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경찰이 한덕수 전 총리와 최상목 전 부총리 그리고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을 내란 혐의 피의자로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의 대통령실 CCTV를 확인한 결과, 계엄 선포 전 회의와 관련해 그동안 이들이 했던 진술과 어긋나는 점이 드러난 건데요.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로 가보겠습니다.
고병찬 기자, 이제 12·3 6개월이 다 되어 가는데 경찰이 대통령실 CCTV를 확보하자마자 관련 수사에 속도가 붙고 있네요?
◀ 기자 ▶
네, 경찰은 한덕수 전 총리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을 오전 10시부터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낮 12시부터는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조사에도 들어갔습니다.
경찰은 최근 12.3 계엄 이후 처음으로 대통령실 CCTV를 확보했습니다.
12월 3일 계엄 선포 당일 저녁 6시부터 다음날까지, 대통령 집무실 복도와 대접견실 CCTV를 경호처로부터 확보했습니다.
대접견실은 비상계엄 선포를 위한 국무회의가 열린 장소입니다.
경찰은 CCTV 분석 결과, 한 전 총리와 이 전 장관, 최 전 부총리가 국회나 경찰 조사에서 진술했던 내용과 다른 점을 확인했습니다.
경찰은 어떤 내용이 다른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계엄 선포 국무회의와 관련해 '전반적으로 진술이 배치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덕수 전 총리는 계엄 선포 당일 저녁 8시 40분에 대통령실에 도착한 뒤 계엄 선포 계획을 들었고, 계엄 선포를 막기 위해 국무회의 소집을 윤 전 대통령에게 건의했다고 말해 왔습니다.
CCTV에서 대통령실에 들어온 시간이나 횟수가 이와는 배치되는 영상이 확인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한 전 총리는 비상계엄 관련 지시사항이 담긴 문건을 받지 않았다고 주장해 왔는데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한 전 총리에게도 문건을 줬다고 한 뒤에야 "비상계엄 선포문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가 국무회의 후 양복 뒷주머니에 있는 것을 알았다"고 해명하기도 했습니다.
이상민 전 장관은 언론사 등에 단전 단수 지시를 한 의혹을 받고 있는데요.
단전 단수 문건을 받은 게 아니라, 대통령 집무실에서 종이쪽지를 멀리서 보기만 했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 전 장관 역시 CCTV에서 단순히 본 정도가 아니라 더 적극적인 행동이 확인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최상목 전 부총리는 내란의 핵심 증거로 여겨지는 비상입법기구 창설 등이 담긴 쪽지를 받아 받았는데요.
쪽지는 받았지만 보지 않았다는 최 전 부총리의 말이 사실인지, 따져보고 있는 걸로 보입니다.
결국 경찰 수사는 "계엄 선포는 사전에 몰랐고, 알고 나서는 반대했다"는 국무위원들의 말이 사실인지 규명하는데 집중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 전 총리에 대한 조사는 지난 2월 이후 석 달 만인데요.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나서려고 했던 한 전 총리가 논란의 단일화 과정을 거쳐 물러나면서 경찰이 내란 수사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보입니다.
경찰은 계엄 전후에 윤 전 대통령이 계엄 당일 경찰 수뇌부에게 지시를 내리고 계엄 다음날 이 전 장관 등 이른바 '4인방'이 회동한 장소인 삼청동 안가 CCTV 확보에도 나섰습니다.
지금까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 MBC뉴스 고병찬입니다.
영상취재: 전인제, 변준언 / 영상편집: 박천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