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갤럽 4~5일 대선 투표자 1003명 여론조사 결과
"李 내란 종식·국정 기대감, 金 개인 자질·이재명 반감"
50·60대 80% 선거 한 달 전, 20대 41% 1주 이내 투표 후보 정해
6·3 대선 전날인 2일 밤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이재명 대통령이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공원에서 마지막 유세를 하고 있다.(왼쪽 사진) 같은 날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마지막 유세로 서울 중구 시청 앞 광장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6·3 대선에서 유권자들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투표한 핵심적 이유는 ‘내란 종식’과 ‘능력’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선 맞수였던 김문수 전 국민의힘 후보는 ‘도덕성’을 기대하거나 ‘이재명이 싫어서’ 뽑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은 지난 4~5일 대선 투표자 1,003명을 설문 조사하고 이같은 결과를 6일 공개했다.

응답자 가운데 이 대통령에게 투표한 420명은 투표 이유로 ‘계엄 심판/내란 종식’(2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직무/행정 능력(17%) △경제 기대/경제 정책(15%) △다른 후보보다 나아서(13%) △신뢰/믿음직함 △정책/공약(이상 9%)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해서 △잘할 것으로 기대 △경력/경험 △정권 교체(이상 7%)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한국갤럽이 6일 공개한 제21대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투표한 이유 여론조사 결과. 한국갤럽


김 전 후보에게 투표한 350명은 ‘도덕성/청렴’(33%)과 ‘이재명이 싫어서’(30%)를 주요 투표 이유로 꼽았다. 이어 △신뢰/믿음직함/정직(28%) △국민의힘을 지지해서 △경력/경험 △정책/공약(이상 8%) △진실함/거짓 없음(6%) 순이었다.

한국갤럽은 “지난 5월 대선 후보 지지 이유를 물었을 때도 이재명 지지자는 '경험과 역량에 기반한 국정 기대감과 '내란 종식'을 많이 언급했고, 김문수 지지자는 주로 '청빈함을 비롯한 개인 자질'과 '이재명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6일 한국갤럽이 공개한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제21대 대선에서 투표한 이유. 한국갤럽


이 대통령을 뽑지 않은 응답자 430명은 그 이유로 ‘사법 리스크/범죄 혐의’(30%)를 가장 많이 꼽았다. 뒤이어 △신뢰 부족/거짓말/진실하지 않음(18%) △도덕성 부족/사리사욕(14%) △과거 언행/논란(6%)을 지적한 비율이 높았다.

김 전 후보를 뽑지 않은 500명은 ‘계엄 옹호/내란 동조’(30%)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이어 △국민의힘이 싫어서(19%) △신뢰 부족/거짓말 △후보가 싫어서(이상 4%) 등이 언급됐다.

한국갤럽은 “이재명 비투표 이유로는 개인사 관련 지적이 많고, 김문수 비투표 이유로는 소속 정당을 문제삼은 비율이 높다는 점이 대비된다”고 밝혔다.

투표 후보 결정 시점, 67% '선거 한 달 이전'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 서울 중구 청구초등학교 야구부실내훈련장에 마련된 청구동 제1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뉴시스


투표할 후보를 결정한 시기는 ‘선거일로부터 한 달 이전’이 67%로 가장 많았고, ‘1주 이내’가 19%로 나타났다. 세대별로 표심 결정 시기에 차이가 났는데, 50·60대는 한 달 이전이 각각 81%, 80%였던 반면 20대는 투표 1주 이내가 41%였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로 전화를 걸어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2.3%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74 하남 아파트 지하주차장서 전기차 화재… 70여명 대피 소동 랭크뉴스 2025.06.25
51973 '7월 5일 日 대재앙' 예언한 만화가, 뒤늦게 "꼭 그날은 아니다" 랭크뉴스 2025.06.25
51972 국정기획위 검찰 보고 재차 연기…“숙고하고 준비할 시간 갖자는 취지” 랭크뉴스 2025.06.25
51971 [단독] “어르신, 코인 하면 대박” 유혹… 1억 넣었다 9000만원 뜯겼다 랭크뉴스 2025.06.25
51970 국힘 "김민석, 국민 검증에서 이미 탈락"‥ 자진 사퇴 촉구 랭크뉴스 2025.06.25
51969 ‘서부지법 폭동’ 가담자들 징역형…“법치·민주주의 파괴 행위 무관용” 랭크뉴스 2025.06.25
51968 [단독] 그곳에 법률비서관도 있었다…'안가 회동'서 제2계엄 모의? 랭크뉴스 2025.06.25
51967 '美 난임 병원 폭탄 테러 공모' 30대 한인 남성, 구치소서 사망 랭크뉴스 2025.06.25
51966 도심서 급증한 까마귀 공격…"머리 가리고 빠르게 이동" 랭크뉴스 2025.06.25
51965 4월 출생아 수, 34년 만에 최대 증가…혼인도 6년 만에 최고치 랭크뉴스 2025.06.25
51964 3000억대 고효율 가전 환급 사업에… 여야 “대기업만 수혜” 랭크뉴스 2025.06.25
51963 "총리 자격 증명 못 해"‥"근거 없는 명예훼손" 랭크뉴스 2025.06.25
51962 "중국 없인 안된다" 브라질 호소에도…시진핑, 브릭스 '첫 불참' 이유는 [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6.25
51961 4월 출생아 3년 만에 2만명대 회복…증가율 34년 만 최대 랭크뉴스 2025.06.25
51960 특검,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청구…이 시각 서울중앙지법 랭크뉴스 2025.06.25
51959 김용현측, 재판부 거듭 기피신청…법원 즉시 '기각' 반복(종합) 랭크뉴스 2025.06.25
51958 김민석 “출판기념회로 받은 2.5억, 국민 눈엔 큰돈이지만 과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6.25
51957 초등생은 계단서 날아차기... '조건만남' 유인해 강도짓한 10대 8명 랭크뉴스 2025.06.25
51956 4월 출생아 3년만에 2만명대 회복…증가율은 34년 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6.25
51955 김샘학원 강사 김모씨의 '서울대 수리과학부', 거짓·과장광고였다 랭크뉴스 2025.06.25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