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고 5년 만에 민사소송... '차량 결함' 주장
"'가속 페달 변위량 100%' 데이터 못 믿어"
"실제 주행 속도, 충분히 증가하지 않았다"
2020년 12월 9일 서울 용산구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테슬라 전기차가 벽면에 부딪친 뒤 불이 나 크게 훼손돼 있다. 용산소방서 제공


2020년 테슬라 모델 X 차량 사고로 숨진 대형 로펌 변호사의 유족이 5년 만에 급발진 의혹을 제기하며 테슬라 미국 본사와 한국 지사를 상대로 소송을 냈다.

해당 유족을 대리하는 하종선 변호사는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테슬라 본사 및 테슬라코리아에 대한 민사소송 소장을 전날 서울중앙지법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2020년 12월 9일 서울 용산구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테슬라 모델 X가 주차장 벽을 들이받은 사고와 관련한 소송이다. 당시 운전은 대리기사 최모씨가 했고, 이로 인해 차량에 탑승해 있던 변호사 윤모씨가 사망했다.

테슬라 모델 X 사고 차량 '결함 의혹' 제기



이날 기자회견에서 하 변호사는 사고 차량인
모델 X의 결함 의혹을 제기했다.
'텔레매틱스(차량 무선인터넷 서비스) 데이터'에는 가속 페달 변위량이 100%(차량이 최대한으로 가속된다는 뜻)로 나타나는 반면, 실제로는 주행 속도가 충분히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에 대리기사가 브레이크를 밟았던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이었다. 유족 측은
'가속 페달을 100%로 밟았다'고 표시된 텔레매틱스 데이터의 신뢰성이 부족하다고 판단
했다.

하 변호사는 "보통 자동차 사고가 나면 사고기록장치(EDR) 데이터를 보는데, 이 사고에선 벽에 충돌하자마자 화재가 발생해 EDR 데이터가 다 탔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이 차량은 EDR 이외의 작동 데이터를 텔레매틱스 데이터로 저장해 테슬라 서버로 전송하게 돼 있어서 이를 통해 사고 직전 차량 주행 속도 등을 확인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0년 12월 9일 서울 용산구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테슬라 전기차가 벽면에 부딪힌 뒤 불이 나 크게 훼손돼 있다. 용산소방서 제공


그러면서 "텔레매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시속 55.84㎞에서 6초 동안 가속 페달 변위량이 100%로 지속된 것으로 확인되는데, 6초 후 속도가 단지 시속 39㎞밖에 증가하지 않은 94.95㎞에 머물렀다"고 전했다. 하 변호사는 "이 차량의 제로백 시간(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4.6초이기 때문에 6초 동안 가속 페달 변위량이 100%로 지속됐다면 이 정도 속도밖에 되지 않았을 리 없다.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았다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AEB·에어백 작동 안 하고, 문·트렁크도 안 열려"



유족은 테슬라 측의 또 다른 책임 부분도 제기했다. 사고 당시 △전방장애물을 인식하는 자동긴급제동장치(AEB)와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차량의 모든 문과 트렁크가 열리지 않아 윤씨를 신속하게 구조하지 못했다는 내용 등도 소장에 포함한 것이다.

하 변호사는 "제조물책임법 규정에 따르면 정상적으로 주행하다 사고가 난 경우에는 결함을 추정하도록 돼 있다"며 "대리기사가 아파트에 진입한 뒤 정상 주행을 하던 중 갑자기 급발진이 발생했으니 차량 결함을 추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리기사 최씨는 지난해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금고 1년형을 선고받았다.

연관기사
• ‘윤석열 동창’ 사망한 테슬라 사고…급발진·화재·문 ‘안전 논란’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0121109420001947)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975 봉준호 ‘기생충’, NYT 독자 선정 ‘21세기 최고 영화’도 1위 랭크뉴스 2025.07.03
50974 “수사·기소권 분리 검찰개혁, 추석 전에 얼개 나올 것” 랭크뉴스 2025.07.03
50973 유명 女배우 남동생 '中 간첩단' 혐의로 체포’…"2억원 넘게 받아" 랭크뉴스 2025.07.03
50972 [단독] ‘스테로이드’부터 ‘임신중지약’까지…의약품 불법 유통 11만 건 랭크뉴스 2025.07.03
50971 李대통령, 나토 사무총장과 통화…방산협력 강화(종합) 랭크뉴스 2025.07.03
50970 "이제 바가지 안 씌워요"…믿어달라는 제주도, '회심의 카드' 또 내놨다 랭크뉴스 2025.07.03
50969 李대통령 "24시간이 모자라"…참모진 '체념' 표정 화제 랭크뉴스 2025.07.03
50968 분당·평촌 아파트값만 올랐다… 1기신도시 선도지구 지정 후 희비 갈려 랭크뉴스 2025.07.03
50967 "맨날 이렇게 자는데"…충전기 꽂은 휴대폰, 여기 두면 '큰일' 난다는데 랭크뉴스 2025.07.03
50966 “경제위기 극복이 최우선 과제” 김민석 신임 총리 임명 랭크뉴스 2025.07.03
50965 도봉구 사거리서 택시 인도로 돌진…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7.03
50964 이상민 전 장관 자택서 돈다발 발견?…"에르메스 가방 안에 놀랄 만큼 거액이" 랭크뉴스 2025.07.03
50963 김건희 특검, 도이치·명태균 제치고 ‘삼부부터’ 왜? 랭크뉴스 2025.07.03
50962 "60% 지지율 높은 숫자 아냐‥'여대야소' 지형은 국민의 선택" 랭크뉴스 2025.07.03
50961 교사가 초등학생과 사랑? 논란의 웹툰, 결국 판매 중단 랭크뉴스 2025.07.03
50960 이 대통령 "독도는 대한민국의 명확한 영토"‥"관세 협상, 쉽지 않아" 랭크뉴스 2025.07.03
50959 이진숙 장관 후보자, 교수 재직 시절 논문 2편 ‘판박이’ 논란 랭크뉴스 2025.07.03
50958 취임 30일 기자회견…“검찰 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어” 랭크뉴스 2025.07.03
50957 [영상] 두 딸 두고 일 나간지 고작 30분…8살, 6살 자매 불길에 '또' 랭크뉴스 2025.07.03
50956 "23억 네이버 주식 다 판다"…한성숙, 중기부 장관 위해 결단 내렸다 랭크뉴스 2025.07.03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