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대 은행 평균 연체율 0.49% 달해
내수부진에 취약 가계·자영업자
대출 부실 위험 지표 11년만에 최고
국민일보DB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이 길어지면서 은행에서 빌린 돈을 제때 갚지 못한 가계와 개인사업자 비율이 10여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전체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은 평균 0.49%로 집계됐다. 지난 5월의 0.44%보다 0.05% 포인트 오른 수치다. 지난해 연말 대비로는 5개월 만에 0.14% 포인트 올랐다. 대출 주체별로 봐도 가계(0.36%)·대기업(0.18%)·중소기업(0.71%)·개인사업자(0.67%) 모두 연체율이 오름세를 보였다.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 채권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역시 빠르게 오르고 있다. 우리은행을 제외한 4대 은행의 지난달 말 원화 대출 대비 NPL 비율은 평균 0.45%로 지난해 연말(0.33%) 이후 0.12% 포인트 치솟았다.

특히 내수 부진에 취약한 가계와 개인사업자 대출의 부실 위험 지표는 약 11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A은행의 경우 지난달 말 가계(0.33%)와 개인사업자(0.56%)의 연체율이 모두 2014년 6월 말 이후 10년11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B은행은 개인사업자의 연체율이 0.57%로 2014년 9월 말 이후 10년9개월 만에 최고치였다.

은행권도 대출 건전성 관리 수위를 끌어올리는 모습이다. 우리은행은 연체관리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가계·기업 신용대출을 최장 10년 만기 분할상환 대출로 전환하는 등 적극적인 채무 조정을 실시하고 있다. KB국민은행도 차주·업종별 위험도를 분석해 신규 대출 취급 기준을 조정 중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443 [속보] 국토부 김윤덕, 문체부 최휘영…李, 장관 후보 모두 확정 랭크뉴스 2025.07.11
54442 코스피, 3년 만에 3200 ‘탈환’... 코스닥도 800선 회복 랭크뉴스 2025.07.11
54441 [속보] 국토부 장관 후보자 김윤덕, 문체부 장관 후보자 최휘영 랭크뉴스 2025.07.11
54440 김종대 “김건희 집사 게이트, 최순실 게이트와 판박이” 랭크뉴스 2025.07.11
54439 [속보] 내란특검 “尹 불출석 사유서에 ‘건강상 이유’”, “자료 확인 후 후속조치” 랭크뉴스 2025.07.11
54438 [속보] 李대통령, 국토부 장관에 김윤덕 의원 지명 랭크뉴스 2025.07.11
54437 채 상병 특검, 윤석열 개인 휴대전화 확보 랭크뉴스 2025.07.11
54436 [속보] 이 대통령, 국토부 장관 김윤덕 ·문체부 장관 최휘영 지명 랭크뉴스 2025.07.11
54435 [속보]이 대통령, 문체 최휘영·국토 김윤덕 장관 내정···새 정부 1기 내각 인선 완료 랭크뉴스 2025.07.11
54434 [속보] 李대통령, 문체부 장관에 최휘영·국토부 장관에 김윤덕 지명 랭크뉴스 2025.07.11
54433 윤석열, 오늘 오후 2시 특검 조사 또 ‘불출석’…강제구인 되나 랭크뉴스 2025.07.11
54432 [2보] 尹, 내란특검 재구속 후 첫조사 불응…"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11
54431 [단독] 구속 부른 尹 최후진술…"오히려 증거인멸 의심 키웠다" 랭크뉴스 2025.07.11
54430 보은서 드론으로 농작업 하던 60대, 드론 날개에 중상 랭크뉴스 2025.07.11
54429 [Why] 中 공산당원 수가 사상 최대치를 돌파한 이유 랭크뉴스 2025.07.11
54428 천장 뚫은 비트코인, 강세 요인 2가지 ‘엔비디아·기관’… 올해 14만달러 간다? 랭크뉴스 2025.07.11
54427 [속보] 윤 전 대통령, 구치소에 특검 조사 불출석 사유서 제출 랭크뉴스 2025.07.11
54426 “4대 이모님 가전 모실게요”~폭염 기승에 매출 3배 뛴 ‘이 제품’ 랭크뉴스 2025.07.11
54425 잇단 19% 지지율에 TK 지지층도 이탈…국힘 "심각하고 엄중" 랭크뉴스 2025.07.11
54424 "고객님께 설명 드릴 마음 없다"… 현대차 상담 직원 불친절 논란 랭크뉴스 2025.07.11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