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선박 건조 늦어져…건조업체 2곳 중 1곳은 ‘무경험’
지난 18일 공사가 진행 중인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 있는 마곡 한강버스 선착장. 허윤희 기자

지난 18일 오후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 있는 마곡 한강버스 선착장. 입구에 출입을 막는 줄이 쳐 있고 선착장 조성공사를 알리는 안내판이 있었다. 인부 3명이 선착장 통로에서 작업하고 있었다. 선착장에서 150m 떨어진 곳에 새로 조성한 버스 정류장에도 ‘공사중’이라고 적힌 종이가 붙어 있었다.

한강버스의 정식 운항이 미뤄지고 있다. 애초 운항 날짜는 지난해 10월이었지만 올해 3월에서 6월로, 다시 9월로 연기됐다. 한강버스는 마곡, 망원, 여의도, 잠원, 옥수, 뚝섬, 잠실 등 7개 선착장을 오가는 수상대중교통 수단으로, 2023년 3월 영국 런던 출장 때 오세훈 서울시장이 리버버스를 탄 뒤 검토를 지시한 사업이다.

한강버스 정식운항이 지연되는 큰 이유는 선박 건조가 늦어져서다. 현재 12대 중 2대만 시운전 중이다. 6월말 4대, 7월 2대, 9월 2대, 11월 2대 등 12대가 차례로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서울시는 전했다. 이 계획대로라면 12대가 모두 투입되는 시기는 올해 11월쯤이다.

수상교통수단인 한강버스. 서울시 제공

한강버스 건조업체는 2곳인데 이 중 가덕중공업은 선박 건조 경험이 없는 신생업체인데도 선정돼 특혜 의혹이 불거졌다. 이에 서울시는 “전문 인력 보유 업체”라고 반박했지만 가덕중공업의 선박 건조 일정은 지연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가덕중공업에 (건조 지연에 따른) 페널티를 줄 것”이라며 “(가덕중공업의) 하도급업체를 바꿨고 그곳에서 6대 중 4대를 건조하고 있다. 가덕중공업에서 건조한 배는 7월에서 9월 사이에 한강에 들어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식운항 시기뿐 아니라 속도, 노선 등 계획도 달라졌다. ‘한강버스 운영사업 협약서(변경) 동의안’을 보면 한강버스의 속도는 호선별로 1~4호선 15.6노트(시속 29㎞), 5~8호선 17.8노트(시속 33㎞), 9~12호선 19노트(시속 35㎞)이다. 2023년 협약에서는 평균속도 20노트(시속 37km) 이상, 최대속도 27노트(시속 50km)이었다. 한강버스의 평균속도가 최초 업무 협약 당시보다 22%(시속 37㎞→28.9㎞)가 낮아진 것이다. 더욱이 애초 서울시는 김포골드라인 혼잡도 완화 대책 중 하나로 아라한강갑문과 여의도를 잇는 한강버스 도입을 추진했지만 결국 김포~서울 노선은 빠졌다.

김상철 나라살림연구소 정책위원은 “한강버스 사업은 제대로 된 검토 없이 추진된 전형적인 전시행정”이라며 “조례 개정으로 대중교통이 된 한강버스는 버스와 지하철처럼 운행 적자를 시 보조금으로 지원받게 된 구조라 결국 시 재정부담만 가중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용추계서에 따르면 한강버스의 2년간 예상되는 운항결손액(보조금)은 41억6400만원에 달한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618 美재무 “성실히 협상해도 저항하는 국가에는 상호관세 부과” 랭크뉴스 2025.07.01
49617 文 "김어준, 형님이라 해봐"…민주당 인사들 총출동한 이곳 랭크뉴스 2025.07.01
49616 김어준 토크콘서트서 "곧 대법관 될 것"…文 "형님이라 해봐" 랭크뉴스 2025.07.01
49615 "마동석인 줄" 64세 정성호 팔뚝 깜짝…뜻밖의 이력 화제 랭크뉴스 2025.07.01
49614 민주당과 상법 개정안 간담회 한 재계 "할 말은 했지만, 큰 기대 않는다" 랭크뉴스 2025.07.01
49613 "재밌네 인생이ㅋㅋ"…한덕수에 고소당한 방송인 오윤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1
49612 특검, 계엄 사후 선포문에 한덕수 서명 의혹 수사 랭크뉴스 2025.07.01
49611 3년 넘게 동급생 집단폭행···청양 고교생 4명 퇴학 처분 랭크뉴스 2025.07.01
49610 "여보, 로또 2억 당첨됐어 이사 가자"…기뻐했는데 직원 실수 '초대형 사고' 랭크뉴스 2025.07.01
49609 “미·이스라엘 공격, 핵 비확산 체제에 위험…한반도 영향 커” 랭크뉴스 2025.07.01
49608 베선트 장관 “관세發 물가상승 일시적…10년물 금리 더 내려갈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07 외국인 2000명 채무 182억 탕감?…김재섭 "이재명식 민생인가" 랭크뉴스 2025.07.01
49606 특검, 윤석열 오늘 불출석 땐 재소환…또 불응하면 ‘최후 조처’ 경고 랭크뉴스 2025.07.01
49605 미 재무장관 "상호관세 유예 트럼프에 달렸다... 저항하면 다시 부과할 것" 랭크뉴스 2025.07.01
49604 FBI 등 美안보기관들 "이란 관련 해커들의 사이버공격 주의" 랭크뉴스 2025.07.01
49603 [사설] 美 “관세 유예 연장 불필요”…기업 피해 최소화 위해 총력전 펴라 랭크뉴스 2025.07.01
49602 [사설]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허한 지방 지원책이어선 안 돼 랭크뉴스 2025.07.01
49601 보훈부가 지원한 역사 왜곡?‥'이승만 찬양' 스피치 대회 랭크뉴스 2025.07.01
49600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 체제로…물러나는 김용태 “개혁 점수 0점” 랭크뉴스 2025.07.01
49599 이란 ‘12일의 전쟁’ 피해는 큰데, 책임지는 지도자가 없다? 랭크뉴스 2025.07.01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