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종주국' 사우디 완고하지만 2022 카타르 전례
주류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사우디아라비아가 2034년 월드컵 개최를 계기로 음주를 허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일각에서 제기돼 관심이 집중됐다.
하지만 이슬람 종주국으로서 엄격한 율법을 적용하는 사우디는 주류 불허 방침에 예외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사우디의 금주령 해제와 관련한 관측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주류 조사기관 와인인텔리전스가 자체 블로그에 "사우디가 2026년부터 전국 약 600개의 지정된 장소에서 알코올음료의 판매·소비를 허가한다고 발표했다"는 글을 올리면서 시작됐다.
이 기관은 사우디가 알코올 도수 20% 이하의 와인과 맥주 등만 고급 호텔과 리조트, 네옴시티 등 관광 허브, 외국인 주거단지, 지정된 국제행사 등에 한해 유통되도록 할 방침이라고 상세히 설명했지만 정보의 구체적인 출처는 밝히지 않았다.
신빙성을 담보할 수 없는 글이었지만 미국과 유럽, 중동과 아시아 등지의 여러 매체가 이 소식을 옮기며 이목을 끌었다.
미국 시사주간 뉴스위크도 "수십년간 유지된 주류 판매 금지 정책을 일부 관광지에서 해제한다는 언론 보도에 보수적인 사우디에서 격렬한 온라인 논쟁이 벌어졌다"고 보도하기에 이르렀다.
사우디의 이웃이자 역시 이슬람 국가인 카타르가 앞서 2022년 월드컵을 개최하면서 지정된 팬 존과 허가받은 호텔, 클럽에서 음주를 허용한 선례가 기대 섞인 전망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의 주류 규제 해제와 관련한 추측은 26일 한 익명의 사우디 관리가 관련 보도를 부인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하면서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사우디는 주류 소비를 허용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해왔다.
지난 2월 칼리드 빈 반다르 알사우드 영국 주재 대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사우디는 현재 술을 허용하지 않는다"며 "월드컵을 개최하더라도 예외는 없다, 호텔뿐만 아니라 식당과 경기장에서도 술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우디는 1952년부터 주류 제조와 판매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술을 마시다가 적발된 내국인은 태형과 벌금·징역형으로, 외국인은 추방 등으로 처벌한다.
다만 지난해부터는 이슬람교도가 아닌 외교관에 한해 수도 리야드의 지정된 판매점에서만 일부 알코올음료를 살 수 있게 허용됐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