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스라엘, "부셰르원전 타격" 발표했다 번복 혼란
오만·바레인서 피폭 대처법 확산…걸프지역 해수 담수화에 타격


불타는 테헤란
(테헤란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15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의 유류고가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화재가 발생한 모습. 2025.6.19 photo@yna.co.kr


(이스탄불·모스크바·서울=연합뉴스) 김동호 최인영 특파원 임지우 기자 = 이스라엘이 연일 이란 핵시설을 타격하면서 방사능 오염에 대한 주변국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이날 오전 이란 아라크 중수로 핵시설, 나탄즈 핵시설과 함께 부셰르 원전도 공격했다고 밝혀 초미의 관심이 집중됐다. 얼마 뒤 부셰르 원전 언급이 실수였다며 발표를 정정하면서 공격 여부를 확인도 부인도 할 수 없다고 밝혀 혼란을 부추겼다.

부셰르 원전을 직접 짓고 주변에 추가 시설도 건설 중인 러시아가 즉각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이날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의 알렉세이 리하체프 사장은 "가동 주인 (부셰르) 제1원전이 공격받을 경우 체르노빌에 비견할 재앙이 벌어질 것"이라며 "이는 악(惡)을 넘어서는 일" 경고했다고 리아노보스티 통신이 보도했다.

리하체프 사장은 부셰르원전 현장에서 일부 전문가를 대피시켰지만 핵심인력은 현장에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스라엘에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격을 즉각 멈추라고 촉구하며 "러시아 전문가들이 운영에 참여하는 부셰르 원전의 안전이 우려된다"고 언급했다.

또 "진정으로 예측 불가능하고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매우 위험한 조치가 될 미국의 군사 개입에 대해 경고한다"고도 말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타스 통신에 미국이 이스라엘·이란 분쟁에 개입할 경우 "분쟁의 지리적 범위가 확대될 것"이라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번 복잡한 분쟁을 해결할 방법을 찾을 수 있다고 믿고 있다고 전했다.

이란 부셰르 원전 전경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걸프 지역의 아랍 국가에서도 주민들의 불안이 감지된다.

페르시아만(걸프 해역) 연안에 있는 부셰르 원전은 이란 수도 테헤란보다도 오만, 바레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친미 아랍 국가들과 지리적으로 더 가깝다.

미국 CNN 보도에 따르면 좁은 호르무즈 해협을 사이에 두고 이란과 마주한 걸프 국가 오만에서는 핵사고 발생 시 대처법이 소셜미디어에서 확산했다.

이들은 특히 부셰르 원전의 폭격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주민들은 이란 원전 폭발 등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폐쇄된 실내 공간 안에 들어가 모든 문과 창문을 단단히 봉쇄하고 에어컨이나 환기 시스템을 꺼야 한다는 등의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다른 중동 국가들의 경우에도 언론에서도 잇따라 방사능 유출 사고 시 대처법을 내보내는 등 핵폭발로 인한 방사능 낙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특히 건조한 사막 국가인 이들은 이란과 공유한 걸프 해역의 바닷물을 담수화해 식수로 활용하는데, 부셰르 원전 등에서 대규모 핵사고가 발생할 경우 이 바닷물은 방사능 오염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CNN에 따르면 이 지역에 사는 약 6천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식수와 생활용수로 담수화한 걸프 해역 바닷물에 의존하고 있다.

셰이크 무함마드 알사니 카타르 총리는 지난 3월 미국 언론과 인터뷰에서 부셰르 원전이 폭발하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자체 분석했을 때 카타르 국민은 3일 안에 식수가 고갈될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알사니 총리는 그러면서 "이는 카타르뿐 아니라 쿠웨이트, UAE, 우리 모두에게 적용된다"고 강조했다.

dk@yna.co.kr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72 상가건물 추락 여성, 거리 행인들 덮쳐…4명 사상(종합2보) 랭크뉴스 2025.07.07
52671 직원만 좋아할 줄 알았는데…"'주 4일제' 직접 해본 기업, 매출 130% 껑충" 랭크뉴스 2025.07.07
52670 상가건물 추락 여성, 거리 행인들 덮쳐…4명 사상(종합) 랭크뉴스 2025.07.07
52669 [속보]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日에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68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초유의 한일 과거사 표 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67 [속보]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초유 한일 과거사 표대결 패배 랭크뉴스 2025.07.07
52666 13층 상가 옥상서 투신 10대 여성이 행인 덮쳐…지나던 10대 여성 사망 랭크뉴스 2025.07.07
52665 서울대병원, 국내 최초 로봇 폐 이식 수술 성공 랭크뉴스 2025.07.07
52664 "'잠 못자게 해줄까' 일부 동대표 갑질"…관리 직원 전원 사직 랭크뉴스 2025.07.07
52663 [속보] 법원, 노상원 추가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7.07
52662 "와 잡아먹히고 있다"…맛 없다는 '러브버그' 먹방하는 천적 드디어 나타났다는데 랭크뉴스 2025.07.07
52661 “안 그래도 더워 죽겠는데…나무가 왜 이래?” 하루아침에 뼈만 남은 70그루 랭크뉴스 2025.07.07
52660 "일본 말고 다른데 가자"…'대지진설'에 우르르 몰려가던 사람들 '뚝' 끊기더니 결국 랭크뉴스 2025.07.07
52659 어린 자매 잇따라 숨진 화재, 모두 ‘멀티탭’ 발화 추정 랭크뉴스 2025.07.07
52658 [속보] 노상원 '군사정보 불법 입수' 추가 구속 랭크뉴스 2025.07.07
52657 의정 대화 급물살…金총리 취임 첫날 전공의·의대생과 회동 랭크뉴스 2025.07.07
52656 [속보] 법원, '내란 특검 추가기소' 노상원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7.07
52655 방송 3법 신호탄 '거부권 법안' 몰아치는 민주... 협치 정국 흐려지나 랭크뉴스 2025.07.07
52654 “성능 3배나 차이난다고?”…무선이어폰 고르는 ‘꿀팁’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5.07.07
52653 “비싸서 못 먹겠다” 했는데…여기서는 건오징어 한 마리 통째로 7500원 랭크뉴스 2025.07.0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