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득별로 15만~50만원까지 나뉘어
차상위·기초수급자는 기존 분류 따라
상위 10%, 건보료액 및 자산 규모로 결정
이르면 7월 초부터 지급 개시

지난 5월 20일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경기 파주시 금릉역 중앙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경기지역화폐 파주페이 카드 판넬을 들어보이고 있다. /뉴스1

새 정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해 전 국민에게 1인당 15만원에서 50만원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민생지원금)을 지급한다. 정부는 이번에 전국민지원금 규모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전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한다는 ‘보편적 복지’와 취약계층을 더 많이 지원한다는 ‘선별적 지원’ 방식을 결합했다. 소득별로 액수가 차이가 나면서 소득 계층 분류가 어떻게 되는지도 관심사다.

민생지원금 지급 액수는 일반 국민 1인당 25만원이다. 대한민국 국민의 84%인 4300만명이 여기에 해당한다. 취약계층은 지급 액수가 늘어난다. 차상위 계층 38만명엔 40만원, 기초생활수급자 271만명엔 50만원이 지급된다. 만약 농어촌 인구소멸지역(84개 시군, 약 411만명)에 거주할 경우 1인당 2만원이 추가 지급된다. 4인 가족 기준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에 거주하는 기초생활수급자의 경우 총 208만원을 받게 된다.

반면 소득·자산 상위 10%에 해당하는 512만명에는 15만원만 지급된다.

그래픽=정서희

지급 방식은 2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1차로 전국민에게 1인당 15만원씩을 기본으로 지급하는데, 차상위계층은 30만원, 기초수급자는 40만원씩 지급한다. 빠르게 지원금을 지급해 단기간에 8조5000억원 규모의 소비 여력을 보강하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이어 2단계로 상위 10%를 제외한 전 국민에게 10만원씩 추가 지급한다. 2차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는 상위 10%는 건강보험료 등을 기준으로 대상을 확정한다. 우선 직장가입자의 경우, 월 보험료가 40만원을 넘어가면 상위 10%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자산 기준은 과세표준으로 9억원 이상, 시세 20억원 이상 주택 보유자가 상위 10%에 해당할 것으로 보인다.

지급 수단은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과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 중 희망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지원금 사용처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 지역화폐를 선택할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선불카드와 신용·체크카드는 지역화폐 대비 사용처가 넓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역화폐 이용 증대를 위해 사용처를 제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급 시점은 언제일까. 일단 기획재정부는 국회에서 추경안을 처리한 후 2주 이내에 지급할 수 있도록 서두르겠다는 방침이다. 임기근 기재부 제2차관은 “1차는 보편적으로 1인당 15만원, 차상위는 30만원, 기초수급자는 40만원을 일괄 지급한다”며 “차상위와 기초수급자는 이미 선별돼 있어 바로 지급이 가능한 만큼 1차는 약 2주 내에 바로 지급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임 차관의 말처럼 국회 논의 일정이 빠르게 진행될 경우, 이르면 다음달 초부턴 지급이 시작될 전망이다.

다만 향후 실무 협의 절차가 남아있어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순기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지급시점과 사용처 등 구체적인 집행계획을 관계부처와 관계기관이 논의해 조속한 시일 내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하겠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750 [단독] 압색 대상 올랐던 '김건희 집사' 아내 회사…'엑시트' 위해 차명 활용? 랭크뉴스 2025.07.12
49749 美시카고 연은총재 "최근 관세위협, 금리인하 지연시킬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7.12
49748 "가자전쟁 장기화 이면엔 이스라엘 네타냐후 집권연장 정치속셈" 랭크뉴스 2025.07.12
49747 "할머니 좀 빌릴 수 있을까요?"…요즘 日서 '시간당 3만원' 이색 서비스 뜬다는데 랭크뉴스 2025.07.12
49746 러 외무장관, 북한 원산 도착…이틀간 방북 일정 랭크뉴스 2025.07.12
49745 "소는 평생 내가 다 키웠는데 동생들이 120마리 유산 소송을 냈습니다" 랭크뉴스 2025.07.12
49744 젤렌스키 "미 지원 재개돼"…내주 美특사 키이우 방문 랭크뉴스 2025.07.12
49743 "그곳 쉬는 날 '무표 팝콘' 쏩니다"…메가박스, CGV 쉬는 날 '팝콘 역공' 랭크뉴스 2025.07.12
49742 올트먼·황 뜨고 쿡·머스크 지고…빅테크의 對트럼프 성적표 랭크뉴스 2025.07.12
49741 “나 힘 XX세지?”라며 ‘아버지뻘 택시기사’ 때린 20대男, 항소심서 형 가중됐다 랭크뉴스 2025.07.12
49740 러시아, 美 예일대 불법 단체로 지정 랭크뉴스 2025.07.12
49739 “제가 아빤데요”…부모라도 양육권 없이 아이 데려가면 ‘미성년자유인죄’ 적용된다 랭크뉴스 2025.07.12
49738 미 국무장관 “트럼프·시진핑 회담 가능성 크다” 랭크뉴스 2025.07.12
49737 “33세 연하 예비 며느리와 눈 맞은 아빠”…전 재산 들고 ‘사랑의 도피’ 랭크뉴스 2025.07.12
49736 브라질 룰라 "美 관세부과 않도록 싸울 것…안 되면 우리도 50%" 랭크뉴스 2025.07.12
49735 집중투표제 넣은 ‘더 강한 상법’···야 “경영권 압박” 여 “과도한 우려” 공방 랭크뉴스 2025.07.12
49734 SKY 최소·현역의원 최다·기업인 선호…李 1기 내각 인선 마무리 랭크뉴스 2025.07.12
49733 "대낮에 양손에 흉기 들고 도심 활보"‥알고보니 현직 경찰 랭크뉴스 2025.07.12
49732 바다 펄펄 끓자 몸값 펄쩍 뛴 ‘국민 횟감’ 랭크뉴스 2025.07.12
49731 “내수에 총력” 직원들에 소맥 건넨 이 대통령…안주는 ‘이것’ 랭크뉴스 2025.07.12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