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4일 경기 시흥 배곧아브뉴프랑 센트럴광장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저 남미에 ‘아’ 뭐 하는 나라 ‘브’ 뭐 하는 나라, 아시아 ‘피’ 뭐 하는 나라, 한때 정말로 잘 나가다가 군사ㆍ사법 쿠데타 독재 이런 거로 완전히 망가져가지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지난 24일 경기도 시흥 유세에서 이렇게 말했다. “닮고 싶은 나라, 배우고 싶은 나라였던 대한민국이 하루아침에 제3세계 후진국이나 벌이는 군정을 시도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ㆍ3 비상계엄을 비판하는 취지에서 한 발언이었다. 하지만 박원곤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장은 25일 통화에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을 지칭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정 국가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은 대통령 당선 시 해당 국가와 한국이 양자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지난 1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대선 후보자 1차 토론회에서 “6ㆍ25 때 중국 공산당이 우리나라 쳐들어와서 적국이었고, 미국은 우리를 도와줘 대한민국을 지킨 당사자”라며 “그런 점에서 ‘중국도 중요하다, 러시아도 중요하다, 미국도 중요하다’ 이건 아니다”라고 이 후보의 실용 외교 주장을 반박했다. 김인휘 이화여대 국제학부 교수는 “1992년 한ㆍ중 수교하면서 과거를 털기로 한 게 언제인데 지상파 토론회에서 중국을 ‘6ㆍ25 때 우리를 쳐들어온 나라’라고 한 것 아니냐”며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 뉴스1

양당 대선 후보들이 상대 진영 공격을 위한 ‘네거티브 전(戰)’에 주요 외교 상대국들을 거침없이 깎아내리는 모습에 전문가들은 고개를 내젓고 있다.

김문수 후보는 이재명 후보를 때리는 과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여러 번 ‘독재자’라고 언급했다. “(이 후보가) 대통령이 돼서 입법ㆍ행정ㆍ사법을 다 하면 김정은 독재, 시진핑 독재, 히틀러 독재가 되는 거 아니겠나”(지난 14일, 밀양 유세), “민주당 당내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89.77%를 받았다. 북한의 김정은 또는 중국의 시진핑과 같은 정도 득표율”(지난달 29일, KBS 라디오)이라는 식이다.

전문가들은 “상대가 있는 외교 만큼은 단어 하나하나 매우 조심해야 한다”(박원곤 교수)고 지적하지만 지난 대선 때부터 후보들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쉽게 넘나들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20대 대선 TV 토론회(2022년 2월 25일)에서 블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초보 정치인”이라고 지칭해 논란을 불렀다. 이 후보는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향해 “우크라이나에서 6개월 초보 정치인이 대통령이 돼서 나토 가입을 공언하고 러시아를 자극하는 바람에 결국 충돌했다”며 “윤 후보는 너무 거칠고 난폭해서 사드 배치, 선제 타격을 쉽게 말하는데 우크라이나 사태를 보고 철회할 생각은 없나”라고 물었다. 논란이 커지자 이 후보는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폄하한 것이 아니라 윤 후보를 지적한 것임을 누구나 알 수 있다”고 해명했다.

20대 대선 국민의힘 경선과정에서 윤석열 후보와 홍준표 후보는 서로를 로드리고 두테르테 당시 필리핀 통령에 비유했다. 윤 후보가 “좀 두테르테식”이라고 비판하면 홍 전 시장은 “귀하는 두테르테의 하수인”이라고 맞받는 식이었다. 두테르테 대통령이 자국 범죄자들을 즉결처형식으로 엄벌해온 것에 빗댄 것이지만 우방국인 필리핀에 대한 외교 결례라는 비판이 많았다.

박인휘 교수는 “지금은 외교가 너무 중요한 시점에 외교 수장 공백으로 치러지는 선거”라며 “신중하지 못한 발언이 계속 나오는 게 안타깝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29 EU, 中쉬인에 "'무늬만 할인' 안 고치면 과징금" 랭크뉴스 2025.05.26
48428 “도끼로 문 부수고 들어가라”… 尹 재판서 또 나온 ‘국회 진입 지시’ 증언 랭크뉴스 2025.05.26
48427 단일화 '전방위 설득전' 나선 국힘…이준석 "가능성 0%" 퇴짜(종합) 랭크뉴스 2025.05.26
48426 "난 구치소, 홍준표는 하와이라니" 뿔난 김영선 수표 2장 공개 랭크뉴스 2025.05.26
48425 "'도끼로라도 문 부숴라' 지시" 법정 증언 또 나왔다... 尹 여전히 묵묵부답 랭크뉴스 2025.05.26
48424 尹, 세번째 포토라인도 묵묵부답…법정서도 발언 없이 지켜봐(종합) 랭크뉴스 2025.05.26
48423 멀어진 보수 단일화… 굳어지는 3자 구도 랭크뉴스 2025.05.26
48422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 혐의 재판 다음 달 시작‥6월 17일 첫 준비기일 랭크뉴스 2025.05.26
48421 재외선거 투표율 '80%' 육박‥2017 넘어 '역대 최고' 랭크뉴스 2025.05.26
48420 한동훈, 김문수 손잡고 첫 합동 유세 "무능해서 위험한 이재명 세상 막아야" 랭크뉴스 2025.05.26
48419 권성동 “우리 안의 차이 극복 못하면 김문수 대통령 못 만들어” 랭크뉴스 2025.05.26
48418 서울·충청 지지율 요동, 조사마다 엇갈려… 청년층은 3파전 랭크뉴스 2025.05.26
48417 한동훈과 첫 합동 유세… 김문수 “저보다 더 인기 좋아” 티셔츠엔 ‘통합 대통령’ 랭크뉴스 2025.05.26
48416 “尹이 특전사령관에 도끼로 문 부수라 지시” 재판서 군 간부 증언 랭크뉴스 2025.05.26
48415 김문수 유세차 처음 오른 한동훈 “계엄 옹호·부정선거 음모론과 선 그어야” 랭크뉴스 2025.05.26
48414 ‘대선 풍향계’ 충북, 이재명 45%·김문수 38%·이준석 8% [충북 여론조사] 랭크뉴스 2025.05.26
48413 김문수와 유세차 오른 한동훈···“계엄 옹호·부정선거 선 그어야” 랭크뉴스 2025.05.26
48412 서울 꼬마빌딩 3.3㎡당 5000만원 뚫었다…"지역간 양극화 심화" 랭크뉴스 2025.05.26
48411 충청·수도권 쌍끌이 유세 나선 김문수 "李보다 성과 많이 냈지만, 구속은 안 당했다" 랭크뉴스 2025.05.26
48410 AI 뜨니 AI공약만 쏟아낸 정치권… 인재 양성 처방은 실종 랭크뉴스 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