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 이란 핵 시설 폭격에 GBU-57/B 사용 보도 잇달아
2019년 5월 미국 뉴멕시코 화이트 샌즈 미사일 실험장에서 미 공군의 비(B)-2 스텔스 폭격기가 벙커 버스터 폭탄(GBU-57 MOP)을 투하하는 모습. 출처 유튜브 Ultimate Military Channel

미국이 이란 핵 시설 공격에 ‘벙커 버스터’로 불리는 GBU-57/B를 사용했다는 외신 보도가 잇달아 나오고 있다. 이 보도가 맞는다면 실전 사용은 사상 처음이다. 미 의회조사국(CRS) 보고서, 미 국방부 작전 시험 및 평가(DOT&E) 보고서, 미 뉴욕타임스·워싱턴포스트 보도 등을 통해 GBU-57/B 성능을 알아봤다.

벙커 버스터는 공중 투하 뒤 지표면을 뚫고 들어가 사전에 설정한 깊이가 되면 탄두가 폭발하도록 설계된 초대형 관통 폭탄(MOP)을 말한다. 지하에 숨겨진 벙커 등 군 시설 등을 파괴하는 용도다.

미 공군은 2004년 산악 지대에 있는 핵 시설 공격을 위한 벙커 버스터 설계에 들어갔다. 미 보잉이 제작한 GBU-57/B는 현존하는 최대·최고 성능의 벙커 버스터다. 무게 13.6t, 길이 6.2m(직경 0.8m)로 내부에 고성능 폭약 2.4t이 실려 있다. 너무 무거워서 미 공군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만이 운반·투하할 수 있다. 이마저도 2발을 탑재하는 것이 최대치다. “미국 무기고에서 가장 무거운 재래식 무기”(워싱턴포스트), “스쿨버스만큼 무겁다”(뉴욕타임스)는 평가가 나온다.

GBU-57/B는 13t이 넘는 무게로 초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낙하하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해 콘크리트·흙·암반을 관통한다. 지면 충돌 시 특수 고성능 합금으로 만들어진 원추형 탄두 케이스가 폭탄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켜 목표 깊이까지 도달하게 돕는다.

이 폭탄은 흙과 암반 등 일반적 지층의 경우 최대 61m 깊이까지 뚫고 들어간 뒤 폭발하는 능력을 갖췄다. 뉴욕타임스는 보고서 등을 인용해 “받침대를 제외한 자유의 여신상 높이가 46m인데, GBU-57/B는 건물 기초공사용 콘크리트의 경우 61m,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7.6m까지 관통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이번에 미군이 폭격한 이란 포르도 핵 시설의 경우 산 표면에서 80∼100m 깊이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폭탄 하나로는 핵 시설에 도달하기 충분치 않기 때문에, 같은 지점에 여러 차례 폭격해야 한다”고 했다. 때린 곳을 계속 때려 폭탄 하나로는 도달할 수 없는 깊은 곳까지 타격하는 방식이다. 실제 미군은 이번 폭격에서 포르도 핵 시설에 최소 6개의 벙커 버스터를 투하했다고 한다. GBU-57/B는 지피에스(GPS) 장치로 정밀 유도되기 때문에 같은 지점을 연속으로 폭격할 수 있다. 또 목표 시설이 있는 깊이에 도달하면 탄두가 폭발(지연신관)하도록 사전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워싱턴포스트는 기존에 알려진 최대 관통 깊이는 61m이지만, 20년간 개량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관통 성능이 더 커졌을 수 있다는 군사전문가 분석을 전했다. 반면 뉴욕타임스는 그간 이란이 벙커 버스터에 대비해 강도가 더 센 콘크리트 기술을 연구해 왔다고 전하며 “이란이 핵 시설에 어떤 종류의 콘크리트를 사용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했다. 이번 벙커 버스터 폭격 결과는 지켜봐야 한다는 취지다. 실제 이란은 “이란 핵 시설을 완전 제거했다”는 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발표에 대해 “피해는 지상 부분에 국한됐다”고 밝혔다.

한국에는 이와 유사한 무기로 현무-5가 있다. 탄두 중량이 8t에 달해 세계 최대 수준의 초고위력 지대지 탄도미사일이다. 파괴력이 워낙 강력해 ‘괴물 미사일’로 불린다. 이 미사일은 지하 100m에 있는 북한 전쟁지휘시설, 지하 미사일 기지 등을 파괴하는 수단으로 개발됐다. 지하 수백m까지 관통·파괴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3년 미국 미주리 위트먼 공군기지에서 수송 중인 벙커버스터 폭탄인 GBU-57. AP 연합뉴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38 5년간 회삿돈 25억 원 빼돌려 부동산 매입 혐의 경리 징역형 집행유예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37 “위험해요, 얼른 건너가세요” 했다고 초등생에 욕설···60대, 항소심서도 실형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36 [단독] ‘채상병 특검’ 박정훈 대령 군사경찰 복귀 유력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35 [단독] 이 대통령 “공영방송 사장추천위 100명 이상으로”…여당과 ‘교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34 산업부 "美와 상호관세 유예 연장 방안 협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33 "이준석 제명" 청원 60만 넘겨 마감‥역대 청원 2위 기록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32 '이 회사'는 인당 8500만원 쏜다는데…삼성전자 성과급 '이럴 수가'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31 “180명 10평에 합장, 죽어서도 칼잠 재우나”…1인 시위 나선 선감학원 피해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30 경인아라뱃길서 20대 남성 실종 신고…수색 4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9 주담대 6억 이하로 묶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금액 65% ‘뚝’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8 ‘특목·자사고 출신‘ SKY 신입생 5년내 최저…“의대 증원 영향”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7 트럼프 ‘관세 편지’에 숨죽인 전세계…“7일부터 편지 발송”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6 위성락 오늘 방미‥"한미 정상회담·관세·안보 등 현안 논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5 이재명·트럼프 만남 성사되나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4 중국 공습에 석유화학 '보릿 고개'...위기 돌파 묘수는[2025 100대 CEO]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3 나경원 “단식·삭발만 농성이냐?…잠 못 자고 아침부터 앉아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2 오늘 이재명 정부 첫 고위당정‥추경 집행 등 논의할 듯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1 방미 위성락 "통상·안보 협의 중요 국면…정상회담·관세 협의"(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20 굴삭기 들이대자 구덩이서 튀어나왔다...영화같았던 마약왕 검거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19 국힘, 이진숙 ‘논문 표절 의혹’에 공세 집중···“연구윤리 파괴자, 사퇴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0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