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이 20일 말라리아 주의보를 발령했다.

질병청은 ‘2025년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 사업’을 통해 말라리아 위험지역(서울·인천·경기·강원 등 49개 시·군·구)의 매개모기 발생 양상을 매년 조사하고 있다. 그 결과 24주 차(8~14일) 말라리아 위험지역 내 69개 조사 지점에서 매개모기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이날 말라리아 주의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얼룩날개모기(Anopheles spp.)’는 전체적으로 검은색의 중형 모기로 날개에 흑·백색의 반점 무늬가 있다. 휴식 시 복부를 40∼50°의 각도로 들고 있고, 촉수가 주둥이만큼 긴 것이 특징이다.

24주차 매개모기 밀도 감시 결과에 따르면, 철원군(0.9), 파주시(0.8), 화천군(0.6) 등 3곳에서 일일 평균 모기지수가 발령 기준인 0.5를 넘었다. 말라리아 매개모기 감시 지표인 모기지수(Trap Index)는 하루 평균 한 대의 채집기에서 채집된 모기 수를 뜻하며, 해당 수치가 0.5 이상인 시군구가 3곳 이상일 경우 주의보가 발령된다.

올해 말라리라 주의보 발령은 지난해보다 1주 늦었다. 이유는 5월 전국 평균기온이 16.8℃로 평년 대비 0.5℃, 전년 대비 0.9℃ 낮아 매개모기 발생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질병청은 국방부·보건환경연구원·지방자치단체 보건소 등과 협력해 2009년부터 매년 4~10월까지 매주 감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해당 정보는 감염병 포털과 질병청 공식 학술지‘주간 건강과 질병’을 통해 공개된다.

한편 2025년 24주(1월 1일~6월 14일)까지 국내 말라리아 환자 수는 총 130명으로, 전년 동기(143명) 대비 9.1% 감소했다. 발생 지역은 경기(63.8%), 인천(18.5%), 서울(10.0%) 순이다. 주요 감염 추정 지역은 경기 파주시·연천군·고양시 일산서구, 인천 강화군으로 확인됐다.

말라리아에 걸리면 몇 분 또는 1~2시간 동안 오한과 두통·구역 등을 보이다가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잦은 맥박과 호흡 등을 보이는 발열기가 3~6시간 이상 지속된 다음 땀을 흘리는 발한기로 이어진다.

질병청에 따르면 모기 방제와 빠른 진단 및 치료는 말라리아 전파 차단과 확산 방지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 등에서는 유충 서식지를 집중 관리해 적극적인 방제를 해야 한다. 또한 위험지역 내 의료기관에서는 발열 환자(37.5℃ 이상) 방문 시 말라리아를 의심하고, 적극적으로 검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짋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장마 전후로 점차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는 매개모기 방제를 강화하고, 모기 물림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며 “특히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 야간활동을 하는 방문자와 거주자는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면 가까운 보건소 및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구글의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61 “싸게 산다는데 웬 오남용 걱정?”…창고형 약국 가보니 랭크뉴스 2025.07.08
53160 김건희 특검, 김건희 측근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 수사 랭크뉴스 2025.07.08
53159 ‘블랙핑크 리사 연인’ 프레드릭 아르노 방한… 국내 백화점 4사 대표 만나 랭크뉴스 2025.07.08
53158 특검, 윤 정부 시절 184억 투자 받은 김건희 측근 업체 주목 랭크뉴스 2025.07.08
53157 “정말 크게 후회”…여인형, 내란 혐의 증인신문 포기 랭크뉴스 2025.07.08
53156 "대체 뭐길래 3분 만에 마감"…231억 짜리 '이곳'에 사람들 우르르 랭크뉴스 2025.07.08
53155 "이런 후보자를 어떻게 방어하나"... 부글부글 민주당, 이진숙 엄호 '이상기류' 랭크뉴스 2025.07.08
53154 강선우 후보자, '스쿨존' 과태료 늦장 납부 논란…"수행비서 운전" 랭크뉴스 2025.07.08
53153 "두 달 만에 또 '우르르' 짐싸게 생겼다"…9000명 해고한다는 '이 회사' 랭크뉴스 2025.07.08
53152 7번 찾아가고도 1%p 더 내게 된 일본 "이럴 수가" 랭크뉴스 2025.07.08
53151 3주 남기고 한미정상회담 조율‥'속도보다 국익' 강조 랭크뉴스 2025.07.08
53150 故 이건희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원에 팔렸다 랭크뉴스 2025.07.08
53149 117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서울, 퇴근길엔 '기습폭우'… 지하차도 곳곳 침수 랭크뉴스 2025.07.08
53148 오늘 날씨 왜 이러지? 폭염인데 우박 쏟아지고 물난리 속출 [제보] 랭크뉴스 2025.07.08
53147 추가 구속 뒤 달라진 여인형 “깊이 후회하고 있다”…증인신문도 포기 랭크뉴스 2025.07.08
53146 “1년 기다려야 받는다”…샤오미 YU7 조기 수령권까지 웃돈 주고 산다[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7.08
53145 서울 서남권에 호우 경보…하천 산책로·지하차도 침수 유의 랭크뉴스 2025.07.08
53144 독버섯 요리로 시댁 식구 몰살한 호주 여성… 배심원단 만장일치 유죄 랭크뉴스 2025.07.08
53143 "3주 연장된 데드라인‥'차·반도체·철강' 주력 수출품 지켜야" 랭크뉴스 2025.07.08
53142 '추락사고 오명'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 사망 랭크뉴스 2025.07.0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