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0년 1월 솔레이마니 폭살에 이라크 내 미군기지 2곳에 미사일
이달 기준 주둔병력 4만명…기지 8곳 포함 19곳에 미군 군사시설


걸프 해역에 배치된 미 항공모함에서 이륙하는 F/A-18 전투기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이스탄불=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김동호 특파원 = 이란 정예군 이슬람혁명수비대(IRGC)는 22일(이란 현지시간) 미군의 핵시설 공습에 대해 중동 내 미군 기지를 거론하며 보복을 경고했다.

IRGC는 이날 성명에서 "침략에 가담한 항공기의 비행 위치를 확인하고 감시했다"며 "역내 미군기지의 개수, 분포, 규모는 강점이 아니라 취약점"이라고 밝혔다고 반관영 타스님 통신이 보도했다.

IRGC는 "미국이 과거 실패했던 어리석은 짓을 반복하며 전략적 무능함과 역내 현실에 대한 무지함을 드러냈다"며 "미국 테러정권의 침략으로 이란은 자위권을 선택했고 침략자들은 유감스러운 대응을 예상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란이 미국 영토에 군사공격이나 테러공격을 하는 것은 적어도 단기간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이란이 미국에 직접 반격을 가하려고 시도한다면 비교적 가까이 있는 미군 기지들을 노릴 공산이 크다.

실제로 2020년 1월3일 미군이 당시 군부실세였던 IRGC 쿠드스군 사령관 가셈 솔레이마니를 바그다드 공항 부근에서 드론으로 폭살하자 IRGC는 닷새 뒤 이라크 내 미군 기지 2곳에 10여발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보복했다.

워싱턴DC의 싱크탱크 미국외교협회(CFR)에 따르면 이달 기준으로 중동에 배치된 미군 병력은 약 4만명이며 이 중 상당수는 항공모함 등 군함에 근무하고 있다.

이는 작년 10월 4만3천명보다는 적지만 최근 수년간 중동지역에 배치됐던 미군 병력 규모 평시 추정치 약 3만명보다는 여전히 많다. 2007년 이라크에 16만명, 2011년에 아프가니스탄에 10만명이 배치되는 등 주요 작전 시기에는 훨씬 더 많았던 때도 있었다.

현재 미국이 중동에서 운영중인 군사시설은 바레인, 이집트, 이스라엘, 요르단, 쿠웨이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에 최소 19곳이고 이 중 8곳은 영구적으로 설치된 기지로 보인다.

작년 12월 시리아의 아사드 정권 몰락 후 미국과 관계정상화를 추진 중인 시리아를 제외하면 미군이 주둔하는 나라들은 미국과 기지 이용에 관한 협정을 맺고 동의해준 상태다.

카타르의 알우데이드 공군기지에는 중동·북아프리카·중앙아시아를 담당하는 미국 중부사령부(CENTCOM)의 전방본부가 주둔한다. 중부사령부의 공군과 특수작전부대의 전방본부, 제379 항공원정비행단 본부도 여기 있다.

바레인의 미 해군지원기지(NSA)에는 미 해군 제5함대 본부와 중부사령부 해군본부가 있다.

카타르 도하 알우데이드 공군기지 방문한 트럼프
(도하 AP=연합뉴스) 2025년 5월 15일 카타르 도하 소재 알우데이드 미국 공군기지를 방문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Photo/Alex Brandon) 2025.6.22.


이 해군기지는 항구 수심이 깊어 항공모함 등 초대형 군함도 수용할 수 있다. 미국 해군은 영국 해군에게 1948년 이 기지를 넘겨받았다. 미국 해안경비대 소속 선박 몇 척도 바레인에 배치돼 있다.

이라크에는 알아사드 공군기지와 에르빌 공군기지 등 미군 기지가 여러곳이며 이 기지들에는 이슬람국가(IS) 소탕을 위한 국제협력작전의 일환으로 약 2천500명의 병력이 주둔한다.

시리아에는 미군이 IS 소탕을 위한 다국적 협력의 하나로 배치돼 있다. 미 국방부는 시리아 내 미군 병력을 1천명 미만으로 줄일 계획이라고 올해 4월 발표했다.

이라크와 시리아의 미군기지에는 가자지구 전쟁이 발발한 2023년 10월 이래 친이란 민병대의 공격이 한동안 잇따르다가 최근에는 잠잠해졌지만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을 계기로 공격이 재개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쿠웨이트에는 미군 중부사령부의 육군 전방본부가 있는 아리프잔 기지와 제386 항공원정비행단 본부가 있는 알리알살렘 공군기지가 있다. UAE에는 제380 항공원정비행단의 본부가 있는 알다프라 공군기지가 있다.

기지와 별도로, 항공모함과 구축함 등 해군 자산도 중동 해역에 전개돼 있다.

현재 이란 남쪽 오만의 동해안 근처 서인도양에는 항공모함 칼빈슨호를 주축으로 한 항공모함 전단이 3월부터 전개됐고 니미츠호를 주축으로 한 또다른 항모전단도 인도양을 거쳐 중동 해역으로 이동중이다.

또 동지중해와 홍해에는 구축함들이, 페르시아만에는 기뢰를 제거하고 안전한 항로를 확보하는 기뢰대응선박(MCMV)과 연안전투함(LCS)들이 배치돼 있다. 구축함 토머스허드너호도 필요할 경우 서지중해에서 중동에 가까운 동지중해로 이동할 준비가 됐다.

중부사령부가 아닌 다른 사령부 관할이긴 하지만 비교적 가까운 홍해와 아덴만 사이에 있는 지부티와 동부 지중해의 튀르키예에도 미군의 대규모 기지가 있어 유사시 미군의 중동 작전을 지원한다.

limhwasop@yna.co.kr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772 공범자들 석방 차단부터 ‘최정점’ 윤 재구속까지···3주간 치열했던 수 싸움[윤석열 재구속] 랭크뉴스 2025.07.10
53771 조은석 특검의 ‘22일 속전속결’···시작부터 ‘내란수괴 겨냥’ 통했다[윤석열 재구속] 랭크뉴스 2025.07.10
53770 ‘법꾸라지’ 행태 일관한 윤···법원 “증거인멸 우려” 부메랑으로[윤석열 재구속] 랭크뉴스 2025.07.10
53769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윤희숙 “어떤 개인도 칼 휘두를 권한 없다” 랭크뉴스 2025.07.10
53768 美 국방장관 전 고문 "주한미군 대폭 줄여 1만명만 둬야" 주장 랭크뉴스 2025.07.10
53767 석사학위 박탈당한 김건희, 교원 자격증도 취소된다 랭크뉴스 2025.07.10
53766 외환죄, 국힘 내란공모 수사 확대하나…尹 재구속한 특검 칼날은 랭크뉴스 2025.07.10
53765 미국서 돌아온 위성락 “국방비 조금 늘려가는 쪽으로 협의 중” 랭크뉴스 2025.07.10
53764 갤S25보다 가볍네, 접어도 얇은 Z폴드7 랭크뉴스 2025.07.10
53763 6시간40분 영장심사 공방, 윤 20분 최후진술 랭크뉴스 2025.07.10
53762 ‘전재산 5만원’ 꺼낸 14살…“너무 더워 할머니 빨리 팔고 쉬시라고” 랭크뉴스 2025.07.10
53761 특검, 尹 20일간 보강 수사 뒤 추가기소... 공범·외환 수사도 탄력 랭크뉴스 2025.07.10
53760 "尹어게인" 외친 지지자들, '다시 구속' 소식에 망연자실 해산 랭크뉴스 2025.07.10
53759 외신, '尹 재구속' 신속 보도…"장기 구금 가능성 열리게 돼" 랭크뉴스 2025.07.10
53758 지귀연 판사 '尹 구속취소' 넉달 만에…'재구속 결정' 남세진 판사 누구? 랭크뉴스 2025.07.10
53757 尹 구속 이유는 "공범 진술에 영향... 수감된 부하들과 형평성 고려" 랭크뉴스 2025.07.10
53756 윤석열 124일 만에 재구속…법원 “증거인멸 우려” 랭크뉴스 2025.07.10
53755 윤석열 재구속에 지지자들 분노, 눈물…도 넘는 과격 행동은 안 보여 랭크뉴스 2025.07.10
53754 美국방장관 前고문 "주한미군 전투병력 대폭 줄여 1만명만 둬야"(종합) 랭크뉴스 2025.07.10
53753 마라톤 심리·장고 끝 尹 재구속 결정…남세진 부장판사 누구 랭크뉴스 2025.07.10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