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진 왼쪽부터 103세인 임생금 할머니, 100세 오무식 할머니, 100세 김두리 할머니다. 김윤호 기자
울산 울주군 온양읍 하서마을에는 100세를 넘긴 세 명의 할머니가 산다. 가장 연장자인 할머니는 올해 103세다. 할머니들은 여전히 호미를 들고 밭을 매며 서로를 '언니' '동생'이라 부른다. 병원도 요양원도 아닌, 흙과 이웃 사이에서 삶을 꾸려가는 이곳은 말 그대로 장수촌이다.

지난 26일 찾은 하서마을. 마을 뒤편으로는 대운산 자락이 길게 뻗어 있고, 맑은 남창천이 옆으로 흐른다. 국도변 마을 입구에 있는 붉은 벽돌집 앞에 임생금(103) 할머니가 서 있었다. "보통은 아침에 밭에 나가 콩이나 깨를 심는데, 오늘은 집에서 좀 쉬고 있지." 허리를 곧게 펴고 걷는 모습에서 또렷한 기운이 느껴졌다. 작은 체구지만 목소리는 단단했고, 안경 너머의 눈빛은 맑았다. "이도 튼튼해. 밥 먹을 때 숟가락, 젓가락질도 잘해." 임 할머니의 얼굴에는 세월을 건너온 이의 여유가 담겨 있었다.

마을회관 쪽으로 가니 김두리(100) 할머니가 꽃무늬 티셔츠에 스카프까지 곱게 두른채 나왔다. "마을이 조용해서 그런가, 마음이 늘 편안해. 그래서 내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가." 김 할머니는 매일 아침 마을회관에 나와 시간을 보내고 오후엔 동네 밭 길을 따라 천천히 걸어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일과처럼 지킨다. "백살이 넘은 사람치고 꽤 총명한 편 아니냐. 자꾸 움직여야지. 먹는 것도 잘 먹어. 옛날엔 풀로 반찬 해먹었지만 요즘은 고기도 많이 먹고. 암튼 좋지."
울주군 하서마을 전경. 사진 울산시
하서마을에는 현재 175명이 살고 있다. 이 중 70대 이상 노인이 60명, 80대 30명, 90대는 10명. 특히 100세 이상 할머니가 3명이나 있다. 임생금(1923년생), 김두리(1926년생), 오무식(1926년생) 할머니다.

밭에서 깨를 심다가 목에 수건을 두른 채 마을로 돌아오던 오무식(100) 할머니는 "농번기엔 밭에 나가고, 장날엔 상추나 양파, 미나리 같은 걸 수확해 시장에 내다 팔아 가끔 용돈벌이도 해. 귀가 좀 어두운 게 불편해."라고 했다. 마을회관 방을 정리하던 홍순연(89) 할머니는 "백살 넘은 (세 명의) 언니들에 비하면 난 어린 편이지"라며 환하게 웃었다.

백살을 넘긴 할머니들은 모두 16살 19살 등 10대에 하서마을로 시집와서 80년 넘게 이곳에서 살고 있다. 땅을 일구고 자식을 키우며 손수 고추장과 된장을 담그며 평생을 보냈다. 지금도 큰 병치레 없이 스스로 밥을 짓고 움직인다. "장수의 비결이 뭐냐"는 물음에는 "밭에 나가고, 동네를 걸어 다니며 몸을 움직이는 것"이라고 했다. 또 "마음 편하고, 스트레스 없는 마을에서 상추나 된장, 콩 같은 시골 밥을 잘 챙겨 먹는 게 건강 비결 아닐까"라고 덧붙였다. 호미를 들고 밭을 일구던 한 80대 할머니는 "우리 마을은 물이 참 좋아. 남창천이 옆에 흐르는데 그 물이 장수마을로 만든 것 아닐까"라고 했다.

마을회관은 할머니들의 작은 사랑방이다. 아침이면 마을회관에 모여 시간을 보내고 점심에는 손수 담근 물김치나 된장, 밭에서 딴 상추로 함께 식사한다. 이날 점심은 채소를 듬뿍 넣은 비빔밥이었다. 마을회관 안에서는 웃음소리와 수다가 끊이지 않는다. "휴대폰 꺼내놔야 잘 들리지", "부산 아들네 갔다가 어제 돌아왔어" 같은 이야기가 오간다. 할머니들은 이렇게 서로의 일상을 나누며 외로움을 잊고, 스트레스를 덜어내는 듯했다.
지난 1일 마을에선 특별한 잔치가 열렸다. 100세가 넘은 것을 축하하는 상수연(上壽宴)연이다. 주민과 가족, 온양읍 관계자들이 모여 백살 넘은 할머니들에게 꽃다발과 감사패를 전하고 장수를 축하했다. 사진 울산 울주군
지난 1일 마을에선 특별한 잔치가 열렸다. 100세가 넘은 것을 축하하는 상수연(上壽宴)이다. 주민과 가족, 온양읍 관계자들이 모여 백살 넘은 할머니들에게 꽃다발과 감사패를 전하고 장수를 축하했다. 오세웅 마을 이장은 "100세 어르신들은 우리 마을의 보물"이라며 "건강하게 오래 살아온 할머니들의 아름다운 인생이 우리가 배울 점이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9225 서울버스 파업은 면했지만···‘통상임금 갈등’ 여전, 장기화 가능성[분석] 랭크뉴스 2025.05.28
49224 네거티브 TV 토론에 전문가들 "무용론 나올 정도로 수준 이하" 랭크뉴스 2025.05.28
49223 김문수 유리한 ARS조사도 이재명 ‘오차범위 밖 1위’…샤이 보수 바닥났나 랭크뉴스 2025.05.28
49222 [속보] 부산 시내버스 노사 조정안 합의…버스 정상운행 랭크뉴스 2025.05.28
49221 주한미군사령관 “미군 감축 이야기 들은 바 없어…논의는 가능” 랭크뉴스 2025.05.28
49220 한덕수 “김문수 지지하는 마음으로 내일 사전투표” 랭크뉴스 2025.05.28
49219 김건희 비서와 ‘샤넬백 교환’ 동행한 21그램 대표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5.28
49218 '아이고야' 고개 떨군 평론가‥"이거 30년 간다" 후폭풍 랭크뉴스 2025.05.28
49217 대선 토론 중 생중계된 이준석의 ‘언어 성폭력’···사퇴 요구 ‘빗발’[플랫][컨트롤+F] 랭크뉴스 2025.05.28
49216 “이준석 여성혐오 발언, 토론 보던 사춘기 딸 충격받고 방에 들어가” 랭크뉴스 2025.05.28
49215 '해리포터' 새 얼굴들 누구…"놀라운 재능" 3만명 경쟁 뚫었다 랭크뉴스 2025.05.28
49214 ‘샤이 보수’ 바닥났나…김문수 유리한 ARS 방식도 이재명에 두 자릿수 격차 랭크뉴스 2025.05.28
49213 "의사 월급보다 고물상이 낫다"…퇴근 후 알바하는 中 20대 의사 사연 랭크뉴스 2025.05.28
49212 [속보] 이준석 “‘젓가락 발언’ 사과… 단일화 가능성 없다” 랭크뉴스 2025.05.28
49211 주한美사령관, 주한미군 감축 보도에 “들은 바 없다” 랭크뉴스 2025.05.28
49210 [속보]1분기 출생아 수 10년 만에 첫 반등…증가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 랭크뉴스 2025.05.28
49209 ‘차 한 대값’ 써야 결혼 가능....비용 보니 ‘충격’ 랭크뉴스 2025.05.28
49208 채팅앱으로 우울증 여성 불러 숨지게 한 20대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5.28
49207 혼합에 수평까지 섞였다... 소노인터-티웨이 결합 심사가 지연되는 이유 랭크뉴스 2025.05.28
49206 선관위, 부정선거 주장단체 경찰 고발…"선거업무 방해·협박" 랭크뉴스 202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