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바이오USA 기업 소개 세션 참여···현지 관심 뜨거워
세계 최초 골관절염치료제···미국 상업화 카운트다운
빅파마 등 200곳 이상 미팅 요청···35곳 '선택과 집중'
신약 상업화 전문가···빅파마·자체 상업화 등 전략 고려
전승호(왼쪽) 코오롱티슈진 대표가 1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 바이오USA에서 기업 발표를 마친 후 업계 관계자로부터 명함을 받고 있다. 이정민 기자

[서울경제]

"바이오USA에서 글로벌 빅파마를 포함해 200곳 이상으로부터 미팅을 요청받았습니다. 미팅을 하면 할수록 'TG-C(인보사)'가 상업적으로 성공할 것 같다는 확신이 듭니다"

전승호 코오롱티슈진(950160) 대표는 1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고 있는 바이오USA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골관절염은 현재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상업성이 큰 시장이라 예상보다 훨씬 많은 회사들이 인보사에 관심을 보였다"며 이 같이 밝혔다. 2월 취임한 전 대표가 언론사와 인터뷰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전 대표는 바이오USA 기업 발표 세션에 참여했다. 이 세션은 회사 파이프라인과 연구개발(R&D) 현황을 소개하는 자리다. 바이오USA 참가 기업 중 엄격한 심사를 거쳐 일부 기업에게만 기회가 주어지는 만큼 글로벌 투자자나 빅파마 사업개발(BD) 담당자들의 이목을 끌 수 있다. 실제로 이날 발표를 마친 후 한 글로벌 업계 관계자가 전 대표에게 다가가 "TG-C에 관심이 있다"며 먼저 명함을 건네기도 했다. 그는 "바이오USA 기업 발표 세션은 잠재적인 파트너나 투자자를 위한 자리이기 때문에 유의미한 임상 데이터가 있어야만 참여할 수 있다"며 "기업 발표 세션에 참여한 것 자체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코오롱티슈진에게 이번 바이오USA 참가는 의미가 크다. 회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 중인 골관절염 세포유전자치료제 TG-C의 상업화를 함께 할 파트너사를 만날 수 있는 자리기 때문이다. TG-C는 미국에서 임상 3상 투약 절차를 마치고 현재 추적 관찰을 진행 중으로 상업화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전 대표는 "이번 미팅에서 만난 회사와 파트너링을 맺을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라며 "200여곳 이상으로부터 미팅 요청을 받았지만 실제로 파트너링을 맺을 만한 회사 35곳을 엄선해 미팅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그는 "35곳에 집중하기 위해 200개 정도 회사를 디클라인(거절)했다"고 말했다.

전승호 코오롱티슈진 대표가 18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 바이오USA에서 기업 발표를 하고 있다. 이정민 기자


전 대표는 현재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상업화 전략을 고심 중이다. 그는 대웅제약 재직 당시 ‘연 매출 1조 원’ 시대를 연 신약 상업화 전문가다. 전 대표는 "초기 임상을 진행하는 회사들은 자금 문제 등으로 기술수출을 하지 않으면 글로벌 임상을 진행하기 어렵다"며 "TG-C은 이미 3상을 끝냈고 데이터도 긍정적이라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디"고 말했다.

전 대표는 이번 바이오USA에서 3종류의 미팅 파트너에 집중했다. 빅파마, 스페셜티 파마, 마케팅 전문 파트너다. 스페셜티 파마는 특정 질환이나 환자 집단을 위한 의약품 개발 및 판매에 특화된 제약사다. 전 대표는 "빅파마와 파트너링을 맺으면 라이센싱 아웃을, 스페셜티 파마와는 공동판매를 계획 중"이라며 "자체 상업화도 선택지 중 하나"라고 말했다.

코오롱티슈진은 트럼프발 관세 이슈로부터 무풍지대일 것으로 예상된다. 코오롱티슈진은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론자 싱가포르 공장에서 TG-C를 생산한다. 싱가포르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맺어 TG-C는 면세 코드로 분류된다. 특히 TG-C가 품목허가를 받을 경우 세계 최초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가 탄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체제가 없어 미국도 관세를 부과하기가 쉽지 않다. 전 대표는 "관세 이슈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싱가포르 외 해외 공장도 여러 방향으로 고려 중이다"고 말했다.

한편, 인보사는 2017년 세계 최초의 골관절염 치료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았으나 미국 임상 중 핵심 성분이 코오롱 측 신고 내용과 다르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2019년 허가가 취소됐다. 이후 국내에서는 생산·개발 절차가 모두 중단됐지만 미 FDA는 2020년 임상 재개 결정을 내렸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712 토요일 국무회의 '긴급 소집', 새 총리 참석한 가운데‥[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7.05
51711 라부부 열풍의 끝은 어디일까?…리셀, 욕망과 희소성의 역사 랭크뉴스 2025.07.05
51710 “김건희가 일반인이냐”는 윤석열 측근…휠체어 퇴원은 “저혈압 때문” 랭크뉴스 2025.07.05
51709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본사·직전 사무실도 함께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05
51708 "맨날 폭탄주‥일 똑바로 했어봐" 사과 요구에 '황당'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7.05
51707 트럼프 “관세율 적은 12개국 서한에 서명, 7일 발송” 랭크뉴스 2025.07.05
51706 [속보] 내란특검 "오전 중 尹 체포 방해 조사 종료" 랭크뉴스 2025.07.05
51705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관련 회사 대표 소환 조사 중” 랭크뉴스 2025.07.05
51704 관세협상 난항 인도, WTO에 “미국 상품에 보복관세 부과 예정” 통보 랭크뉴스 2025.07.05
51703 조감에 깃든 권력, 예속되지 않는 걸음 [.txt] 랭크뉴스 2025.07.05
51702 국민의힘 “與 32조 추경 강행, 나라 곳간 거덜 낸 예산 폭주” 랭크뉴스 2025.07.05
51701 트럼프 "'관세 적시' 12개국 서한에 서명, 7일 발송"(종합) 랭크뉴스 2025.07.05
51700 인요한도 최재형도 혁신위 잔혹사…안철수 성공, 홍준표에 답 있다? 랭크뉴스 2025.07.05
51699 "자연분만 무서워 편하게 낳을래"…제왕절개로 태어난 아이, '이 병' 걸릴 가능성 랭크뉴스 2025.07.05
51698 “오빠 보러 전주 와”…가출 청소년 유인해 함께 투숙한 30대,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7.05
51697 국민의힘 "묻지마 추경 강행… 국민 세금으로 표 사려는 포퓰리즘" 랭크뉴스 2025.07.05
51696 "하루 30시간이면 어떨까"하던 이 대통령, '주말 국무회의' 연 까닭 랭크뉴스 2025.07.05
51695 트럼프, 관세율 통보하는 서한에 서명…12개국에 발송한다 랭크뉴스 2025.07.05
51694 ‘일본 대지진설’ 당일에 도카라 열도서 규모 5.4 지진…“우연일 뿐” 랭크뉴스 2025.07.05
51693 尹 출석 후 3시간… 특검, 중식 위해 오전 조사 종료 랭크뉴스 2025.07.05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