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정부의 국정을 이끌 1기 참모진 윤곽이 드러났다.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정무수석에 우상호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민정수석에 검사장 출신의 오광수 변호사, 홍보수석에 이규연 전 JTBC 보도부문 대표를 임명했다. 아직 적임자를 찾고 있는 경청통합수석과 AI(인공지능)수석을 제외하면 3실장(비서실장·정책실장·안보실장) 7수석 체제의 진용이 대부분 꾸려졌다.

외부에선 “국민 통합과 실리 위주의 정책 등을 표방한 정부 방향에 걸맞은 인사”(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라거나 “특정 이념이나 연공 서열보다는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우선시한 것 같다”(이재묵 한국외대 정치학과 교수)는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인사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민 통합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며 “이 대통령은 보수와 진보가 아닌, 국민과 대한민국만 있다는 국정 철학 아래 국민 통합과 소통을 통해 민생 문제 해결에 집중해 달라는 당부를 했다”고 말했다.

이날 임명된 3명의 수석은 대통령실 직제상 강훈식 비서실장과 직접 호흡을 맞추는 자리다.



52세 3선 비서실장·63세 4선 정무수석, 실용 위해 격식 깼다
신재민 기자
우 수석과 이 수석은 97세대(90년대 학번·70년대생)인 강 비서실장(52)보다 11살, 오 수석은 13살 많다.

특히 4선 경력의 우 전 의원이 3선의 강 비서실장(장관급)보다 직급상 아래인 정무수석(차관급)을 맡은 건 이례적인 일이지만 정치권에선 “대통령과 여야의 관계를 조율할 적임자”(민주당 3선 의원)라는 말이 나온다. 그는 ‘86그룹’(80년대 학번·60년대생)의 대표 주자지만 “야당과도 대화가 되는 사람”(국민의힘 의원)으로도 정평이 나 있기 때문이다.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민주당 원내대표였던 우 수석은 질긴 설득 끝에 당시 새누리당(국민의힘의 전신) 일부의 찬성을 이끌어냈다. 강 비서실장도 “우 수석은 소통과 상생에 대한 확고한 철학을 지닌 분”이라고 소개했다.

오광수 민정수석 역시 임명 과정에서 실용 인선의 상징으로 부상했다. 이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18기 동기인 오 수석이 대검 중수부 2과장, 대구지검장 등을 거친 검찰 특수통이라는 이유 등으로 여권 내부의 반발이 컸지만 이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했기 때문이다. 오 수석을 반대하는 주장들을 전달받은 이 대통령은 참모진과 민주당 지도부를 “검찰을 아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설득했다고 한다.

강 비서실장도 “이 대통령의 검찰개혁 철학을 깊이 이해하는 인사로, 검찰개혁에 대한 대통령의 의지를 뒷받침할 것”이라고 했다.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은 1988년 중앙일보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한 뒤 중앙일보 논설위원, JTBC 보도국장 등을 역임했다.

신재민 기자
비서실장을 축으로 한 정무라인 인선이 “상대적으로 젊은 실장을 택한 만큼 수석 인사에서는 중량감을 고려한 것”(민주당 재선 의원)이라면, 정책라인은 관료 출신 실장을 교수 등 전문가 출신 수석비서관이 뒷받침하는 구조로, 업무 추진력에 무게를 뒀다는 평가다.

이 대통령은 가천대 교수 출신 측근 이한주 민주연구원장 대신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을 정책실장으로 택했고, 그와 호흡을 맞출 경제성장수석으로 주류 경제학자인 하준경 한양대 교수를, 사회수석으로 문진영 서강대 교수를 선택했다.

외교부 북미국장,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을 거친 위성락 안보실장의 발탁도 역시 실용 인선이라는 평가다. 다만, 국가안보실 1·2·3차장 등 후속 인선이 늦어지는 것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지난 6일 이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한 데 이어 15일부터 캐나다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이 확정되면서 외교안보 현안에 대한 입장 정리와 의전 준비 등이 발등의 불이 됐기 때문이다. 여권 인사는 “안보실 2차장과 외교정책비서관 임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57 루비오 美국무장관, 내달 방한 검토…국방비·관세 논의 가능성(종합) 랭크뉴스 2025.06.27
53156 현장 덮쳐 중단된 '방통위 하드 파쇄'‥이진숙 "과장이 한 일" 랭크뉴스 2025.06.27
53155 여당, 법사·예결위원장 단독 선출…예산·입법 ‘속도전’ 토대 구축 랭크뉴스 2025.06.27
53154 집에 돌아간 김건희, 이제 특검이 부른다···‘사건만 16개’ 수사 전망은? 랭크뉴스 2025.06.27
53153 첫 특검 소환된 윤석열, 왜 ‘지하주차장’ 고집할까? 랭크뉴스 2025.06.27
53152 이종범 kt 코치, 시즌 중 퇴단… 예능 ‘최강 야구’ 감독으로 랭크뉴스 2025.06.27
53151 이란 외교장관 “미국이 외교적 배신···외교방식 바꿀 것” 랭크뉴스 2025.06.27
53150 서울 집값 올린 ‘고액 영끌족’… 주담대 6억 제한해 돈줄 막기 랭크뉴스 2025.06.27
53149 베선트 미 재무장관 "무역협상 9월 1일까지 마무리할 것" 랭크뉴스 2025.06.27
53148 "어딜 끼어드나" "아주 모욕적"…최민희·이진숙, 방통위 폐지 충돌 랭크뉴스 2025.06.27
53147 이 대통령이 불붙인 ‘사시 부활’...변협 “해묵은 논쟁, 로스쿨 제도 개선해야” 랭크뉴스 2025.06.27
53146 법사위·예결위, 다시 민주당에‥"법사위만이라도" 국힘은 표결 불참 랭크뉴스 2025.06.27
53145 李대통령, 청와대에 '천안함 함장' 초청했다…민주당 정부 최초 랭크뉴스 2025.06.27
53144 '채상병 사건' CCTV 확인‥구명조끼 없이 순식간에 휩쓸렸다 랭크뉴스 2025.06.27
53143 노원구 상계동에 멧돼지 출몰…1시간반 만에 사살(종합) 랭크뉴스 2025.06.27
53142 美재무 "9월 1일 美노동절까지 무역협상 마무리할 수 있을 것"(종합) 랭크뉴스 2025.06.27
53141 美 재무장관 “9월 1일까지 협상 마무리”…관세유예 연장되나 랭크뉴스 2025.06.27
53140 美 재무장관 “9월 1일 노동절까지 무역협상 마무리” 랭크뉴스 2025.06.27
53139 남편이 미는 휠체어 타고 11일 만에 퇴원…김건희 특검 “소환 원칙대로 진행” 랭크뉴스 2025.06.27
53138 이스라엘 “재건시도 헤즈볼라 지하시설 공습”…1명 사망·13명 부상 랭크뉴스 2025.06.2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