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안보실은 라인업 완성
AI 정책 컨트롤타워에 젊은 민간 전문가
김현종, 文정부 때 국방개혁비서관 역임
안보실 2·3 차장에 외교관 출신 임웅순·오현주
강훈식 "최대 당면 과제인 외교·통상 문제 풀 것"
15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인선 관련 브리핑에서 AI 미래기획수석에 임명된 하정우 네이버AI혁신센터장이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대통령실 정책실장 산하에 신설되는 AI(인공지능)미래기획수석에 하정우 (48) 네이버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을 임명했다. 국가안보실 1·2·3차장에는 김현종(60) 전 청와대 국방개혁비서관, 임웅순(61) 주캐나다 대사, 오현주(57) 외교부 주교황청대한민국대사관 특명전권대사가 임명됐다. 이 대통령은 이번 인선에 대해 "AI 3대 강국 도약 목표를 재확인했고, 안보실 구성이 완료되면서 G7 계기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정상외교·경제통상 협상 복원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날 인선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하 수석이다. 민간 전문가이자 40대인 하 수석은 'AI 3대 강국 도약' 공약을 체계화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AI 투자 100조 원 시대 실현 방안으로 △투자 로드맵 △10만 명 인재 양성 △대규모 AI 데이터 센터 구축 등을 지휘하게 된다. 강 실장은 하 수석에 대해 "AI주권을 강조한 '소버린AI'를 앞장서 제안하고 이끄는 인사"라며 "국가가 기업을 지원하고 기업은 성과를 공유하는 AI 선순환 성장 전략을 강조한 전문가"라고 소개했다.

부산 출신으로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한 하 수석은 네이버 퓨처(Future) AI 센터장, AI 랩(Lab) 소장, 사단법인 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위한국민연합(과실연) 공동대표를 맡고 있으며,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안보실, 외교관 출신 포진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국가안보실 1·2·3차장에 김현종 전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과 임웅순 주캐나다대사관 특명전권대사, 오현주 주교황청대사관 특명전권대사를 각각 임명했다. 뉴스1


안보전략을 책임지는 김현종 안보실 1차장은 문재인 정부 때 청와대 국방개혁비서관을 지낸 군 개혁 전문가다. 강 실장은 김 차장에 대해 "군 정책 분야 경험이 풍부해, 안보 역량 강화는 물론 군의 개혁을 이끌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전남 영광 출신인 김 차장은 육군사관학교 44기로, 육군본부 정책실장, 육군 5군단장,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 등을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안보실 2차장 등을 지낸 김현종 전 실장과는 동명이인이다.

안보실 2·3차장에는 외교관 출신들이 기용됐다. 외교·통일 정책을 총괄하는 임웅순 2차장은 대전 출신으로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해 외무고시 22회로 외교 공무원을 시작했다. 외교부 기획조정실 인사기획관, 주미한국대사관 공사, 주뉴욕한국총영사관 부총영사 등을 역임했다. 강 실장은 임 차장에 대해 "대미외교 경험이 풍부하며, 현재 주캐나다 대사로 현지에서 G7 정상회의에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현주 3차장은 첫 안보실 여성 차장으로 발탁됐다. 광주 출신으로 고려대 서문학과를 졸업한 오 차장은 외무고시 28회로, 외교부 주유엔대한민국대표부 차석대사, 유니세프 집행이사회 부의장 등을 거쳐 최초의 여성 주교황청대사로 임명됐었다. 강 실장은 "다양한 경험을 가진 오 차장은 세계 각국이 경제안보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는 가운데,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경제안보 전략 수립에 나설 것"이라고 소개했다.

강 실장은 안보실에 외교관 출신들이 주로 포진한 배경에 대해 "현재 가장 중요한 문제는 외교와 통상"이라며 "특히 오 3차장은 유엔에서 주요 보직을 맡으며 경제외교 분야에 역량을 갖춘 인사"라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73 '트럼프法'에 반기 든 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랭크뉴스 2025.07.06
51972 갈 곳 못 정한 채···미 과학재단도 난데없이 내쫓긴다, 트럼프 몽니에 랭크뉴스 2025.07.06
51971 55년 만에 열린 ‘하늘 아래 가장 높은 샘’…한라산 백록샘 첫 공개 랭크뉴스 2025.07.06
51970 "스타벅스가 한국에만 들여오더니"…'이것' 도입한 매장이 돈 더 벌었다 랭크뉴스 2025.07.06
51969 거리에서 제철 과일을 파는 여성 노인, '탄소 중립'의 조용한 실천자 랭크뉴스 2025.07.06
51968 1주일 만에 또 워싱턴행‥"관세 유예 또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7.06
51967 전 국민 15만 원‥비수도권·취약계층 더 두텁게 랭크뉴스 2025.07.06
51966 ‘트럼프 반기’ 머스크, 신당 창당…“오늘 아메리카당 출범” 랭크뉴스 2025.07.06
51965 초강력 대출규제에 서울 아파트 거래량·거래금액 65% ‘뚝’ 랭크뉴스 2025.07.06
51964 동물복지일까 농가 담합일까…달걀값이 오른 까닭은 랭크뉴스 2025.07.06
51963 “상반기 주인공 나였는데”… 증권가 하반기 금 가격 전망은 엇갈려 랭크뉴스 2025.07.06
51962 ‘라면 사무관’ 대신 ‘원가 분석’?···심상찮은 물가, 정부 대책은[경제뭔데] 랭크뉴스 2025.07.06
51961 “안그래도 힘든데 관리비 80% 넘게 올라”…자영업자의 눈물 랭크뉴스 2025.07.06
51960 대형마트들 3천원대 치킨전쟁…배달치킨보다 싸 완판행렬 랭크뉴스 2025.07.06
51959 미션 보상받고, 게임하며 저축... 은행에서 '도파민' 채워볼까[내돈내산] 랭크뉴스 2025.07.06
51958 작년 폐업자 사상 처음 100만명…‘사업부진’ 비중 금융위기 직후 수준 랭크뉴스 2025.07.06
51957 ‘평양냉면 맛집 도장깨기’ 무더위에도 줄 서서 대기…“숨은 보석 찾는 느낌” 랭크뉴스 2025.07.06
51956 야간조사 없이 2차 소환 마쳐‥곧 3차 소환 전망 랭크뉴스 2025.07.06
51955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는 ‘차별금지법 제정’ 동의할까요? [뉴스 물음표] 랭크뉴스 2025.07.06
51954 계엄과장도 “이상했다”…‘그날 밤 포고령’ 어땠길래 [피고인 윤석열]⑬ 랭크뉴스 2025.07.0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