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명’ 움직임에 “이재명 유신독재 출발” 주장
기자회견 뒤 “국민 기대치보다 덜 순화해 죄송”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30일 서울 동작구 중앙대 후문 앞에서 학생들과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정지윤 선임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30일 더불어민주당 등 구 야권의 의원직 제명 움직임에 대해 “이재명 유신독재의 출발을 알리는 서곡”이라며 “윤석열은 정권을 잡고 나서 저를 죽이려 들더니, 이재명은 정권을 잡기도 전에 저를 죽이고 시작하려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준석 후보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후보가 만에 하나라도 집권하게 된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지 예고편처럼 보여주는 풍경”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저를 제명하는 것은 물론, 언론사 기자들에게 보도지침을 만들어 겁박하고, 이른바 민주파출소를 통해 카톡 검열, 유튜브 검열까지 하고 있다”며 “입만 열면 김대중, 노무현 정신을 외치더니 박정희, 전두환의 계엄 정신을 이어받은 세대인가 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저는 죽지 않는다. 분연히 맞서 싸우겠다.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고 하셨던 김영삼 대통령의 말씀을 기억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 싸움은 전선이 분명하다”며 “이재명 같은 독재자, 유시민 같은 궤변론자, 김어준 같은 음모론자와의 싸움”이라고 했다.

이준석 후보는 민주당을 겨냥해 “여성과 노인을 앞세우더니 음침한 골방에서 여성을 성희롱하고 폭행하는 범죄 행위는 가장 많은 정당, 수시로 노인 비하도 서슴지 않았던 사람들에 대한 전국민적 심판”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들은 그 어떤 부적절한 발언을 해도 ‘표현의 자유’라고 우기면서 자유의 수호자처럼 행세하더니 젊은 세대가 아주 작은 실수라도 하면 ‘싸가지 없다’고 집단린치를 가하는 ‘우리 세대 패권주의’ 세력, 이러한 위선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제 그들이야말로 정치권을 떠나고 젊은 세대가 나라를 이끌 수 있도록, 이번 선거에서 심판해야 한다. 선거 결과를 통해 그들이 부끄러움을 알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시 김영삼 대통령님의 말씀을 되새긴다.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님이 사랑하셨던 ‘상록수’ 가사처럼 깨치고 나아가 끝내 이기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준석 후보는 지난 27일 TV 토론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 장남의 성폭력 발언을 재현해 논란이 커지자 이날 당원들에게 사과했다. 그는 당원들에게 보낸 e메일과 문자메시지에서 “표현의 수위로 인해 상처받은 모든 분에게 깊이 사과드린다”며 “부적절한 표현으로 인해 많은 분에게 실망과 상심을 안겨드렸고, 모든 책임은 저에게 있다. 어떤 변명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정치를 시작한 이래 늘 국민 앞에 진심으로 서겠다는 다짐으로 임했지만, 의욕이 앞선 한순간의 경솔함으로 그 다짐을 지키지 못한 순간이 있었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다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더욱 절제된 자세로 임하겠다”고 말했다. 자신의 발언을 정당화해 당원들의 ‘탈당 러시’가 우려되자 사과 수위를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기자회견 후 ‘성폭력 발언을 재현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연상 작용을 했다는 비판에 대해서도 수용할 의사가 있다”며 “형식적으로 굉장히 잘못했다는 것을 사과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원 소스였던 그런 문구는 굉장히 문제가 될 사안이고 왜곡된 성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그것에 대한 양당의 기준치를 물어보기 위해 토론회에서 질문한 건 주지의 사실이나 나름 (표현을) 순화하는 과정에서 국민 기대치보다 덜 순화한 것은 죄송하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민주당을 향해 “국민들이 그 발언 존재 여부와 민주당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정도는 아셔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그런데 그것에 대해 정확한 답변은 하지 않고 가짜뉴스라고 시간을 벌려는 것은 민주당의 책임있는 자세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국회의원 제명이니 물타기식 뉴스로 사실관계 검증을 막는 것은 민주당의 언론관”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300 고립무원 송미령… 야당 “자진 사퇴하라” 여당도 ‘떨떠름’ 랭크뉴스 2025.06.26
52299 SK하이닉스, 분기 영업이익 10조 시대 여나… “HBM3E 비중 80%까지 늘린다” 랭크뉴스 2025.06.26
52298 “진짜 강세장 온다”…코스피 3700 외친 이유는?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6.26
52297 李대통령, 18년 묵힌 광주軍공항 갈등 직접 토론서 해법…"국가가 책임지겠다" 랭크뉴스 2025.06.26
52296 피가 튀어도, 상처가 찢어져도…‘소 싸움’은 멈추지 않았다 랭크뉴스 2025.06.26
52295 예산·제도·데이터 모두 부족… 갈 길 먼 한국판 무인택시 랭크뉴스 2025.06.26
52294 24시간 일하고 1억 넘게 임금 떼이고···판치는 '가짜 5인 미만 사업장' 무법지대 랭크뉴스 2025.06.26
52293 2개 차선 회전교차로에서 사고나면 누구 잘못이 클까 랭크뉴스 2025.06.26
52292 혹시 나도?···내가 먹는 약 ‘의료용 마약류’인지 알아보려면 랭크뉴스 2025.06.26
52291 기름 붓고 불 붙여… 2초 만에 천장까지 화염 랭크뉴스 2025.06.26
52290 스테이블코인 기대감에 국내외 관련 주식 ‘들썩’ 랭크뉴스 2025.06.26
52289 ‘수사외압 키맨’ 김계환의 입 주목하는 특검…특검 이첩 요구 기로 랭크뉴스 2025.06.26
52288 美 스테이블코인 법안, '테라사태' 권도형 재판에도 영향 가능성 랭크뉴스 2025.06.26
52287 정규·비정규직 소득격차 되레 키우는 최저임금 인상의 역설 랭크뉴스 2025.06.26
52286 트럼프 "내주 이란과 대화"…이란 핵무기개발 포기 공식화 추진?(종합) 랭크뉴스 2025.06.26
52285 정보위, 중동 사태·北러시아 추가 파병 등 현안 보고 랭크뉴스 2025.06.26
52284 독수리인 줄? 57cm 까마귀…'이 새' 피하려면, 우산 필수 랭크뉴스 2025.06.26
52283 120m 걷는데 행인 10여명뿐…'공실 42%' 가로수길 비명 [자영업리포트] 랭크뉴스 2025.06.26
52282 나토, 10년내 국방비 GDP 5%로 증액…트럼프 "역사적 승리"(종합) 랭크뉴스 2025.06.26
52281 "맹탕·면죄부" 공방끝 李정부 초대총리 김민석 청문회 파행종료(종합) 랭크뉴스 2025.06.2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