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통령 당선자가 3일 밤 인천 계양구 자택을 나와 손을 흔들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당선자는 가장 많은 유권자가 있어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수도권과, 민심의 가늠자인 충청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앞지르며, 개표 2시간여 만에 일찌감치 승기를 잡았다. 다만 이 당선자의 실제 득표율은 과반 득표(51.7%)를 할 것으로 집계된 지상파 방송 3사의 출구조사에 미치지 못했다. 영호남 표쏠림 현상은 이번 대선에서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표율 99.21%인 4일 새벽 4시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개표 상황을 보면, 이 당선자의 득표율은 49.33%로 김문수 후보(41.28%)를 8.05%포인트 앞섰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8.30%,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0.98%를 득표했다. 출구조사에선 이 당선자가 김 후보(39.3%)를 12.4% 앞선 것으로 예측됐는데, 이보다 격차가 줄었다.

이 당선자는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영남과 강원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김 후보를 앞섰다. 우선 이 당선자는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에서 김 후보를 따돌렸다. 이 당선자는 서울에서 46.70%를 얻어 42.10%를 얻은 김 후보와 4.6%포인트 차이였다. 두차례 도지사를 지낸 경기(52.13%)와 자신의 국회의원 지역구가 있는 인천(51.67%)에선 득표율이 과반을 넘어, 김 후보(경기 38.05%, 인천 38.44%)를 크게 앞질렀다.

‘대선 풍향계’ 충청에서도 이 당선자의 선전이 이어졌다. 특히 세종에서 이 당선자(55.62%)는 김 후보(33.21%)를 22.41%포인트 차로 따돌렸다. 대전에서 이 당선자(48.50%)와 김 후보(40.58%) 격차는 7.92%포인트였고, 충북(47.47% 대 43.22%)·충남(47.68% 대 43.26%)은 각각 4.25%, 4.42%포인트 차였다. 제주에서는 이 당선자가 54.76%를 얻어, 34.78%를 얻은 김 후보에 19.98%포인트 차로 크게 앞섰다.

21대 대통령 선거 지역별 득표율 현황

동서로 갈라진 지지는 이번 대선에서도 확인됐다. 이 당선자는 전남(85.87%)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광주(84.77%)와 전북(82.65%)에서도 80%가 넘는 지지를 받으며 호남이 민주당 초강세 지역임을 거듭 보여줬다. 반면 국민의힘 전통 지지 기반인 대구에선 23.22%, 이 당선자의 고향인 안동이 있는 경북에선 25.52%에 머물러, 김 후보(대구 67.62%, 경북 66.87%)에게 밀렸다. 이는 지난 20대 대선 때 이 당선자가 대구(21.60%)·경북(23.80%)에서 얻은 득표와 비슷한 수준이다.

부산(40.14% 대 51.39%)·울산(42.54% 대 47.57%)·경남(39.4% 대 51.99%)·강원(43.95% 대 47.30%) 역시 김 후보가 이 당선자에게 앞섰다. 다만 울산과 강원에서 두 후보의 격차는 3~5%포인트였다.

한편 지상파 방송 3사 출구조사를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하 유권자는 이 당선자를, 60대 이상은 김 후보를 더 많이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변수를 더하면, 20대 남성이 가장 많이 지지한 건 이준석 후보였다.

연령별로 보면 이 당선자는 40대에서 72.7%로 가장 높았고, 50대 69.8%, 30대 47.6%, 20대 이하 41.3% 등 50대 이하에서 다른 후보를 제쳤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70대 이상에서 64.0%로 가장 높았고, 60대 48.9%로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1위였다.

이준석 후보는 20대 이하에서 24.3%, 30대에서 17.7%였는데, 성별 격차가 컸다. 20대 이하 남성의 이준석 후보 지지는 37.2%로 이 당선자(24.0%)와 김 후보(36.9%)보다 높았다. 반면 20대 이하 여성에선 이 당선자(58.1%) 지지가 가장 많았고, 김 후보(25.3%), 이준석 후보(10.3%)는 같은 연령대 남성보다 적었다. 30대 남성은 이 당선자(37.9%)가 가장 많았지만 김 후보(34.5%)와 엇비슷했고, 이준석 후보(25.8%)도 다른 연령·성별보다 높은 편이었다. 30대 여성은 같은 연령대 남성보다 이 당선자(57.3%) 지지가 더 높았고, 이준석 후보(9.3%) 지지는 더 낮았다. 김 후보(31.2%)는 비슷했다.

지상파 방송 3사 공동예측조사위원회(KEP)는 3일 아침 6시부터 저녁 8시까지 전국 325개 투표소에서 유권자 약 10만명을 대상으로 한 출구조사와 1만15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사전투표자 예측 전화조사 결과를 합산했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0.8%포인트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017 영화 ‘기생충’ 뉴욕타임스 21세기 최고영화 1위 올랐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6.27
53016 나토서 트럼프 대통령 만난 위성락 실장…“관심은 조선업” 랭크뉴스 2025.06.27
53015 28일 대출 규제 시행한다는데 27일 구두계약했다면?[Q&A] 랭크뉴스 2025.06.27
53014 “이젠 현금 있어야 한강변 집 산다”… 연봉 2억 직장인, 대출액 12억→6억 ‘반토막’ 랭크뉴스 2025.06.27
53013 김용태 “李 대통령, ‘젊은 비대위원장 털면 안나올 것 같나’ 말해” 랭크뉴스 2025.06.27
53012 집에서 시신 9구 쏟아졌다…日 뒤집은 '잔혹 살인마' 사형 집행 랭크뉴스 2025.06.27
53011 친딸 40년 성폭행에 손녀까지… 인면수심 70대 2심도 징역 25년 랭크뉴스 2025.06.27
53010 특검 “전국민이 계엄 피해자···피의자 인권보다 국민 알 권리가 우선”[일문일답] 랭크뉴스 2025.06.27
53009 [속보] 내일 특검조사 尹, 김여사 퇴원길 휠체어 밀며 동행 랭크뉴스 2025.06.27
53008 '친구 박단에 반기' 새 전공의 대표 "파행 더는 안돼" 총회 소집 랭크뉴스 2025.06.27
53007 [속보] 내란 특검 "전 국민이 계엄 피해자… 수사 알 권리 있어" 랭크뉴스 2025.06.27
53006 與, 본회의 열고 예결위·법사위원장 등 단독 선출… 野 “협치 무너져” 반발 랭크뉴스 2025.06.27
53005 김건희 여사, 휠체어 타고 퇴원…특검 출석 앞둔 尹 동행(종합2보) 랭크뉴스 2025.06.27
53004 특검 “윤석열, 지하주차장 앞에서 기다려도 출석 불응 간주” 랭크뉴스 2025.06.27
53003 “李 잘하고 있다” 64%…文보다 20%P↓, 尹보다 12%P↑[한국갤럽 조사] 랭크뉴스 2025.06.27
53002 "김혜경 여사는 도대체 어떤 인물?"…日언론이 소개한 내용 보니 랭크뉴스 2025.06.27
53001 "가까이 오면 시너 뿌린다"…인사 불만에 충주시장실 난입한 공무원 체포 랭크뉴스 2025.06.27
53000 MZ 유행인 ‘얼굴요가’, 진짜 효과 있을까? 랭크뉴스 2025.06.27
52999 국회, 여당 주도로 법사·예결위원장 등 선출…국민의힘 불참 랭크뉴스 2025.06.27
52998 대통령실 "보고 없었다, 우리 대책 아냐"… 고강도 부동산 대책 거리두기 랭크뉴스 2025.06.27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