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GDP 5%까지 국방 예산 인상" 압박
"단순 '트럼프 리스크' 아닌 美 국방 철학"
전략적 유연성·무기 구매 연계 가능성
새 정부, 단기간 내 수용 현실적 불가능
점진적 인상·반대급부 이끌 전략 세워야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3월 13일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을 만나고 있다. 워싱턴= UPI 연합뉴스


미국이 아시아 동맹국들에 연일 국내총생산(GDP)의 5%까지 국방비를 증액하라고 압박하면서 한국에도 '청구서'가 날아올 수 있다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다음 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게 직접 이런 요구를 꺼낼 수 있다. 이어 미국은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강화, 전시작전권 전환 등 '안보 카드'를 들이밀며 압박의 강도를 높일 가능성도 나온다. 안 그래도 경기 활성화를 위해 정부 지출을 늘리려는 새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0일 국방부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국방 예산(본예산 기준)은 61조2,469억 원이다. 전년 대비 국방비 증가율은 3.1%, GDP 대비 비중은 2.32% 수준이다. 이를 미국이 요구하는 GDP 대비 5% 수준까지 인상할 경우 연간 국방 예산은 132조 원에 달한다. 올해 정부가 가장 많은 예산을 편성한 보건복지 예산(125조6,560억 원)을 훌쩍 넘어선다. 단기간에 미국의 요구 수준을 맞추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셈이다. 새 정부의 경제·복지 정책이 동력을 상실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주한미군 역할 재조정 협상 지렛대로 활용할 듯

그래픽=이지원 기자


우리로서는 미국의 요구를 외면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관세 협상과 연계될 가능성이 농후한 데다, 미국이 동맹국에 안보 분야에서 더 많은 역할을 요구하는 것이 비단 트럼프 행정부의 일시적 정책이 아니라는 점에서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이 중국 압박에 전력을 집중하고 나머지 지역은 동맹국에 상당 부분 맡긴다는 전략은, 오바마 행정부 이후 20년 이상 이어져 온 일종의 철학"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 때 구체화된 한미일 안보협력, 지난해 예년 대비 2배 이상 급증한 한미 연합훈련 등은 이런 철학에 기반한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이 강화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미국이 한국에 표면적으로 원하는 건, 지난 3월 보도된 미국의 새 '임시 국가 방어 전략 지침'처럼 북한의 재래식 위협에 대해선 한국이 전적으로 책임지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전시작전권 전환을 전제로, 주한미군의 역할은 지원에 국한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주한미군 사령관을 3성 장군으로 낮추고, 유엔군사령관을 일본으로 빼서 주일 미군사령관과 겸직시킨다는 구상까지 나왔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이런 구체적 예상까지 나온 건 미국이 자신들의 전략을 현실화할 시기가 머지않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방위비 인상 요구가 미국산 무기 구매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F-22와 F-47 등 미국 첨단 전투기 도입 의사를 타진하기도 했다. 이 경우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요구에 일정 부분 응하고 국방 관련 기술 이전을 얻어내는 것도 협상 카드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무엇보다 전문가들은 우리가 가진 카드가 적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적극 활용해 미국과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인 협상으로 끌고 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홍민 위원은 "'불침 항모'에 비유되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중요성, 조선 분야 협력, 북극항로 개척 투자, 알래스카 가스전 사업 참여 등 미국이 관심을 보일 주제는 다양하다"면서 "이를 통해 단기간 국방비 인상 요구를 최소화하면서, 필요한 것들을 얻어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856 “야구보다 물벼락 맞아”…한화생명볼파크 ‘수영장 논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7.05
51855 소비쿠폰, 출생년도 따라 신청일 다르다…"난 얼마" 알아보려면 [소비쿠폰 Q&A] 랭크뉴스 2025.07.05
51854 尹, 저녁 6시 반 2차 조사 종료‥특검, 3차 소환 전망 랭크뉴스 2025.07.05
51853 트럼프 “휴전 힘든 상황”…우크라 ‘패트리엇’ 지원 재개 시사 랭크뉴스 2025.07.05
51852 "즉각 구속" vs "정치탄압"…尹 특검 조사받는 서초동서 폭염 속 집회 랭크뉴스 2025.07.05
51851 실내 있어도 못 피해…'피부노화의 적' 자외선 피하는 법 [Health&] 랭크뉴스 2025.07.05
51850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내일 방미…“한미 제반 현안 논의” 랭크뉴스 2025.07.05
51849 李대통령, 김상환 헌법재판소장 임명동의안 제출 랭크뉴스 2025.07.05
51848 트럼프 ‘핵심 법안’에 서명…“역사상 최대 감세…세계 최고 군대 갖출 것” 랭크뉴스 2025.07.05
51847 '20분 지각' 예고했던 윤석열, 1분 늦게 출석 랭크뉴스 2025.07.05
51846 전국민 15만 원에서 최대 45만 원‥"동네 가게에서 쓰세요" 랭크뉴스 2025.07.05
51845 정은경 복지부 장관 후보자, 재산 ‘56억원’ 신고 랭크뉴스 2025.07.05
51844 "국민 삶에 마중물" 토요일 국무회의 소집해 추경안 속도전 랭크뉴스 2025.07.05
51843 '90세 생일' 맞은 달라이라마… "130세 넘게 살고 싶다" 랭크뉴스 2025.07.05
51842 정은경 후보, 재산 56억 신고…용산아파트에 남편주식 5억 포함 랭크뉴스 2025.07.05
51841 미성년자와 투숙한 30대, 경찰 피해 달아나다 모텔 난간서 추락 랭크뉴스 2025.07.05
51840 전직 대통령의 굳은 표정 VS 현직 대통령의 유쾌한 웃음[신문 1면 사진들] 랭크뉴스 2025.07.05
51839 일론 머스크, 한국어로 "나는 깨어 있다"…SNS에 남긴 한마디 랭크뉴스 2025.07.05
51838 [속보]윤석열 2차 조사 9시간30분 만에 종료···조서 열람 시작 랭크뉴스 2025.07.05
51837 "서구와 달라"…하다 하다 K귀신까지 난리, 전 세계 혼 빼갔다 랭크뉴스 2025.07.05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