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①제명 추진은 허구?→실제 민주당서 제명 언급
②추진하려는 징계는?→제명이 가장 높은 수위
이준석(왼쪽 사진)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연합뉴스·뉴스1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마지막 TV토론 성폭력성 발언 논란이 '의원직 제명' 추진을 둘러싼 진실 공방으로 번졌다. 이준석 후보는 더불어민주당이 자신의 제명을 추진한다며
"이재명 독재"라고 반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는
"본인이 상상해서 만든 허구"라고 일축
했다. "제명을 생각해본 적 없다, 민주당이 한 게 아닌데 한 걸로 치고 공격하는 건 국민을 속이는 것"이라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누구의 말이 맞는지 사실 관계를 따져봤다.

①제명은 '이준석이 상상해서 만든 허구'인가



먼저 제명 추진 움직임에 대해 "허구"라던 이 후보의 발언은 설득력이 떨어져 보인다.
당장 민주당에서 주요 당직을 맡고 있는 의원들이 나서 공개적으로 이준석 후보 제명 필요성을 언급
했기 때문이다. 김민석 수석최고위원은 "대선 후 친정 국힘 의원들의 찬성표에 힘입은 국회의원 제명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지난달 29일 페이스북에 썼다. 대상자 실명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젊은 구태정치' '고학력 정치사기꾼'이라고 지적한 점에 비춰 이준석 후보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김용민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지난달 28일 "이준석, 선을 너무 심하게 넘었다. 국회의원도 제명하고 모든 방송에서도 퇴출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준호 공동선대위원장도 같은 날 "(이 후보는) 대선 후보의 자격은 본인이 발로 찼고 의원직 제명도 검토해야 한다"고 정치권 퇴출을 외쳤다. 이처럼
민주당 주요 의원들이 명시적으로 '제명'을 언급한 상황에서
'상상 속 허구'라는 이재명 후보 주장은 사실과 거리
가 있다.

페이스북 캡처


②민주당이 추진하는 것은 정확히 뭔가



민주당이 추진하는 건 일단 국회의원 징계다.
의원직 제명도 가능한 징계 중 하나지만 징계 수위는 정해지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등 소속 의원 21명은 지난달 28일 이준석 후보의 성폭력성 발언을 이유로 '이준석 의원 징계안'을 발의했다. 이들은 징계안에서 "이준석 의원의 발언을 용인하면 대한민국의 성평등, 인권존중 사회는 바로 설 수 없다"며 "국회법에 따라 엄중히 징계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국회법상
징계 수위는 △공개 회의에서의 경고 △공개 회의에서의 사과 △30일 이내 출석 정지 △제명
네 가지다. 수위는 국회 윤리특별위 심사와 본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의원 제명은 최고 수위 징계인 만큼 다른 징계와 달리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200명) 찬성이 있어야 한다고 헌법은 정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상당수 동참해야 제명이 가능
하다는 뜻이다. 제명을 뺀 나머지 징계는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과반 출석과, 출석 의원 과반 찬성으로 의결한다. 헌정사상 국회의원 제명 사례는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79년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유일하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277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 진짜 신채호의 명언인가요? 랭크뉴스 2025.06.28
53276 ‘36주 임신중지’ 살인 혐의 병원장·의사 구속영장 발부 랭크뉴스 2025.06.28
53275 얼굴 밟고 무차별 폭행해 의식불명…살인미수죄 무죄, 왜 랭크뉴스 2025.06.28
53274 유럽은 이미 없어진 거 아니었어? EU가 '펫숍 금지법' 만든 이유 랭크뉴스 2025.06.28
53273 “아, 그때 살 걸 그랬네”…3년만에 12배 뛴 '이곳' 랭크뉴스 2025.06.28
53272 트럼프, '금리동결' 연준 의장에 "원할 경우 사퇴하면 좋겠다" 랭크뉴스 2025.06.28
53271 가수 범키, 배우 임혜진 의정부 PC방 교회 찾는 까닭 랭크뉴스 2025.06.28
53270 최저임금, 얼마가 적절할까...노사, 팽팽한 '줄다리기' 랭크뉴스 2025.06.28
53269 “이걸 실물로 보다니”…여의도 상륙한 ‘대륙의 가성비’ 랭크뉴스 2025.06.28
53268 여름철 생리통 심해지는 이유가 에어컨? 랭크뉴스 2025.06.28
53267 '협치' 시동 걸었지만 '정치의 복원'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5.06.28
53266 전직 대통령 모두 선 포토라인, 尹만 특혜 받나? 랭크뉴스 2025.06.28
53265 종이빨대 '안녕'...플라스틱 빨대 '컴백' 랭크뉴스 2025.06.28
53264 CCTV에 찍힌 수상한 남성…빈집 노려 순금 20돈 훔쳐 랭크뉴스 2025.06.28
53263 황강댐 방류할 때 미리 말 좀 해줬으면…이번엔 북한이 반응할까?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5.06.28
53262 [광화문약국] 공황장애 약, 운전에 지장 없다…보조제인 항불안제가 문제 랭크뉴스 2025.06.28
53261 2주만에 30만개 팔렸다…'노잼도시' 대전 필수템된 이 라면 랭크뉴스 2025.06.28
53260 AI 에이전트의 부상…美 증시, 우려 속 기회는 여전 랭크뉴스 2025.06.28
53259 한화오션, 불법파업 470억원 손배소 취하 검토… 배임 논란은 랭크뉴스 2025.06.28
53258 거리 한복판서 무차별 폭행해 의식불명…살인미수죄 무죄 이유? 랭크뉴스 2025.06.2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