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세대학교 김근수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고체 물질 속 전자의 양자거리 측정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사진 김근수 교수

머리카락 굵기 100만분의 1 수준의 미시 세계에서 ‘양자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양자 컴퓨팅, 양자 센싱 등 분야에서 양자 연산의 정확도를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무슨 일이야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연세대학교 김근수 교수 연구팀이 고체 물질 속 전자의 양자거리 측정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양자거리는 원자만큼 작은 미시 세계에서 전자들 간의 양자역학적 유사성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김근수 교수는 이날 연구성과 브리핑에서 “머리카락 100만분의 1 정도인 미시 세계에서 전자는 공간에 퍼져 있는 파동에 해당한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양자거리를 흔히 떠올리는 두 위치 사이 간격 개념으로 보기보다 전자들이 가진 양자역학적 유사도라고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파동이 똑같이 생겼으면 양자 거리가 매우 작고, (파동이) 완전 다른 형태를 갖고 있다면 양자거리가 멀다고 표현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왜 중요해 고체 물질 속 전자 간 양자거리는 물질의 기본 성질뿐 아니라 초전도와 같은 난해한 양자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 양자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수록 양자 기술 활용의 정확도 역시 높아진다. 김 교수는 “현재 양자기술의 한 가지 한계라고 한다면 오류가 잦다는 것인데, 양자거리 측정 기술의 발전은 한계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초 양자기술, 양자컴퓨팅, 양자센싱 등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근수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뉴스1

과기정통부 송완호 기초연구진흥과장은 “그동안 양자거리는 이론적 근사치를 기반으로 간접적으로 측정해 왔는데, 세계 최초로 근사 없이 직접적이고 완전하게 측정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파급력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더 알면 좋은 것 이번 연구는 양자거리 측정법을 이론 측면에서 연구해 온 서울대학교 양범정 교수 연구팀과 함께했다. 양 교수 연구팀은 미국 MIT와 협력해 양자거리를 근사적으로 측정한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지(Nature Physics)에 게재하는 등 이론 연구 측면에서 전문성이 있었고, 김 교수 연구팀은 상대적으로 실험 분야에 강점이 있었다. 이론과 실험, 각각에 강점을 가진 두 연구팀이 만나 성과를 낸 것. 김 교수는 “국내 연구진이 특정 연구 분야를 국제적으로 선도하는 경우는 드문 편인데, 추격형(패스트 팔로워)이 아닌 선도형(퍼스트 무버) 연구 사례를 많이 만들어나가고자 한다”면서 “양자 기하(Geometry) 분야에서 연구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팩플: 양자의 세계 더 자세한 기사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日 IBM 양자 컴퓨팅 지휘한다…백한희 박사가 본 韓의 수준
양자컴퓨팅 연구에 인생의 절반을 보낸 IBM 연구자가 보는 양자의 세계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111

젠슨황, 두 달만에 무릎 꿇렸다…“치매도 고친다” 양자컴 진격 [양자 충돌①]
모든 문제를 푸는 미래컴퓨터, 양자컴 시대가 온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4972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866 법원 “고려아연 5000억원대 신주발행 무효”… 1심서 영풍 승소 랭크뉴스 2025.06.27
52865 [속보]법원 “고려아연 신주발행 무효”…1심 영풍 승소 랭크뉴스 2025.06.27
52864 특검 출석 ‘10시 고집’ 윤석열…“9시는 불리하다고 날 받았나” 랭크뉴스 2025.06.27
52863 안규백 "12.3 내란 신상필벌 필요‥9·19 군사합의 복원 검토" 랭크뉴스 2025.06.27
52862 김건희 특검, ‘임성근·조병노 구명로비’ 자료 확보…“김건희 소환 조율 아직” 랭크뉴스 2025.06.27
52861 '최저임금' 노 1만1460원·사 1만70원···좁혀지지 않은 '1390원' 랭크뉴스 2025.06.27
52860 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 64%···윤석열보다 12%P 높아[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6.27
52859 [속보] 국회, 오후 2시 본회의 예정…민주, 상임위원장 단독 선출 전망 랭크뉴스 2025.06.27
52858 이 대통령 ‘잘하고 있다’ 64%…김민석 ‘총리 적합’ 43% [갤럽] 랭크뉴스 2025.06.27
52857 김건희 여사 측 "김 여사, 오늘 중 서울아산병원 퇴원 예정" 랭크뉴스 2025.06.27
52856 [속보] 김건희 측 "오늘 퇴원 예정…상태 호전된 건 아니다" 랭크뉴스 2025.06.27
52855 [속보] 김건희, 11일만에 퇴원…“정당한 조사엔 성실히 응할 것” 랭크뉴스 2025.06.27
52854 공수처, ‘주진우 아들 증여세 탈루 의혹 사건’ 수사2부 배당 랭크뉴스 2025.06.27
52853 고위 공직자 44명 재산공개…114억 신고한 현직자 1위는 랭크뉴스 2025.06.27
52852 “100만원 팔면 24만원이 수수료”...자영업자들의 ‘한숨’ 랭크뉴스 2025.06.27
52851 원전 해체 테마株 급등…500조 원 새 시장 열리나[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6.27
52850 백악관 머물며 이란 공습 자신감…트럼프 참모 떠오른 이 남자 누구 랭크뉴스 2025.06.27
52849 오경석 두나무 신임 대표 “투명한 운영과 ESG 가치 실천에 앞장설 것” 랭크뉴스 2025.06.27
52848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팀, '임성근·조병노 구명로비' 자료 확보 랭크뉴스 2025.06.27
52847 인사 불만에…충주시장실 발로 차고 들어가 기물 파손한 6급 공무원 랭크뉴스 2025.06.2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