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수피|운동 칼럼니스트 <헬스의 정석> 시리즈 저자

요즘 일반명사에 가까워진 ‘워밍업(warming up)’은 원래 운동에서 유래한 단어다. 의미 그대로 몸을 덥힌다는 뜻인데, 몸이 굳어있는 상태에서 격한 동작을 하면 힘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거나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적절한 동작으로 체온을 높이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서 미리 근육과 관절을 충분히 풀어주면서 운동하려는 동작을 연습하는 목적으로 실시하는 모든 동작이 워밍업에 해당한다.

워밍업의 구체적인 구성은 운동의 종류에 따라 세부적으로는 조금씩 달라지지만 아래의 기본적인 원칙은 지켜야 한다. 첫째, 심박수와 혈액순환을 적절히 올릴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사지와 목, 척추 등 큰 관절을 다 써야 한다. 셋째, 본운동에 악영향을 줄 만큼 너무 길거나 강도가 높아선 안 된다.

워밍업은 계절이나 날씨, 시간대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 일단 날씨가 추운 겨울철에는 체온 상승도 더디고 몸이 전반적으로 더 굳어있기 때문에 워밍업 시간도 길게 잡는다. 한편 아침 운동도 겨울 운동처럼 몸이 굳어있는 상태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저녁 운동보다 워밍업을 여유 있게 실시한다. 특히 이 둘이 겹치는 겨울철 아침 운동에서는 혈압이 급변해 불상사가 자주 생기므로 고령자나 고혈압 환자는 워밍업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그렇다면 워밍업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시할지 알아보자. 첫 단계는 빠른 걷기나 줄넘기 등 가벼운 전신 유산소운동으로 몸을 데워주는 게 좋다. 최소 10~15분 정도가 좋은데, 헬스장이나 체육관을 다닌다면 운동하는 곳까지 빠르게 걷거나 뛰어가고, 계단을 빠르게 오르는 것으로 이 단계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니 운동하는 곳이 ‘적절히’ 멀다면 그것도 장점이라 생각하고 그냥 걸어가자.

두 번째 단계는 동적 스트레칭이다. 전문적인 동적 스트레칭에는 이름도 어려운 여러 동작이 있는데, 대다수 한국인은 학창시절 배운 국민건강체조를 생각하면 훨씬 쉽다. 과거에 학교를 다닌 분이라면 국민체조, 청소년체조가 더 익숙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본인의 몸에 익은 동작이면 기억을 살려 해보자. 아마 온몸이 시원해진다고 느낄 것이다. 무슨 체조건 끝까지 실시하면 5~6분 내외가 된다. 참고로 스트레칭이라고 하면 ‘관절을 쭉쭉 잡아 늘리는 그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런 ‘정적 스트레칭’은 유연성을 미리 확보해야 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운동 후에 하는 게 더 유리하다는 쪽으로 권장사항이 바뀌었다.

자, 이제 15분쯤 지났다. 여기서 바로 본운동으로 들어가도 되지만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 가벼운 마사지나 폼롤러 등으로 취약한 근육과 관절을 주물러줄 수도 있고, 발목이나 고관절 등 본인이 유독 뻣뻣한 부위나 본운동에서 특히 중요한 부위가 있다면 정적 스트레칭으로 미리 풀어줄 수도 있다.

근력운동의 경우 한 단계가 더 남았다. 바로 ‘워밍업 세트’다. 워밍업 세트는 근력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몇 세트 시범 삼아 해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벤치프레스라면 벤치에 누워 가벼운 봉으로 동작을 대여섯번 해본다. 동작을 미리 몸에 각인시키고, 그 부위의 관절이나 근육에 문제가 없는지 테스트해보는 목적이다.

과거에는 워밍업 세트를 아주 가벼운 무게로 10~20회씩 근육에 열이 날 만큼 많이 들고는 본운동 무게로 ‘점프’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워밍업 횟수는 세트당 5~6회 안쪽으로 줄이고, 대신 본운동에서 쓸 수준까지 중량을 빠르게 올려나가는 방식을 권장한다. 즉 횟수는 줄이고 대신 약간 무겁게 하는 방식이 좋다.

수피|운동 칼럼니스트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96 ‘5·18 발포거부’ 안병하 치안감 유족, 퇴직연금소송 승소 랭크뉴스 2025.05.25
47895 김문수, 이준석 단일화에 “한뿌리였으니 노력할 것…만날 계획도 추진” 랭크뉴스 2025.05.25
47894 소상공인 폐업 공제금 역대 최대…대출도 증가 랭크뉴스 2025.05.25
47893 코골이 치료를 치과에서 한다고? [김현종의 백세 건치] 랭크뉴스 2025.05.25
47892 이재명 “낡은 이념의 시대, 무도한 분열의 정치 끝낼 것”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5.25
47891 김정은 면전서 넘어진 북 구축함, 실무급 간부들 구속···‘기강 잡기’ 풀이 랭크뉴스 2025.05.25
47890 美 관세 대응·공장 증설·판매 확대 직접 챙기는 조현범 랭크뉴스 2025.05.25
47889 李 47.3%·金 39.6%… 양당 후보 격차 7.7%P로 좁혀져 랭크뉴스 2025.05.25
47888 5000원 내던 서울 가정용 하수도요금, 5년 뒤에 9500원 낸다 랭크뉴스 2025.05.25
47887 李 ‘시흥 거북섬’ 발언 놓고 갑론을박... 민주 “이준석·나경원 등 고발”vs. 국민의힘 “텅 빈 ‘유령섬’” 랭크뉴스 2025.05.25
47886 26년 전 위헌 폐지 ‘군 가산점제’ 끌고 나온 김문수···“손 안 대고 코 풀 생각 하나” 비판 랭크뉴스 2025.05.25
47885 "폭행하고 성병 옮겨" 전 여친 폭로…배우 전호준 "맞은 건 나" 랭크뉴스 2025.05.25
47884 “상급병실 제한에도” 한방병원 입원 급증 랭크뉴스 2025.05.25
47883 미취업 청년 '니트족' OECD 중 3위‥한국만 늘었다 랭크뉴스 2025.05.25
47882 "사발면 36개 5040원" 한밤 쿠팡 대란…당근서 매물 쏟아진다 랭크뉴스 2025.05.25
47881 美그랜드캐니언 여행중 실종 한인 가족…3명중 2명 사망 확인 랭크뉴스 2025.05.25
47880 "책임은 현장에만"…출동 경찰 잇단 피습에 일선 '부글부글'(종합) 랭크뉴스 2025.05.25
47879 이재명 “사법·검찰개혁 중요하지만…집권 초 경제·민생회복 먼저“ 랭크뉴스 2025.05.25
47878 트럼프 "모든 국가 방어시대 끝…미군, 미국을 최우선시 하라" 랭크뉴스 2025.05.25
47877 아파도 참고 출근한다···5인 미만 기업 유급병가 사용률 절반에 그쳐 랭크뉴스 2025.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