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원구 일대 공인중개 사무실, 손님들로 활기
호가·실거래·거래량 삼박자로 뛰고 있어
주택매매시장 소비자 심리지수, 서울 1곳 빼고 24개구에서 상승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강북 지역의 아파트 단지. 서성일 선임기자


6년 전 구입한 서울 도봉구 아파트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모씨(40)는 지난 2~3월만 해도 집값 상승은 그저 ‘강남 얘기’인 줄 알았다. 그러다 최근 김씨가 사는 단지를 사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김씨는 요새 부쩍 동네 부동산 중개소를 찾고 있다. 그는 17일 “기다리면 오른다는 생각이 든다”며 “더 오를 것 같아서 지금은 팔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올해 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함께 강남 3구 중심으로 커진 집값 상승 기대감이 노원·도봉·강북구 등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지난달 주택 가격에 대한 기대 심리가 서울에서 자치구 한 곳을 빼고 모두 전월 대비 상승하면서다. 서울 강북 지역에서도 호가와 실거래가, 거래량까지 슬금슬금 뛰고 있다. 집값 상승 기대 심리가 확산되면 주택 시장 과열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날 서울 노원구 일대의 부동산 중개업소는 평일인데도 활기를 띠었다. 매매 거래 조건을 최종 조율하거나 매수 문의를 하는 손님을 상대하느라 공인중개소 중개사들이 진땀을 빼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서울 노원·도봉·강북구 등은 아직 전고점 대비 집값이 80%대에 머물고 있지만 기대감이 만연하다. 노원구의 한 아파트 단지 근처에서 영업하는 공인중개사 A씨는 “아직 상승 거래가 나오진 않았지만, 가격이 낮은 급매물들이 싹 빠지고 매수 문의가 느는 등 조짐이 보인다”며 “통상 강남이 오르면 2~3개월 시차를 두고 여기도 오른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노원구의 또다른 공인중개사 B씨도 “다른 지역에 비해 여전히 값이 싸기 때문에 문의 전화가 최근 꽤 늘었다”며 “오랫동안 보합세였는데 이달 들어 상승 거래가 몇 건 나왔다”고 전했다.

집값의 ‘들썩임’은 ‘호가’ ‘실거래가’ ‘거래량’ 등 삼박자로 알 수 있다. 호가가 오르고 실거래가가 상승하고, 결정적으로 집값이 오른다는 ‘표시’는 거래량이다.

노원구의 경우 호가와 실거래가, 거래량 모두 증가 추세다. 한국부동산원의 6월 둘째주(9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노원구는 상계·월계동 중심으로, 도봉구는 창·쌍문동 중심으로 각각 0.08%, 0.07% 상승하며 전주 대비 상승 폭을 키웠다.

서울의 아파트 실거래가 정보를 보여주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를 보면, 노원구 거래량은 1월 218건에서 5월 519건로 약 2.4배 늘었다. 서울시 전체의 부동산 거래량은 1월 3503건에서 5월 7251건으로 2.06배 늘었다.

여기에 ‘부동산 상승 심리’가 자극되고 있다. 부동산 가격 기대 심리는 시차를 두고 실제 가격을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

국토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지난달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를 보면, 5월 서울 주택매매시장의 소비자 심리지수는 131.5로 4월(120.5) 대비 11포인트 올랐다. 서울 지역에서 집값이 오르고 거래가 늘고 있어, 집을 매수해야 한다는 심리가 한달 사이 대비 크게 높아진 것이다.

국토연구원은 전국 152개 시군구의 중개업소·일반가구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해당 지수를 산출한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전월에 비해 가격이 오르고 거래가 늘고 있다는 응답이 더 많다는 의미다.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구분한다.

특히 집값이 오르고 있다고 느끼는 심리가 강남 3구 등에서 서울 외곽까지 퍼지고 있다. 자치구별로 보면, 지난달 금천구를 제외한 서울 전 자치구의 주택매매 소비심리가 상승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에는 25개 자치구 중 강남·서초구 등과 인접한 16개 구에서 상승 심리가 나타났는데, 한 달 만에 24개구로 상승 심리가 번진 것이다. 1~3단계로 구분하는 상승 심리 강도도 높아졌다. 지난 4월 상승 국면 2단계에 진입한 자치구는 서울에서 성동구가 유일했다. 지난달 들어 양천·동작·송파·마포·서대문·성동·광진·중구 등 8곳이 상승 국면 2단계로 들어섰다.

한국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주택가격 기대심리는 주택가격 상승률을 8개월가량 선행한다고 분석하며, 주택시장 기대심리 과열의 억제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 연구원은 “강남 등 서울 중심지에서 주택 가격 상승의 ‘진앙’이 나타나면, 주변 지역으로는 매물 부족에 따른 수요 이동이 나타나고 외곽 지역에서는 매수 심리가 자극돼 집값 상승세가 번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464 LG전자, 2분기 영업익 6391억원 ‘반토막’… 美 관세 여파·TV 수요 감소에 부진 랭크뉴스 2025.07.07
52463 [속보] 법원, 오는 수요일에 윤석열 구속영장 실질심사 진행 랭크뉴스 2025.07.07
52462 [단독] 특검, 삼부토건 李회장 10일 소환… 李 “난 골수 민주당원” 랭크뉴스 2025.07.07
52461 “어디에 쓸까” 민생 소비 쿠폰 11월 말까지 안 쓰면 환수 랭크뉴스 2025.07.07
52460 [속보]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실질심사 수요일 14시 15분 랭크뉴스 2025.07.07
52459 안철수 “날치기 혁신위에 자괴감, 당대표 도전”···혁신위원장 사퇴 랭크뉴스 2025.07.07
52458 [속보] 내란특검 ‘윤석열 구속영장’ 심사, 9일 열린다 랭크뉴스 2025.07.07
52457 [속보] 'VIP 격노설'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 '순직해병' 특검 출석 랭크뉴스 2025.07.07
52456 [속보] 서울중앙지법, 윤석열 구속영장 심사 9일 2시 15분 랭크뉴스 2025.07.07
52455 [속보]“날치기 혁신위 거부”… 안철수 “당대표 도전” 랭크뉴스 2025.07.07
52454 안철수, 혁신위원장 사퇴 "비대위서 인적쇄신 수용 어렵다 해" 랭크뉴스 2025.07.07
52453 안철수, 혁신위원장 전격사퇴…"거대한 벽에 부닥쳐, 전대 출마" 랭크뉴스 2025.07.07
52452 [단독] 특검 "尹, 외신에 '계엄은 헌법 수호 액션' 거짓 홍보 지시" 랭크뉴스 2025.07.07
52451 [단독] “지게차 업체까지 소환”…김건희 후원 21그램만 봐준 감사원 랭크뉴스 2025.07.07
52450 [속보] 김계환 전 해병사령관, 특검 출석…‘VIP 격노설’ 조사 랭크뉴스 2025.07.07
52449 [속보] 安 "비대위, 인적쇄신안 받지 않겠다고 해…혁신위원장 사퇴" 랭크뉴스 2025.07.07
52448 [단독] 이 대통령, 미국 특사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낙점 랭크뉴스 2025.07.07
52447 韓 잠재성장률 첫 1%대 추락…英·伊에도 밀릴 판 랭크뉴스 2025.07.07
52446 폭염에 해발 1000m 등산한 50대 사망…체온 40.5도 랭크뉴스 2025.07.07
52445 “국민연금처럼?” 퇴직연금 대수술, 방향이 잘못됐다! [수술대 오른 퇴직연금②] 랭크뉴스 2025.07.0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