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인 26명과 이란 국적 가족 4명
버스 타고 투르크메니스탄으로 이동
이스라엘 체류 26명 요르단으로 대피
이란 내 체류하는 한국인과 그 가족 등 20명이 지난 17일(현지시간) 테헤란에서 대피하기 위해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이란과 이스라엘에 체류하는 한국인 일부가 이란·이스라엘 무력 충돌이 지속됨에 따라 타국으로 대피한 것으로 19일 파악됐다.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인 8명과 이란 국적 가족 2명 등 10명이 이날 이란을 벗어나 투르크메니스탄에 도착했다. 앞서 지난 18일 한국인 18명과 이란 국적 가족 2명 등 20명도 투르크메니스탄으로 이동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스라엘·이란의 무력 공방이 이어지면서 국민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이란 영공이 폐쇄된 점 등을 감안해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육로를 통한 대피를 지원(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난 17일 오전 정부가 제공한 임차 버스를 타고 테헤란에서 출발해 국경 검문소를 통과한 뒤, 투르크메니스탄의 수도 아시가바트로 이동했다. 테헤란에서 아시가바트까지는 약 1200km로, 차량으로 쉬지 않고 가면 약 16시간이 걸리는 거리다. 이동에는 휴식 시간을 포함해 30여시간이 소요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도로의 혼잡함과 안정성,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며 “(이란과 투르크메니스탄) 국경에서 한국 공관이 가까워 영사 조력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에는 한국인 80여명이 남아있다.

이스라엘 체류 한국인 25명과 가족 1명도 이날 육로를 통해 요르단으로 대피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7일 이란과 이스라엘 일부 지역의 여행경보를 격상하면서 이란 내 모든 지역에 3단계(출국 권고)가 적용되고 있다. 이스라엘 전역에도 3단계와 4단계(여행 금지)가 발령 중이다. 외교부는 “이스라엘 및 이란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은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면서 대사관의 안내에 따라 신속히 출국해 주실 것을 강력히 당부드린다”라며 “동 지역을 여행하고자 하는 국민께서는 여행을 취소 또는 연기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05 [속보] 위성락 "한미정상회담도 협의…美카운터파트와 면담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04 실업급여에 1.3조 추가 투입...19만명 추가 지원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03 서울 32도·대구 36도 ‘습한 더위’는 오늘도…전국 대부분 열대야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02 검찰이 ‘로봇 태권브이’일까? 장악하려다 또 잡아먹힌다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01 [인싸M] 파리협정 10년, "인간의 미래 결정할 10년" 현재 상황은? | 기후인사이트 new 랭크뉴스 2025.07.06
52000 '트럼프 감세법 맹비난' 머스크, 신당 '아메리카당' 창당 선언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9 이란 최고지도자 하메네이, 3주 만에 공개 석상…"이란은 굴복 안 해"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8 미 육군, 작고 느려터진 경비행기에 눈독 들이는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7 머스크, 트럼프에 정면 도전…"오늘 신당 아메리카당 창당"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6 TSMC, 1인당 성과급 8500만원 받는다… AI 실적에 반도체 업계 월급봉투 ‘희비’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5 ‘러브버그’로 뒤덮인 계양산…인천시, 방제 총력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4 대출 규제에 전세시장도 냉랭…"전세대출 안받으면 1억 낮춰줘"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3 여한구 통상본부장 “관세 협상, 실리 최대화에 집중···유예 가능성도 여전”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2 귀국 비행기표 안 끊었다… 여한구 통상본부장 "관세 상황 급박, 실리 최대화"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1 2026학년도 수능 11월 13일‥"킬러문항 배제·적정 변별력 확보"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90 내란특검, 尹 2차 소환조사 마무리…구속영장 청구 직행할까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89 핫플이 된 성수···‘황금알 낳는 거위’는 죽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88 문제는 삼성생명법? 이재명, ‘이재용의 삼성’ 손봐 재벌개혁할까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87 전직 대통령 검찰청 식사 때 설렁탕·곰탕 선호하는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7.06
51986 "삼겹살이 이 가격? 말이 돼?"…이마트 '700원 삼겹살' 가능한 이유는 new 랭크뉴스 2025.07.0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