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 대통령 ‘금융공약’ 정책화 속도
금융기관 부실채권·자산 매입 처리
배드뱅크는 이미 설립 논의 본격화
대상·지원 규모 예상밖 확대 가능성
8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2차 추경 편성 작업에 돌입했다. 20조원+α(알파)로 예상되는 2차 추경은 전 국민 25만원 지역화폐(소비쿠폰) 지급을 비롯한 소상공인 지원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8일 한 시민이 서울 서대문구에서 임대 안내문이 붙은 빈 상가 앞을 지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초기 민생경제 살리기를 강조하는 가운데 자영업자·소상공인 채무조정을 위한 금융 당국의 정책화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50조원에 이르는 ‘코로나 대출’ 만기를 앞두고 대대적 채무조정이 예상되는 가운데 취약계층의 채무 소각을 위한 배드뱅크 설립 논의도 본격화했다.

8일 금융 당국과 정치권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 대통령의 주요 공약으로 언급된 코로나 대출 탕감·조정 방안을 구체화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유세 과정에서 서민의 빚 부담을 대폭 줄이겠다는 공약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중에서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이뤄진 대출의 탕감 및 조정을 강조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대통령 공약 중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지원, 국가 전략산업 지원 등 시급한 과제 위주로 국정과제로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해당 이슈는 추경에서도 주요 아이템으로 꼽혀 (논의) 진도가 더 빠를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당국은 공약에 따라 배드뱅크 활성화를 위한 논의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배드뱅크는 금융기관 부실채권 등 부실자산을 사들여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기관으로, 이 대통령은 이를 절벽에 몰린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등을 효율적으로 구제하는 방안으로 내세웠다. 연체 채권 등을 국가에서 사들여 소각시킨다는 개념이다.

현재 금융 당국은 배드뱅크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두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캠코는 배드뱅크와 비슷한 성격의 새출발기금을 운용해본 경험이 있다. 다만 금융 당국은 지원 규모와 속도 면에서 새출발기금보다 선명한 부채 탕감·조정 조건을 내세울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로 인한 피해를 본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채무 부담을 덜어주고 재기를 지원하기 위해 2022년 10월 도입된 새출발기금은 현재 담보 10억원과 무담보 5억원 등 최대 15억원까지 채무 재조정이 가능하다. 원금은 최대 80%까지 조정해준다. 그러나 복잡한 절차와 느린 속도 탓에 채무조정 신청자 중 금융기관과 약정을 체결한 비율은 28%에 그친다.

시장에선 코로나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 중 약 50조원(만기 연장 47조4000억원+원리금 상환 유예 2조5000억원)에 대해 오는 9월 말 만기가 도래하는 상황에서 새 정부가 배드뱅크와 별개로 파격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문제는 재원이다. 아직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안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권은 지원 확대에 공감하면서도 대거 부담을 떠안을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윤석열정부에서 이미 2조원 넘는 상생금융자금을 내놓은 만큼 추가 부담을 떠안으면 자산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자율적 기부와 공공정책 연계의 경계가 모호해졌다는 지적과 함께 상생금융이 금융권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 밖에 그간 성실하게 빚을 갚아온 차주에 대한 역차별 논란, 도덕적 해이 문제 등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840 이경규 '약물운전' 혐의 시인..."변명여지 없는 부주의" 랭크뉴스 2025.06.25
51839 [속보]한국증시, MSCI 선진국지수 관찰대상국 등재 또 불발 랭크뉴스 2025.06.25
51838 [우주항공 최전선]③ 민항기 정비 공장 절반 비어…“해외로 새는 정비비 잡아야” 랭크뉴스 2025.06.25
51837 日 사흘간 300번 흔들렸다…“7월 대지진 오나” 불안 확산 랭크뉴스 2025.06.25
51836 불탄 공장 열리자 쏟아진 눈물…국회 재발방지 약속, 이번엔? 랭크뉴스 2025.06.25
51835 "2학기 수업 듣고 싶어요"…'유급 취소' 메일 봇물, 불안감 커진 의대생 랭크뉴스 2025.06.25
51834 [속보] 한국 증시, MSCI 선진국지수 또 편입 불발…관찰대상국 등재도 실패 랭크뉴스 2025.06.25
51833 돌아가신 어머니 유품이 한 가득... "함부로 갖다 버리는 아내" [長靑年, 늘 푸른 마음] 랭크뉴스 2025.06.25
51832 14거래일 만에 143% 폭등한 '이 종목' 거래 재개한다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6.25
51831 휴전 공식 인정‥"이란 정권 교체 원치 않아" 랭크뉴스 2025.06.25
51830 기업인 출신 정부 고위직 발탁, 주가 뛰어도 심란한 친정 랭크뉴스 2025.06.25
51829 [속보] 한국 증시, MSCI 선진국지수 편입 불발…관찰대상국 등재도 실패 랭크뉴스 2025.06.25
51828 “이란 핵 시설 완파 안 돼…농축 우라늄 그대로” 美 정보기관 초기 보고서 랭크뉴스 2025.06.25
51827 美, 이란 핵 완파 못했나…"핵 프로그램 6개월 지연에 그쳐" 랭크뉴스 2025.06.25
51826 이경규 소환 조사‥"공황장애 약 복용 후 운전" 랭크뉴스 2025.06.25
51825 약물운전 혐의 경찰 조사 받은 이경규 “공황장애 약 먹고 운전” 랭크뉴스 2025.06.25
51824 트럼프, 이스라엘에 ‘휴전 위반’ 경고…“이란 정권 교체 원치 않아” 랭크뉴스 2025.06.25
51823 CNN "이란핵 핵심요소 파괴 안돼" vs 백악관 "완전히 틀려" 공방 랭크뉴스 2025.06.25
51822 ‘KDDX 경쟁자’ 한화의 親 민주당 행보에 초조한 HD현대 랭크뉴스 2025.06.25
51821 통상임금에 상여금 포함·근로시간 단축…대한항공 임금 8% 오른다 랭크뉴스 2025.06.25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