 컵 수백 개가 방치된 영상이 300만~500만회에 달하는 폭발적인 조회수를 기록했다.

주목받고 있는 거리 문화에 비해 쓰레기통이 크게 부족하면서 일어난 현상이다. 실제 지난해 12월 기준 성동구의 가로 쓰레기통은 142개로, 서울의 25개 자치구 중 4번째로 적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지난달 SNS에 “길가에 쓰레기통을 설치하면 오히려 주변 투기가 늘어 역효과가 크다”며 “현행 상태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쓰레기통이 있으면 오히려 쓰레기 배출을 유발한다는 논리지만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마포구도 상황은 비슷하다. 가로 쓰레기통 270개를 운영 중이지만, 홍대입구역 인근에 설치된 것은 34개에 불과해 유동 인구 대비 턱없이 부족하다.

성수동과 홍대의 쇼핑몰에서는 대형 화장품 업체의 팝업스토어와 체험 부스들이 운영되고 있었지만, 이들이 마련한 쓰레기통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성수동 한 복합쇼핑몰 2층 화장실 내 쓰레기통에는 ‘화장지 외 쓰레기 투기 금지’ 문구가 붙어 있었다. 홍대 인근의 한 유명 의류 매장의 직원 A씨는 “쓰레기통이 없다보니 보통 손님들이 매장 앞이나 지하철 엘리베이터 턱에 음료를 놓고 간다”고 말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시민의식 실종, 지자체 관리 부재, 기업의 책임 회피가 동시에 작동한 결과”라며 “컵을 표준화해 어디서든 반납할 수 있는 회수 시스템을 갖추고, 팝업스토어나 음료 상업시설에도 폐기물 관리 책임을 부과하는 등 종합적이고 일관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성동구 관계자는 “마시고 남은 얼음과 물, 음료컵을 분리 수거할 수 있는 일회용 음료컵 전용 수거통을 3곳에 시범 설치했다”며 “쓰레기 배출량을 주시하면서 수거 인력 재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378 1㎞ 안에 학교 있는데 ‘납 공장’ 짓는다니…시민들 호소에 서영교 의원 응답은 랭크뉴스 2025.07.04
51377 SKT, 정부 요구 수용… 1조원대 보상·정보보호책 꺼냈다 랭크뉴스 2025.07.04
51376 ‘31.8조 규모’ 추경안 국회 예결위 통과…대통령실 등 특활비 105억 증액 랭크뉴스 2025.07.04
51375 검찰, '서부지법 폭동' 사랑제일교회 전도사에 징역 4년 구형 랭크뉴스 2025.07.04
51374 李 "장기연체 빚 탕감, 도덕적 해이? 이건 정리해주는 게 맞다" 랭크뉴스 2025.07.04
51373 ‘31.8조 추경안’ 국회 예결위서 여당 주도 처리…국민의힘은 퇴장 랭크뉴스 2025.07.04
51372 이 대통령 "장기연체 채무 탕감 더 추가할 것" 랭크뉴스 2025.07.04
51371 위약금 면제 전격 결정한 SKT…'3년간 7조원' 손실 위기 랭크뉴스 2025.07.04
51370 "모텔·술집 다 뚫립니다"…자영업자 울린 위조 모바일 신분증 확인서비스 랭크뉴스 2025.07.04
51369 알콜중독 치료시설서 만난 사이···살해 후 옆에서 잠든 50대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7.04
51368 “이 얘기하러 대전왔다”… 李가 채권자에 답한 ‘빚 탕감’ 이유는 랭크뉴스 2025.07.04
51367 李 "장기연체 채무탕감, 형평성 맞아…끝까지 받는 건 부당이득" 랭크뉴스 2025.07.04
51366 “5000만원 내려요” 고강도 대출 규제에 강남 아파트 매수심리 ‘주춤’ 랭크뉴스 2025.07.04
51365 성인화보 모델 5명 성폭행한 전 제작사 대표 구속 기소 랭크뉴스 2025.07.04
51364 “못 갚을 빚 받는 건 부당이득”… 李가 채권자에 답한 ‘빚 탕감’ 이유는 랭크뉴스 2025.07.04
51363 나경원 ‘소꿉놀이 농성’ 역풍…“6년째 1심, 다음 갈 곳은 재판정” 랭크뉴스 2025.07.04
51362 2018년 악몽 똑닮았다…"40도 극한 폭염" 경고등 뜬 이유 랭크뉴스 2025.07.04
51361 SKT 이미 해지했는데 위약금 환불되나요? [일문일답] 랭크뉴스 2025.07.04
51360 이 대통령, 대전서 ‘타운홀 미팅’…“장기 채무 탕감, 모두에 좋아” 랭크뉴스 2025.07.04
51359 "새벽 총리" 김민석, 임명장 받자…현충원 보다 먼저 이들 찾았다 랭크뉴스 2025.07.04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