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한, 트럼프 친서 수령 거부'
NK뉴스 보도 사실상 확인
캐럴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11일 브리핑룸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서신 교환에 열려 있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렸던 첫 미·북 정상회담 같은 ‘관계 진전’을 원한다고도 강조했다.

"첫 임기 때 진전 다시 보기 원할 것"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1일(현지시간)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 수령을 거부했다는 언론 보도가 사실인지 묻는 질문을 받고 “대통령은 김정은과의 서신 교환에 여전히 수용적”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첫 임기 때 싱가포르에서 이뤄진 진전을 (재차) 보길 원할 것”이라며 “특정한 서신교환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답하도록 남겨두겠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친서 발송 사실을 확인한 발언이었다. 앞서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뉴스는 이날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뉴욕에서 활동하는 북한 외교관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수령을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싱가포르 회담’ 때 진행했던 대화를 재개하길 원했으나 북한 측이 대화채널 복구를 일단 거부했다는 게 매체의 설명이었다. 이날 레빗 대변인이 NK뉴스 보도를 부인하지 않음으로써 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대화 재개 의향을 재확인한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만나 눈을 마주치고 있다. 판문점=AFP 연합뉴스


북한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20일 취임 전후 북한과 대화하겠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밝혔다. 북한을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라고 부르며 ‘비공식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내놓았고 김 위원장과의 친분을 부각하기도 했다. 북한은 공식적으로 대화 수용 의사를 드러내지는 않고 있지만, 자신을 대화 상대로 여기는 트럼프 대통령의 '러브 콜'을 어떤 식으로든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84 미 합참의장 “이란 미사일 요격 당시 한·일 파견 패트리엇 부대 참여” 랭크뉴스 2025.06.26
52683 택시기사 살해 뒤 차 몰고 주민까지 친 20대... 가방엔 흉기 3개 랭크뉴스 2025.06.26
52682 트럼프, 이란 농축 우라늄 이전 의혹에 “아무것도 옮겨지지 않아” 랭크뉴스 2025.06.26
52681 “더워 죽겠는데 이걸 훔쳐가?”…찜통 더위 속 에어컨도 못 틀게 생긴 日 랭크뉴스 2025.06.26
52680 [속보] 이란 농축우라늄 타격 전 이전? 트럼프 "아무것도 옮기지 않아" 랭크뉴스 2025.06.26
52679 이란농축우라늄 타격前 이전?…트럼프 "아무것도 옮겨지지 않아" 랭크뉴스 2025.06.26
52678 돌변한 윤석열 “비공개 아니면 조사 안 받아”…특검, 체포영장 재청구 ‘압박’ 랭크뉴스 2025.06.26
52677 음주운전 걸리자 편의점서 술 사서 ‘벌컥벌컥’···40대 남성 검거 랭크뉴스 2025.06.26
52676 尹 '지하주차장 출입' 요청에 특검 '강제 수사' 시사... 소환 줄다리기 랭크뉴스 2025.06.26
52675 '삼성물산 부당합병 의혹' 이재용 7월 17일 대법원 선고 랭크뉴스 2025.06.26
52674 하메네이, 휴전 이후 첫 입장…"이스라엘과 미국에 승리" 랭크뉴스 2025.06.26
52673 [속보] 트럼프, 이란 농축 우라늄 이전 의혹에 “아무 것도 옮겨지지 않아” 랭크뉴스 2025.06.26
52672 "이제 와서 추가시험?"…사직 전공의에 의대교수들도 등돌렸다 랭크뉴스 2025.06.26
52671 美 1분기 경제, 관세 여파로 0.5% 역성장…잠정치보다 더 나빴다(종합) 랭크뉴스 2025.06.26
52670 [속보] 트럼프, 이란 농축우라늄 이동 가능성에 "아무것도 옮기지 않아" 랭크뉴스 2025.06.26
52669 나토 정상회의장서 트럼프 만난 위성락 “미 측, 나토 수준 국방비 증액 주문” 랭크뉴스 2025.06.26
52668 지하철 5호선 방화 장면 충격 여전…‘1인 기관사’ 안전 우려도 랭크뉴스 2025.06.26
52667 [속보] 트럼프, 이란농축우라늄 이전 의혹에 "아무것도 옮겨지지 않아" 랭크뉴스 2025.06.26
52666 “1만1460원 vs 1만70원”…내년 최저임금도 법정 시한 넘긴다 랭크뉴스 2025.06.26
52665 한 마리 5천 원? 재료비만 해도 5천 원 넘어…자영업자 울상 랭크뉴스 2025.06.2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