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중국의 서해 중첩수역 내 항행금지 구역 설정에 대해 중국 측에 우려를 전달했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24일) 언론에 배포한 문자메시지에서 “중국 측이 잠정조치 수역에서 항행금지구역을 설정하여 항행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우려를 외교채널을 통해 중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는 다만 “합참의 설명에 따르면 잠정조치수역(PMZ)의 경우 영해 밖 공해로서 양국이 훈련을 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으며 우리 군도 통상적으로 공해에서 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중 측 조치가 국제해양법에 부합하는지 여부 및 우리의 대응 방안에 대해 국방부 등 관계 부처와 긴밀한 협의 하에 대응 중”이라며 “앞으로도 정부는 관계 부처와 공조 하에 우리의 합법적인 권익이 침해받지 않도록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미국 뉴스위크는 지난 21일 중국이 한국의 배타적경제수역 일부를 항행 금지 구역으로 설정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합참 관계자는 “우리도 공해상에서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공해에서 이뤄지는 군사 활동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순 없지만, 최근 중국의 PMZ 내 활동을 고려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24일) 언론에 배포한 문자메시지에서 “중국 측이 잠정조치 수역에서 항행금지구역을 설정하여 항행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우려를 외교채널을 통해 중 측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는 다만 “합참의 설명에 따르면 잠정조치수역(PMZ)의 경우 영해 밖 공해로서 양국이 훈련을 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으며 우리 군도 통상적으로 공해에서 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중 측 조치가 국제해양법에 부합하는지 여부 및 우리의 대응 방안에 대해 국방부 등 관계 부처와 긴밀한 협의 하에 대응 중”이라며 “앞으로도 정부는 관계 부처와 공조 하에 우리의 합법적인 권익이 침해받지 않도록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미국 뉴스위크는 지난 21일 중국이 한국의 배타적경제수역 일부를 항행 금지 구역으로 설정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합참 관계자는 “우리도 공해상에서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공해에서 이뤄지는 군사 활동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순 없지만, 최근 중국의 PMZ 내 활동을 고려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