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릴 예정이던 국민의힘 비상대책회의가 취소되자 한 당직자가 회의실 문을 닫고 있다. 임현동 기자
6·3 대선 이후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 지지율을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10~12일 만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화면접 조사에 따르면 민주당 지지율은 46%, 국민의힘은 21%로 25%포인트 격차였다. 대선 전인 5월 4주차 갤럽 조사보다 민주당은 4%포인트 상승하고, 국민의힘은 15%포인트 떨어졌다.

세부적으로는 대구·경북(TK)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높았다. TK에서도 민주당 32%, 국민의힘 40%로 보수 텃밭치곤 압도적 격차라고 하긴 어려웠다.

중도층 응답자에서는 민주당 지지율은 47%, 국민의힘 15%로 보수 정당에 대한 중도 민심 이반이 두드러졌다. 진보층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73%를 기록한 데 반해, 보수층의 국민의힘 지지율은 52%에 그쳤다.

특히 세대별로 보면 국민의힘의 코어 지지층인 60대, 70대 이상의 이탈이 두드러졌다. 5월 4주차 조사보다 60대 지지율은 54%에서 25%로, 70대 이상 지지율은 61%에서 30%로 각각 반 토막 났다. 이준호 에스티아이 대표는 “대선 패배 정당의 지지율이 하락하는 건 일반적이지만 코어 지지층이 대거 이탈하는 현상은 이례적”이라며 “대선 패배 후에도 갈피를 잡지 못하는 국민의힘의 분열상에 대한 지지층의 실망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 전망에 대해선 ‘잘할 것’이라는 응답이 70%, ‘잘 못할 것’이란 응답은 24%였다. 2022년 대선 직후 조사에서 윤석열 당시 대통령에 대해 ‘잘할 것’ 60%, ‘잘 못할 것’ 28%로 나타난 것과 비교하면 이 대통령에 대한 긍정 전망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이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에 대해선 ‘적합하다는 응답이 49%였고, 적합하지 않다는 응답은 23%였다. 갤럽은 “2013년 박근혜 정부 이후 역대 총리 후보자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기준으로 60%대를 기록한 이낙연 전 총리 다음으로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9~11일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민주당 45%, 국민의힘 23%로 지지율은 더블스코어에 가까웠다. (기사에 인용된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신재민 기자
대선 패배 이후 가뜩이나 차기 당권 향배 등을 놓고 뒤숭숭한 국민의힘에서는 지지율 직격탄까지 겹치자 위기감이 번지고 있다. 최근 오광수 민정수석이 낙마하는 등 야권 입장에서는 공세 찬스를 잡았지만 “당이 내홍에 휩싸여 총공세에 나설 여력이 없다”(재선 의원)는 패배주의가 번져있다.

특히 이른바 3대 특검(내란, 김건희 여사, 순직해병)이 속도가 붙은 상황에서 향후 야권 인사들이 연루되면 그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21% 지지율은 최후의 경고”라며 “껍데기뿐인 인적 쇄신이나 보여주기식 혁신으론 소용없고, 파괴적 혁신 없인 당이 소멸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045 벨라루스 대통령 "폴란드, 세계지도서 사라질 수도"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7.04
51044 푸틴·트럼프 통화…"빠른 우크라 휴전" "목표 포기 안해" 랭크뉴스 2025.07.04
51043 프랑스, ‘허위 할인·그린 워싱’ 논란 쉬인에 640억 과징금 랭크뉴스 2025.07.04
51042 봉준호 '기생충', NYT 독자가 뽑은 '21세기 최고영화'도 1위 랭크뉴스 2025.07.04
51041 9일 만에 또…부모 나간 새 참사 랭크뉴스 2025.07.04
51040 "내 친구가 유명 고기 유튜버인데"…육회·냉면 싹 비우고 도망간 '먹튀남' 결국 랭크뉴스 2025.07.04
51039 여름휴가 시작에 佛관제사 파업…항공 1천500편 취소 랭크뉴스 2025.07.04
51038 러 크렘린궁 "푸틴과 트럼프 통화 현재 진행 중" 랭크뉴스 2025.07.04
51037 내란 특검, 김주현·김성훈 동시 소환…‘계엄 국무회의’ 집중 수사 랭크뉴스 2025.07.04
51036 [사설] 이 대통령의 소통과 통합 기조, 정권 내내 유지하길 랭크뉴스 2025.07.04
51035 김민석 임명동의안, 야당 불참 속 통과…“새벽 총리 되겠다” 랭크뉴스 2025.07.04
51034 시총 1위 아스트라제네카도 탈출 고려… 런던증시의 몰락 랭크뉴스 2025.07.04
51033 "담배 한 번도 안 폈는데 폐암이라고요? 왜요?"…바로 '이것' 때문이라는데 랭크뉴스 2025.07.04
51032 "美-이란 핵 회담, 다음 주 오슬로서 재개"… 대화 물꼬 다시 트나 랭크뉴스 2025.07.04
51031 유흥주점서 노래방 도우미 불러 라이브 방송한 서울시 공무원 랭크뉴스 2025.07.04
51030 [단독] 인천 의사가 평창에서 농사?… 정은경 남편 ‘농업직불금 부당 수령’ 의혹 랭크뉴스 2025.07.04
51029 ‘고열에 딸기혀’ 성홍열, 8년만에 유행… 지난달 환자 작년의 배 랭크뉴스 2025.07.04
51028 핀란드서 대낮 흉기난동에 여러명 부상 랭크뉴스 2025.07.04
51027 "이상민 자택서 거액 돈다발"... 특검, 출처·성격 규명하나 랭크뉴스 2025.07.04
51026 주말 37도 펄펄, 벌써 8월급 찜통…올여름 역대 최악 폭염 덮치나 랭크뉴스 2025.07.04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