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담관암을 비롯한 담도계암이 생기는 담낭(쓸개)·담관의 구조. 국가건강정보포털 제공


담관암을 포함한 담도계암 발생률은 한국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다. 민물고기를 날것으로 섭취해 기생충에 감염되면 위험이 커지지만 암 발병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때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담관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담낭을 거쳐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경로로, 담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이 바로 담관암이다. 한국은 담관암을 비롯해 담낭암, 십이지장 유두부암을 포함한 담도계암의 발생률이 2022년 기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1위인 칠레에선 담낭암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 밖의 담도계 암종에선 한국이 가장 높은 발생률과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담관암은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흐름에 따라 세계적으로도 증가하는 추세다. 다만 국내에선 이와 함께 담관암의 대표적 위험 요인 중 하나인 간흡충(간디스토마) 감염이 담도계암 발생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김효정 고려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간흡충은 담관에 기생하면서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담관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며 “한국은 민물 회를 즐기는 문화가 일부 지역에 남아 있어 간흡충 감염률이 높은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민물고기를 생으로 먹는 식습관은 매우 위험해 반드시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담관암은 조기 진단이 어려운 탓에 대부분 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어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항암치료 효과도 낮아 췌장암보다도 예후가 더 나쁜 암으로 알려져 있다.

발견이 어려운 이유는 담관이 자리 잡고 있는 해부학적 위치와 관련이 있다. 담관은 간 내부에서 혈관처럼 여러 방향으로 퍼졌다가 하나로 합쳐져 간 바깥으로 나오는 구조로 돼 있다. 담관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간 내·간 외로 구분하는데, 특히 간 내 담관암은 부피가 큰 간 안에서 잘 드러나지 않다 보니 종양이 커져서 간 밖으로 돌출되거나 간의 넓은 부위를 침범해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담관암 초기에는 통증 같은 자각 증상이나 특별한 신체 변화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도 특징이다. 간 외 담관암 역시 간 외부의 담관이 완전히 막혀 담즙 배출이 차단되기 전까지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증상을 알아채고 검사를 하는 시점에선 이미 병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증상은 황달로, 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고 소변 색이 짙어진다. 이 외에도 복부 통증, 체중 감소, 식욕 부진, 이유 없는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다.

영상·혈액검사로도 쉽게 찾아내기 어려운 점도 문제다. 간 내 담관암은 종양의 크기가 1㎝ 이상이면 초음파 검사로 발견할 수 있지만, 더 흔한 간 외 담관암은 일반 건강검진에서 시행하는 초음파 검사로는 간 외 담관의 극히 일부만 관찰할 수 있다. 또 담관 벽은 두께가 1㎜ 이내로 매우 얇다. 암이 발생해 벽이 두꺼워지더라도 그 변화가 미미하고 더디게 진행돼 정밀 영상 검사로도 초기의 미세한 변화까지 감지하기 쉽지 않다. 아직 담관암에 특화된 혈액검사가 없는 점도 조기 진단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담관암은 수술이 가능한 환자의 비율이 20~30%에 불과해 치료도 어렵다. 담관은 다른 장기들이 복잡하게 얽힌 위치에 자리 잡고 있고 특히 간문맥·간동맥 등 주요 혈관과 가까워 수술이 어렵다. 또 보이는 병변보다 실제로 침범한 범위가 넓은 경우가 많아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완전 절제 비율도 낮다.

수술이 어렵다면 표적치료제·면역항암제 등을 활용한 항암치료로 암의 크기를 줄이고 진행을 늦추는 치료를 시행한다. 담관이 막혀 발생할 수 있는 담도염을 예방하고 담즙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스텐트 삽입 등의 처치도 병행할 수 있다. 김효정 교수는 “담관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담석증, 만성 간염 등 담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적절히 치료하고, 만성 염증 환자는 간 기능 혈액검사 및 복부 영상 검사를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71 김문수 지지율 40.4%…이재명 46.5%·이준석 10.3% [에이스리서치] 랭크뉴스 2025.05.26
48370 박근혜, 내일 박정희 생가 참배 ‘보수표 몰이’···이준석 “국힘 이길 생각 없단 방증” 랭크뉴스 2025.05.26
48369 “찌르면 돈 주겠다”…이재명 후보 아주대 간담회 전 대학 커뮤니티에 협박글 랭크뉴스 2025.05.26
48368 경찰, 한덕수·최상목·이상민 소환…“CCTV와 진술 달라” 랭크뉴스 2025.05.26
48367 [단독] ‘가습기살균제’ 옥시 대표, 자문 로펌 김앤장에 자녀 ‘인턴 문의’ 후 실제 채용 랭크뉴스 2025.05.26
48366 환율 7개월 만에 최저치…1350원대 목전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5.26
48365 베네수엘라 총선 ‘마두로’ 여권 압승…야, 투표 보이콧 랭크뉴스 2025.05.26
48364 [속보] 대선 재외국민 투표율 79.5% 역대 최고‥20만5천268명 참여 랭크뉴스 2025.05.26
48363 “부정선거 의혹 제기한 적 없다” 김문수, 선거법 위반 고발당해 랭크뉴스 2025.05.26
48362 장난감 물총 들고 "돈 내놔"…2분만에 잡힌 은행 강도 집유, 왜 랭크뉴스 2025.05.26
48361 [단독] 이준석 안 만나주자, 유세장 찾아가 車 올라탄 신성범 랭크뉴스 2025.05.26
48360 尹 비화폰·CCTV 수사 급물살‥한·이에 최상목까지 소환 랭크뉴스 2025.05.26
48359 트럼프, '미국 제조업 상징' 매각 사실상 승인…US스틸이 뭐길래 랭크뉴스 2025.05.26
48358 분당에서 김문수 후보 선거운동원 폭행한 40대 구속 랭크뉴스 2025.05.26
48357 이재명 “국방장관, 민간인이 맡는 게 바람직…군인 임명이 관행” 랭크뉴스 2025.05.26
48356 ‘통곡하는 가맹점’ 매출 45% 급감…‘백종원 리스크’ 어디까지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5.26
48355 이준석, 29일 동탄서 사전투표… 부정 선거론과 거리두기 랭크뉴스 2025.05.26
48354 이준석 “노무현 정신은 특정 정당·인물 전유물 아니다” 랭크뉴스 2025.05.26
48353 "이준석에게 특별히? 거짓말" 천호선 지적에 발끈했는지‥ 랭크뉴스 2025.05.26
48352 이수정, 투표 독려 현수막 특수문자 보고 ‘1’ 억지…“ㅇ1수정이냐?” 랭크뉴스 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