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저가 내연차·하이브리드차 판매에 집중
독일·프랑스 대신 이탈리아·스페인 시장 공략
머스크 정치 리스크도 호재
동유럽 시장도 진출 확대될 듯

유럽연합(EU)의 고율 관세에도 중국 자동차 업체들은 유럽 시장 공략에 오히려 더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속한 개발 역량을 바탕 삼아 판매 차종과 지역을 다변화한 전략이 점유율 확대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18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유럽 내에서 가파른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장조사업체 자토다이내믹스(JATO Dynamics)에 따르면 지난 4월 EU 전체 신규 등록 차량 중 중국 브랜드 자동차는 4.9%인 5만3000대를 기록, 전년(2.4%)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EV 판매 회복세도 뚜렷하다. 지난 10월 EU가 향후 5년 간 덤핑 방지 관세를 부과키로 하면서 중국산 EV 판매량은 일시적으로 감소세를 보인 바 있다. 그러나 지난 4월 중국산 EV는 전년 대비 판매량이 59% 급증, 동기간 유럽 전체 EV 시장 성장률(26%)을 크게 웃돌았다. 이번 1분기 기준 유럽에서 판매된 EV 5대 중 1대는 중국산으로 집계된다.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빠르게 유럽 시장 내 입지를 넓힌 비결로는 전략적 유연성이 지목된다. EU의 고율 관세가 EV에 집중되자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차 수입 비중을 높여 저렴한 모델을 중심으로 판매한 식이다.

현재 EU 내에서 중국산 EV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제조사별로 상이하다. EU 전체 수입차 관세(10%)에 상하이자동차는 35%, BYD는 17%, 테슬라(상하이 생산)는 8%가 추가된다.

실제로 이번 1분기 기준 중국 기업들의 유럽 판매 차량 중 EV 비중은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지역을 다변화한 전략도 주효했을 것으로 평가된다. 오랫동안 유럽 자동차 시장은 독일과 프랑스 중심의 자국 브랜드 선호도가 높아 유럽 외 업체들의 진입이 어려웠다. 아우디와 스코다를 생산하는 폭스바겐의 유럽 신차시장 점유율은 28%에 달하며 푸조와 시트로엥을 둔 스텔란티스는 16%에 육박한다.

이에 중국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브랜드 로열티가 낮은 남부 유럽 시장을 공략한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중국차 판매량의 3분의 2는 이탈리아와 스페인, 영국에서 이뤄졌다. 이탈리아의 경우 자국 제소사 피아트에 대한 충성도가 대폭 낮아졌으며 스페인은 강한 경쟁력을 보이는 자동차 제조사가 부재한 상황이다. 아울러 영국은 EU 회원국이 아니기에 관세 적용이 이뤄지지 않아 더욱 유리한 시장 조건이다. EV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것도 이들 지역의 특징이다.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유럽 내 정치적 행보도 중국 기업에는 호재가 됐다. 머스크가 극우 정치 세력을 공개 지지하면서 유럽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테슬라에 대한 반감이 심화했다. 지난 4월 BYD의 유럽 내 EV 판매량은 7231대로 처음으로 테슬라(7165대)를 앞선 바 있다.

물론 업체들의 제조 역량이 우수하다는 점도 근본적인 경쟁력이 됐다. 이탈리아 소재 수입차 딜러사의 피에르 쟈코모 카펠라 대표는 “독일 업체들은 신차 개발에 최소 2년이 걸린다”며 “반면 BYD, 지리자동차, 체리자동차 등 중국 업체들은 6개월이면 너끈하다”고 말했다.

중국 업체들은 이미 도요타와 현대차 등 경쟁사보다 유럽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유럽자동차제조업협회(EAA)에 따르면 4월 기준 EU 신차 등록 대수에서 도요타·현대차 점유율은 약 8%, 포드는 3%에 그쳤다. 제너럴모터스(GM) 또한 전기 캐딜락 판매에만 그치며 미미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향후 중국차 업체들의 유럽 시장 공략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BYD는 내년부터 헝가리와 튀르키예 생산 거점 가동을 계획하고 있는 만큼 점유율 확대 조짐이 관측되고 있다. 유럽 자동차 연구기관 슈미트오토모티브(Schmidt Automotive Research)의 펠리페 무뇨스 연구원은 “BYD가 헝가리와 튀르키예 현지 생산을 본격화하면 유럽 내 성장 속도는 지금보다 훨씬 더 빨라질 것”이라 전망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475 [속보] 尹, 침묵한 채 법정 향했다…이르면 오늘밤 재구속 여부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74 [단독]김건희 특검팀, 명태균 게이트 폭로 강혜경씨 16일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73 [속보]코스피, 사흘째 올라 장중 연고점 경신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72 대통령실 "이진숙, 지시와 의견 헷갈리면 국무회의 참가 자격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71 [단독] 내란 특검, 조태용 직권남용 혐의 수사 착수…‘홍장원 사직 강요’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70 “사장님이 정신차렸어요?"…‘공짜 소주·맥주’ 한때 풀리더니 다시 술값 오른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9 '이태원 핼러윈 자료 삭제' 서울경찰청 전 정보부장 징역 6개월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8 차입금 2년 만에 15배 늘었다, 재무부담에 신용등급 전망 내려간 BS한양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7 “후보자도 송구스럽게 생각”…이진숙 교육장관 후보, 딸 조기 유학에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6 돼지국밥으로 유명한 ‘이곳’, 결국 인구 10만명 '붕괴'…59년 만에 반토막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5 한국도 찜통인데… 35도 넘으면 '폭염수당' 지급하는 이 나라[글로벌 왓]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4 대통령실 "지시·의견 헷갈리면 회의참석 자격없어"…이진숙 겨냥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3 홍준표, 국힘 겨냥해 "사기 경선한 자들…뿌린 대로 거두는 법"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2 日서 자국 유학생 800명 토익 부정행위 도운 中 남성 적발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1 [단독] 내란 특검, ‘홍장원 사직 강요’ 조태용 직권남용 혐의 수사 착수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60 “카톡 선물하기 왜 안 되지?”…20만명 대기한 ‘이것’ 한정 판매 때문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59 ‘내 정치’ 한 적 없다는 이진숙 반박에…“두 가지 오류 짚어주겠다”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58 '이제 바닥은 찍었겠지'…삼성전자 순매수 1위 등극[주식 초고수는 지금]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57 "축구인생 건다"던 기성용 1억 받는다…성폭행 의혹 손배소 승소 new 랭크뉴스 2025.07.09
53456 [속보] 이명현 해병특검 "박정훈 대령 재판 항소 취하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7.09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