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100MW(메가와트)급 AI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울산을 방문해 첨단기술산업을 통한 지방 경제 활성화를 강조했다. AI 분야는 이 대통령의 1호 대선 공약으로, ‘AI 3대 강국’ 진입을 위해 데이터센터를 대규모 구축하고 AI 투자 100조 실현을 위한 펀드를 조성하는 게 골자다. 지난 17일 캐나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세션에서도 이 대통령이 직접 소개했던 내용으로, 귀국 후 첫 공식 일정으로 AI 분야를 선택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출범식에서 박수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울산시 울주군 소재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엔 김용범 정책실장과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류덕현 재정기획보좌관 등이 자리했다. 최근 SK그룹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대규모 AI 전용 데이터센터 구축 계획을 밝힌 가운데, 이 대통령과 대통령실 정책라인 핵심 인사들이 모두 참석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지방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유치한다는 것 자체로 각별한 의미가 있다”면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향해 “우리 SK 회장님 애쓰셨다”고 인사를 건넸다. 그러면서 “제가 오늘 일부러 시간을 내서 여기 온 이유도 지방 경제 산업의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 주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앞으로 대한민국 첨단기술산업이 수도권 뿐 아니라 지방에서도 가능하다는 걸 보여주는 모범적 사례 될 수 있을 것 같다”면서 “오늘 보니 한국 주가가 2999.1 찍고 있던데, 새로운 기대로 3000포인트를 넘어서서 새로운 성장의 시대로 나아갔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울산경제도 살아나고 대한민국 성장도 꽃 피우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경제 성장을 제1과제로 ‘코스피 5000 시대′를 공약했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 대통령,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공공 25% AI화… 정부가 수요자 돼 달라"
이 대통령은 출범식 후 AI 글로벌 협력기업 간담회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선 최 회장을 비롯한 기업인들의 제안이 다수 나왔다. 구체적으로는 ▲AI 원스톱 바우처 사업 확대 ▲향후 5년 내 AI 스타트업 2만개 육성을 위한 정부 지원 ▲정부 부처 등 공공시장의 25% AI 정부화 ▲초중고 AI 필수 과목화 ▲울산 AI 특구 등 메가 샌드박스 지정 등을 요청했다. 정부가 단순 정책 지원자를 넘어 최대 규모의 수요자로 나서 달라는 뜻이다.

최 회장은 “정부 주도의 AI 시장을 형성해 정부가 수요자가 되어달라”고 했다. 그는 “정부 각 부처가 사용할 AI 어플을 발주함으로써 ‘AI 정부화’를 실현하는 것이라며 ”이런 혁신을 통해 공공의 수요가 상당히 나올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향후 5년간 5조원 규모의 시장을 만들 수 있다면서 ”정부 발주로 전체 공공시장의 25%는 AI화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고 했다.

SK는 현재 100MW 규모로 건설 중인 데이터센터를 향후 1기가와트 급으로 확장할 방침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 이준희 삼성SDS 대표이사 사장,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 서범석 루닛 대표이사,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 조준희 한국AI·SW협회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772 공범자들 석방 차단부터 ‘최정점’ 윤 재구속까지···3주간 치열했던 수 싸움[윤석열 재구속] 랭크뉴스 2025.07.10
53771 조은석 특검의 ‘22일 속전속결’···시작부터 ‘내란수괴 겨냥’ 통했다[윤석열 재구속] 랭크뉴스 2025.07.10
53770 ‘법꾸라지’ 행태 일관한 윤···법원 “증거인멸 우려” 부메랑으로[윤석열 재구속] 랭크뉴스 2025.07.10
53769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윤희숙 “어떤 개인도 칼 휘두를 권한 없다” 랭크뉴스 2025.07.10
53768 美 국방장관 전 고문 "주한미군 대폭 줄여 1만명만 둬야" 주장 랭크뉴스 2025.07.10
53767 석사학위 박탈당한 김건희, 교원 자격증도 취소된다 랭크뉴스 2025.07.10
53766 외환죄, 국힘 내란공모 수사 확대하나…尹 재구속한 특검 칼날은 랭크뉴스 2025.07.10
53765 미국서 돌아온 위성락 “국방비 조금 늘려가는 쪽으로 협의 중” 랭크뉴스 2025.07.10
53764 갤S25보다 가볍네, 접어도 얇은 Z폴드7 랭크뉴스 2025.07.10
53763 6시간40분 영장심사 공방, 윤 20분 최후진술 랭크뉴스 2025.07.10
53762 ‘전재산 5만원’ 꺼낸 14살…“너무 더워 할머니 빨리 팔고 쉬시라고” 랭크뉴스 2025.07.10
53761 특검, 尹 20일간 보강 수사 뒤 추가기소... 공범·외환 수사도 탄력 랭크뉴스 2025.07.10
53760 "尹어게인" 외친 지지자들, '다시 구속' 소식에 망연자실 해산 랭크뉴스 2025.07.10
53759 외신, '尹 재구속' 신속 보도…"장기 구금 가능성 열리게 돼" 랭크뉴스 2025.07.10
53758 지귀연 판사 '尹 구속취소' 넉달 만에…'재구속 결정' 남세진 판사 누구? 랭크뉴스 2025.07.10
53757 尹 구속 이유는 "공범 진술에 영향... 수감된 부하들과 형평성 고려" 랭크뉴스 2025.07.10
53756 윤석열 124일 만에 재구속…법원 “증거인멸 우려” 랭크뉴스 2025.07.10
53755 윤석열 재구속에 지지자들 분노, 눈물…도 넘는 과격 행동은 안 보여 랭크뉴스 2025.07.10
53754 美국방장관 前고문 "주한미군 전투병력 대폭 줄여 1만명만 둬야"(종합) 랭크뉴스 2025.07.10
53753 마라톤 심리·장고 끝 尹 재구속 결정…남세진 부장판사 누구 랭크뉴스 2025.07.10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