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찰이 12·3 비상계엄 사흘 뒤 윤 전 대통령의 비화폰 기록이 삭제된 정황을 확인하고 증거인멸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경찰은 또 계엄 국무회의와 관련해 한덕수 전 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등이 CCTV에 찍힌 것과는 다르게 진술한 걸 포착하고 오늘 다시 소환했습니다.
윤봄이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 등의 비화폰 서버 기록을 확보해 분석해 온 경찰은 수상한 점을 확인했습니다.
비상계엄 선포 사흘 뒤인 지난해 12월 6일, 윤 전 대통령과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그리고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비화폰 기록이 원격으로 삭제된 겁니다.
더구나 기록이 삭제된 12월 6일은 홍장원 전 차장이 국회에 나와 "윤 대통령이 이번 기회에 정치인 등을 싹 잡아들이라"고 했다며 폭로하고 경질된 날입니다.
[홍장원/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2월 4일 :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체포조 운영을 지시받았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으신가요?) 네, 변함없습니다."]
경찰은 증거인멸에 해당한다고 보고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한편, 경찰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가 열렸던 용산 대통령실 대접견실과 대통령 집무실 복도 CCTV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새로운 의혹을 포착했습니다.
국무위원들이 경찰에서 했던 진술과 배치되는 정황이 담겼던 겁니다.
이에 따라 경찰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다시 소환해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 전 장관을 상대로는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에 대해서도 캐물었습니다.
이와 함께 경찰은 지난해 3월부터의 비화폰 서버 기록을 복구했고, 대통령 안전가옥 CCTV 영상이 남아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며, 경호처와 추가 제출을 협의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봄이입니다.
촬영기자:서원철/영상편집:김종선/그래픽:박미주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