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후티 반군 등 친이란 세력의 공격 가능성도
페르시아만에서 군사 활동이 가장 위력적
호르무즈 해협 인근 오만해에서 지난 2011년 12월 이란이 벨라야트-90 훈련을 갖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이 이란의 포르도 등의 핵 시설을 폭격함에 따라, 이란의 보복 공격도 예견된다.

미국이 이란을 공격하기 전날인 21일 아바스 아라그치 이란 외교장관은 제네바에서 영국-프랑스-독일 외교장관들과의 회담 뒤 “미국이 이스라엘과의 전쟁에 적극 개입하면 모든 사람에게 매우, 매우 위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란에 대한 공격이 계속되는 한 협상할 수 없다고도 말했다.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가 “미국이 군사 개입에 나선다면, 미국이 입을 피해는 되돌릴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하는 등 이란은 이스라엘이 지난 13일 이후 자국을 공격한 이후 미국의 군사개입을 금지선으로 설정해왔다. 미국이 이스라엘의 공격에 가담할 경우 중동 지역 미군 기지 등을 대상으로 보복 공격을 하겠다고 경고해왔다. 아지즈 나시르자데 이란 국방장관은 “(중동 내) 미국의 모든 (군사)기지는 우리의 사정권 안에 있고, 우리는 대담하게 그것들을 목표로 삼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란은 지난 2020년 1월 미군이 가셈 솔레이마니 당시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을 미사일로 암살하자, 이라크 내 알아사드 기지 등 미군 주둔지에 미사일 16발을 발사해 보복했다. 지난 2024년 1월에는 요르단 타나프 인근의 미군 전진 초소인 타워22에 드론 공격이 가해져, 3명의 미군 병사가 사망했다. 이는 지난 2021년 미군의 카불 철수 이후 미군으로서는 최악의 피해였다.

현재 중동에는 4만명 이상의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중부사령부 전진 지휘소가 있는 카타르의 알우데이드 공군기지에는 최대 1만명 내외가 주둔할 수 있다. 바레인에는 해군 5함대 기지가 있고, 8300여명의 미 해군이 주둔하고 있다. 쿠웨이트의 부엘링기지 및 알리 알사렘 공군기지, 아랍에미리트연합의 알다프라 공군지기 등이 있다.

이란은 지난주 들어서 카타르에 페르시아만 지역의 미군 기지들은 미국의 대이란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합법적 목표물이 될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이란의 직접 공격보다는 이란 후원하는 무장 세력들의 공격이 더욱 위협적이다.

이라크 내 이란 지원 시아파 민병대 카타이브 헤즈볼라의 아부 알리 알아스카리는 지난 20일 성명에서 미국이 이스라엘-이란 전쟁에 개입할 경우, 중동 전역의 미군 기지들이 보복 공격의 표적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미군 기지를 타격하는 작전 계획이 수립됐다”며 “미군 기지들은 오리 사냥터처럼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공중에 있는 미국 항공기를 기다리는 예상치 못한 충격”도 거론해, 지대공 미사일, 드론, 사이버전 등 다양한 비대칭 전력 사용 가능성을 거론했다.

이란 쪽의 이런 군사적 위협은 그 자체로는 중동 지역 미군에 큰 의미가 없다. 큰 피해를 내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란의 공격은 미군에 큰 부담뿐만 아니라 해당국에도 큰 피해를 자아낸다. 미군이 공격받으면 미국으로서는 이에 상응하는 공격을 이란에 가해야 하고, 이는 확전으로 치닫게 된다. 미국의 대사관과 영사관 등의 시설도 대상이 된다. 미국은 이미 이라크와 이스라엘에 있는 외교 공관에서 필수 인력을 제외한 인력들을 소개했다.

무엇보다도 가자 전쟁 이후 이스라엘을 폭격하고, 홍해에서 물류를 방해해 미국 등 서방에게 큰 짐을 주는 예멘의 후티 반군이 문제이다.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의 대이란 공격 이후 참전을 선언해 놓은 상태이다. 후티 반군이 홍해에서 다시 군사활동을 확장하면, 미국은 군사력을 이쪽에도 투입해야 한다. 미국은 지난 5월6일 오만의 중재로 후티 반군과 휴전을 체결했다. 이는 미국도 후티 반군의 실체를 인정하고, 그 군사적 영향력을 인정한 것이다.

이란으로서는 호르무즈 해협 봉쇄 등 페르시아만에서 군사작전이라는 강력한 카드가 있다. 세계 석유 물동량의 6분의 1, 가스의 3분의 1이 통과하는 호르무즈 해협에 기뢰 설치 등으로 세계 경제를 공황 상태로 빠뜨릴 수 있다. 해협 봉쇄는 이란으로서도 큰 부담이기 때문에 마지막 카드로 남겨두고는, 페르시아만에서 군사활동을 확장함으로써 미국 등 서방을 압박할 수 있다.

이라크 내 친이란 무장세력 카타이브 헤즈볼라의 아부 알리 알아스카리도 호르무즈 해협과 바브엘만데브 해협의 봉쇄, 홍해 연안 석유 항만의 마비 등 중동 전체의 전략적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 조치도 언급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884 코스피 3700까지?···상법 개정안 통과에 힘입어 연고점 또 경신 랭크뉴스 2025.07.03
50883 윤석열 “말귀를…” 이 대통령 “그때 만난 분?” 외신기자 질문에 다른 반응 랭크뉴스 2025.07.03
50882 李대통령 "불법 공매도, 최고수준 과징금…시장교란세력 엄벌" 랭크뉴스 2025.07.03
50881 "대출 규제는 맛보기"라는 이 대통령, 후속은 '규제 지역' 확대? 랭크뉴스 2025.07.03
50880 태국 ‘늑대소년’ 개 6마리와 자라 “말 못하고 짖기만” 랭크뉴스 2025.07.03
50879 이 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어” 랭크뉴스 2025.07.03
50878 "연봉 1.6억에 격주 '주 4일제'인데"…'신의 직장' SKT, 퇴사 늘어난 이유가 랭크뉴스 2025.07.03
50877 "남북 대화 단절은 바보짓…한미공조 바탕 관계 개선" 랭크뉴스 2025.07.03
50876 “조국 사면” 요청에 이 대통령 즉답 안 해…비교섭 야5당 회동 랭크뉴스 2025.07.03
50875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검찰개혁 자업자득” 이 대통령, 개혁 드라이브 예고[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874 군 검찰 "박 대령, 항명죄" 의견서‥박 대령 측 "800-7070 확인부터" 랭크뉴스 2025.07.03
50873 "살까? 말까?" 올 2분기 가장 핫한 아파트가 '여기?' 랭크뉴스 2025.07.03
50872 [단독] 삼수 끝에 들어간 '하이브 상장' 압수수색‥논란의 방시혁 4천억 원 [인싸M] 랭크뉴스 2025.07.03
50871 한성숙, ‘23억’ 네이버 주식 전량 매각…이해충돌 선제 차단 랭크뉴스 2025.07.03
50870 이정재 "'오겜3' 결말보고 감독 용기에 놀라…에미賞 기대 안해" 랭크뉴스 2025.07.03
50869 與, 野 반발 속 김민석 단독 인준…野, 상법엔 절반이 반대·기권 랭크뉴스 2025.07.03
50868 장관 자리 위해 '주식 23억' 팔다…한성숙 "네이버 주식 매각" 랭크뉴스 2025.07.03
50867 서울 아파트값 ‘주춤’? 규제 영향은 ‘아직’…전문가에게 물었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3
50866 [속보] 1만1140원 vs 1만130원…최저임금 5차 수정안 랭크뉴스 2025.07.03
50865 [단독] ‘깜깜이’ 국정원 예비비 지출, 작년 한해 6400억원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7.03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