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신식 'GBU-57'은 60m 관통…"여러발 명중시 더 깊은 목표물 무력화"
"미군, 포르도 공격에 벙커버스터 6발 동원"…B-2 폭격기 활용 관측


미 공군에서 운용 중인 B-2 스텔스 폭격기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미군이 21일(현지시간) 이란의 핵 시설 3곳 중 지하 요새화한 것으로 알려진 포르도 시설을 타격하는 데 전격 동원한 것으로 지목되는 '벙커버스터'는 '벙커 파괴용 무기'라는 이름 그대로 땅 밑 깊숙한 곳에 만들어진 시설을 무력화하기 위해 개발된 폭탄이다.

벙커버스터는 지표면 아래 깊숙이 파고들어간 뒤 폭발하도록 설계된 공중 투하용 초대형 관통 폭탄(MOP·Massive Ordnance Penetrator)을 통칭한다.

이중 'GBU(Guided Bomb Unit·유도폭탄)-57'은 현재 공개된 벙커버스터 중 가장 강력한 최신 폭탄으로 꼽힌다

전작인 'BLU-109'보다 10배 더 강력한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고 AP통신은 미 공군을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BLU-109'는 지난해 이스라엘군의 '헤즈볼라 수장 하산 나스랄라 제거' 작전 당시 공습에 동원된 무기다. 약 2m 두께의 콘크리트 벽도 뚫을 수 있는 성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GBU-57'은 위치정보시스템(GPS) 기반으로 개발돼 더 정밀한 폭격을 할 수 있다는 게 미 당국의 평가다.

지하 60m 안팎(200피트)까지 뚫고 들어가 벙커와 터널 등을 초토화할 수 있다는 뜻이다.

'GBU-57'을 연속으로 투하하면 폭발 때마다 더 깊이 파고드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AP는 부연했다.

실제 포르도 핵심 시설들은 산악 지형 깊은 곳에 묻혀 있으며, 그 깊이는 80∼90m로 추정된다고 한다.

이날 'GBU-57'을 투하했더라도, 이론상 단발로는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는 셈이다.

하지만 폭스뉴스 보도를 보면 미군은 이날 이란 포르도 핵시설 공격에 최소 "벙커버스터 6개"를 떨어뜨린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주요 목표 지점인 포르도에 폭탄 전체 탑재량이 모두 투하됐다"고 공개하면서, 폭탄 여러 발로 원하는 결과를 얻었음을 암시했다.

앞서 온라인 뉴스 사이트인 '워존'(The Warzone)은 'GBU-57' 같은 초대형 관통 폭탄에 대해 "북한, 이란, 러시아, 중국 등 산악 지대 깊은 곳에 있는 목표물을 궤멸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보도했다.

AP는 GBU-57을 실공격에 사용했다면, 전투용으로는 첫번째 폭격 사례라고 짚었다.

2023년 공개된 벙커버스터 'GBU-57'
[미 공군 제공.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 AP PROVIDES ACCESS TO THIS PUBLICLY DISTRIBUTED HANDOUT PHOTO PROVIDED BY THE U.S. AIR FORCE]


20.5피트(약 6.2m) 길이의 'GBU-57'은 3만 파운드(약 13.6톤)에 달하는 무게 때문에, 현재 시점으론 미군의 B-2 스텔스 폭격기로만 운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BU-57' 무게를 견딜 수 있는 모든 폭격기에 탑재될 수 있으나, 현재 미군은 B-2 스텔스 폭격기로만 이 폭탄을 싣고 투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했다고 AP는 전했다.

이날 미군 공격에는 B-2 스텔스 폭격기가 관여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미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앞서 미 공군은 B-2에 'GBU-57' 벙커버스터 2발을 탑재해 성공적으로 시험 비행했다고 밝힌 바 있다.

B-2는 연료 보충 없이 7천 마일(약 1만1천㎞)을 비행할 수 있다. 연료를 한 번 보충할 경우 비행가능 거리는 1만1천500 마일(1만8천500㎞)까지 늘어난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의 '공격 성공' 발표 전 B-2 폭격기 여러 대가 미국 미주리주 공군기지에서 출발해 괌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walden@yna.co.kr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92 인도네시아 화산 분화…발리 오가는 항공기 수십편 취소 랭크뉴스 2025.07.07
52691 영남 내륙 39도 훌쩍…사람도 가축도 지친다 랭크뉴스 2025.07.07
52690 김선교 출금에 국힘 “이제 시작”…특검 수사 전방위 확대될라 ‘술렁’ 랭크뉴스 2025.07.07
52689 "경찰에 총 보여줘라"‥체포영장 집행 저지 그날엔 랭크뉴스 2025.07.07
52688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초유의 한일 과거사 표 대결 패배(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687 尹과 한뜻 '계엄 정당화'‥메모 왜 남겼나 랭크뉴스 2025.07.07
52686 이진숙 후보자, 지자체장 인수위 ‘양다리’에 정부·지자체 위원 최소 37개 랭크뉴스 2025.07.07
52685 [속보]유네스코서 ‘군함도 안건 상정’ 무산···일본과 표결서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84 “동네약국 7만원 비타민이 여긴 3만9천원”…약국계 코스트코 가보니 랭크뉴스 2025.07.07
52683 [단독] "선관위 다 잡아족쳐야"‥끝까지 '부정선거론' 랭크뉴스 2025.07.07
52682 [단독] "국민께 알려야"‥尹 '망상의 계엄' 씨앗 됐나 랭크뉴스 2025.07.07
52681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80 [속보] 法, 노상원 전 사령관 추가 구속…"증거인멸·도주 우려" 랭크뉴스 2025.07.07
52679 [단독] "민주당 의원들은 가짜"‥노상원 '망상'의 메모 랭크뉴스 2025.07.07
52678 [속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군함도 후속조치' 공식 의제 채택 불발 랭크뉴스 2025.07.07
52677 오늘 밀양 39.2도…평년 대비 10.2도 치솟았다 랭크뉴스 2025.07.07
52676 상법 개정안 통과 후폭풍…전기·가스 요금 줄줄이 인상? 랭크뉴스 2025.07.07
52675 [속보]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한일 과거사 초유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74 조갑제 ‘예언’대로…“안철수 자폭선언 해버려야, 도로 윤석열당” 랭크뉴스 2025.07.07
52673 [Why] 트럼프 취임 후 ‘웨스트 팜비치’에 TV광고가 급증한 이유 랭크뉴스 2025.07.0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