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70회 현충일]
도주·화재·폭행... 교정 사고 2배 늘어
"교정 시설 늘려 교도관 처우 개선해야"
4일 경기 안양 안양교도소 앞에 선 교정공무원의 모습. 최주연 기자


교도소 등 교정기관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최근 10년 새 두 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정공무원의 경우 10명 중 7명꼴로 건강 이상에 시달리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시설 확충 등을 통해 안전한 교정 환경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5일 법무부에 따르면 2014년 837건이었던 교정 사고는 2018년 1,012건으로 1,000건을 넘어선 뒤 2023년 1,795건까지 치솟는 등 꾸준히 증가 추세다. 교정 사고는 도주, 도주 미수, 집행명령 위반, 병사, 자살, 화재, 폭행 등을 더한 수치다. 이 중 수용자에게 직원이 폭행당한 사건은 2014년 49건에서 2023년 190건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법무부 관계자는 "교도소와 구치소 등에 수감되는 인원수는 늘어난 반면 교정공무원 수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이런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래픽=송정근 기자


교정공무원의 건강 이상 비율도 높다. 폐쇄된 공간에서 수용자와 24시간 밀착 근무하는 교대 시스템 등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교정공무원 일반건강진단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전체 교정공무원 중 건강 이상자가 71.7%나 됐다. 이후에도 △2018년 66.2% △2019년 71.5% △2020년 72.3% △2021년 80.6% 등 꾸준히 70%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

극심한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률도 높은 편이다. 법무부가 2015년부터 2023년까지 8년간 교정공무원 자살률을 집계해보니 평균 0.025%(10만 명당 25명)였다. 소방과 경찰 등 다른 제복 공무원에 비해 높은 수준이라고 법무부는 설명했다. 또한 법무부가 올해 2월 전국 54개 교정기관 교정공무원 5,60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실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의 19.6%(1,108명)가 '위험군'이었다. 이 가운데 2.8%는 '자살 시도를 해본 적 있다'고, 6.7%는 '자살을 계획해 본 적 있다'고 각각 응답했다. 일반 성인보다 각각 약 1.6배, 2.7배 높은 수치다.

위험한 업무를 수행하다 순직한 사례도 적잖다. 1950년부터 2022년까지 수용자에 의한 피습, 수용자와의 다툼 중 사망, 호송차량 전복, 24시간 근무 체계에 따른 심장마비 혹은 뇌출혈 등 사유로 사망한 순직 교정공무원 수는 94명이다. 한 현직 교도관은 "3일을 주기로 야근과 비번, 일근(평상 근무)을 반복하는 3부제 교대 근무를 실시하는 교도소도 여전히 많다"며 완전 4부제(일근-야근-비번-휴무) 정착을 통한 근무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교정 시설을 확장해 교정공무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며 "이는 재소자 교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조언했다.

연관기사
• 과밀 수용, 폭행, 약점 잡으려 악성 민원... 여름이 더 두려운 교도관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716250005576)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883 [단독] '친척 오빠 앞에서 범행'... 의료원 전 이사장, 성추행 혐의 1심 징역 6개월 랭크뉴스 2025.06.27
52882 尹 소환 D-1…특검 '특혜는 없다' 원칙론 속 대면조사 어디로 랭크뉴스 2025.06.27
52881 윤석열 쪽 “지하 주차장 출입 안 돼도 내일 특검 출석” 랭크뉴스 2025.06.27
52880 [속보] 김건희 퇴원... "특검 출석 요구 오면 성실히 임할 것" 랭크뉴스 2025.06.27
52879 내일부터 수도권 주담대 한도 6억원…다주택자엔 아예 금지 랭크뉴스 2025.06.27
52878 국회, 오후 2시 본회의 예정…민주, 상임위원장 단독 선출 전망 랭크뉴스 2025.06.27
52877 [속보] 내일부터 수도권·규제지역 주담대 6억 넘게 못 빌린다 랭크뉴스 2025.06.27
52876 [속보] 지하철 교대역 가스 유입으로 무정차 통과…가스배관 파손 랭크뉴스 2025.06.27
52875 '악마는 프라다' 실제 모델 보그 편집장, 37년 만에 물러난다 랭크뉴스 2025.06.27
52874 11억 빼돌려 필리핀 숨어든 은행원, 18년 도피 생활 끝났다 랭크뉴스 2025.06.27
52873 전종덕 “송미령, 일본 총독부 내각이 한국 정부 내각에 유임된 것” 랭크뉴스 2025.06.27
52872 [단독] 대선 당시 김건희 의혹 尹 거짓 해명 의혹도 특검으로 랭크뉴스 2025.06.27
52871 尹측 “특검과 출입 방식 협의 안 돼도 내일 10시 서울고검까지는 갈 것” 랭크뉴스 2025.06.27
52870 김건희, 오늘 퇴원…“정당한 출석 요구엔 성실히 응할 것” 랭크뉴스 2025.06.27
52869 장마철 아이들에 흉기 됐다…테무서 우산 사줬더니 충격 결과 랭크뉴스 2025.06.27
52868 檢, 김민석 총리 후보 ‘재산누락 의혹’ 사건 경찰 이송 랭크뉴스 2025.06.27
52867 李대통령 임기초반 직무수행 평가 '합격점' 67% 랭크뉴스 2025.06.27
52866 법원 “고려아연 5000억원대 신주발행 무효”… 1심서 영풍 승소 랭크뉴스 2025.06.27
52865 [속보]법원 “고려아연 신주발행 무효”…1심 영풍 승소 랭크뉴스 2025.06.27
52864 특검 출석 ‘10시 고집’ 윤석열…“9시는 불리하다고 날 받았나” 랭크뉴스 2025.06.2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