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배스천 스런 스탠퍼드대학교 교수 특별강연
서배스천 스런 스탠퍼드대학교 교수(구글X·웨이모 창립자, 유다시티 회장)가 2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25 메인세션에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서울경제]
서배스천 스런 스탠퍼드대학교 교수가 28일 인공지능(AI) 시대가 이제 막 시작된 만큼 반도체 설계,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스런 교수는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25’의 특별강연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이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을 선도하고 있기 때문에 AI 시대에서도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스런 교수는 “GPU는 AI를 위해 설계된 것이 아니다”라며 “(AI를 위한) 반도체 설계를 통해 새로운 프로세스와 알고리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프라 부문에서도 한국이 기여할 수 있다고 봤다. 스런 교수는 “(AI 발전을 위해) 대대적인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며 “그 규모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고 짚었다.
아울러 물리적인 설계에도 AI가 접목될 것이란 진단이다. 스런 교수는 “아직 비행기, 컴퓨터 등을 물리적으로 쉽게 설계하는 기술은 없다”면서도 “이에 필요한 원재료, 공급망 등과 기본적인 물리학은 이미 공개돼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이 이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설계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 낸다면 설계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스런 교수는 AI시대에는 규제보다 혁신을 위한 사고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류 역사를 돌아보면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기술은 최근에야 발명됐다”며 “AI는 초기 단계로 100년, 150년 후면 지금은 상상할 수도 없는 것들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가 무엇을 만들 수 있는가에 집중해야 한다”며 “살아있다는 것은 발명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