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양천구 선관위 관계자들이 21대 대통령 선거 '거소투표용지'를 인쇄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6·3 대통령선거 당시 기표된 투표용지가 회송용 봉투에서 발견된 사건은 자작극이 아니라 투표사무원의 실수인 것으로 경찰 수사 결과 드러나면서 선거관리위원회를 향한 지탄이 거세지고 있다. 앞서 선관위는 사실 관계가 확인되기도 전 “자작극이 의심된다”는 입장을 낸 바 있다.

선관위는 18일 “기표된 투표지가 회송용 봉투에 들어가 선거인에게 교부된 일련의 과정은 전례가 없었고 실제 일어날 가능성도 희박한 상황”이라며 “선거인을 의심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선관위는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지난달 30일 오전 7시10분쯤 경기 용인시 수지구 성복동 주민센터 사전투표소에서 유권자에게 나눠준 회송용 봉투에서 이재명 당시 대선후보에게 기표가 된 투표용지가 반으로 접힌 채 나왔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선관위는 당시 언론 공지를 통해 “해당 선거인이 타인으로부터 기표한 투표지를 전달받아 빈 회송용 봉투에 넣어 투표소에서 혼란을 부추길 목적으로 일으킨 자작극으로 의심돼 수사를 의뢰하겠다”고 주장했었다.

하지만 경찰에 따르면 투표사무원은 실수로 A씨에게 회송용 봉투를 2개 지급했다. 그는 이를 인지했으나 기표한 투표지가 담긴 봉투 1개는 투표원에게 반납하고, 투표지가 없는 빈 봉투를 실수로 투표함에 넣고 말았다. 이후 A씨가 투표사무원에게 반납한 회송용 봉투를 B씨가 지급 받으면서 문제가 벌어진 것이다.

선관위는 이에 대해 “사전투표 기간 중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단체 등으로부터 다수의 투표 방해 행위가 있었다”며 “그로 인해 투표소 등에서 혼란이 많았다. 명확한 사실관계 확인을 위해 수사 의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투표사무원의 단순 실수와 선거인의 착오가 결합해 발생한 우발적인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선관위의 경솔한 대처를 두고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허위사실을 유포해 투표인 명예를 훼손해 법적 대응이 가능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769 [속보] 이 대통령 "차별금지법, 중요한 과제지만 민생 경제가 더 시급" 랭크뉴스 2025.07.03
50768 李 “부동산 대출 규제는 맛보기…공급도 속도 충분히” 랭크뉴스 2025.07.03
50767 24시간이 모자라… ‘취임 한 달’ 李 “민생 회복이 최우선, 대출규제는 맛보기 불과”(종합) 랭크뉴스 2025.07.03
50766 이재명 대통령 “30.5조 추경으로 민생·성장 동시 해결” [전문] 랭크뉴스 2025.07.03
50765 李 대통령 "주 4.5일제, 반드시 해내야 하는 과제" 랭크뉴스 2025.07.03
50764 전북어린이창의체험관 주차장서 3세 여아 차량에 치여 숨져 랭크뉴스 2025.07.03
50763 특검, 삼부토건 압수수색…김건희 ‘주가조작’ 가담 여부 조준 랭크뉴스 2025.07.03
50762 국힘 내 인적 쇄신 요구 분출 “중진 총선 불출마, 2선 후퇴 선언해야” 랭크뉴스 2025.07.03
50761 李 "새 신도시 건설? 목 마르다고 소금물 계속 마시는 격" [취임 한달 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760 李대통령 "대출규제는 '맛보기'에 불과…부동산 정책 엄청 많아" 랭크뉴스 2025.07.03
50759 미성년자 9차례 성폭행한 충주시 공무원 구속…"도주 우려"(종합) 랭크뉴스 2025.07.03
50758 이 대통령 “눈치가 좀 보이지만, 하루가 30시간이었다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3
50757 자매 숨진 아파트 합동 감식 "발코니 에어컨 쪽 많이 그을려" 랭크뉴스 2025.07.03
50756 국민의힘, '김민석 총리 인준' 표결 불참…상법 처리는 참여 랭크뉴스 2025.07.03
50755 “고등어 가격 보고 장보기 겁나네” 가공식품 값도 슬쩍 인상 랭크뉴스 2025.07.03
50754 이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 “민생 회복 전력…통합의 국정” 랭크뉴스 2025.07.03
50753 내란 특검, 계엄 다음날 ‘안가 회동’ 김주현 전 민정수석 소환 랭크뉴스 2025.07.03
50752 [속보]이 대통령 “이번 대출 규제는 맛보기 정도에 불과···부동산 정책 많다” [취임 첫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5.07.03
50751 [속보] 이 대통령 “관세협상 8일까지 어려워…원하는 것 정리 안돼” 랭크뉴스 2025.07.03
50750 [속보] 이 대통령 "대출 규제는 맛보기... 수요 억제 등 부동산 정책 많다" 랭크뉴스 2025.07.03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