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담관암을 비롯한 담도계암이 생기는 담낭(쓸개)·담관의 구조. 국가건강정보포털 제공


담관암을 포함한 담도계암 발생률은 한국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다. 민물고기를 날것으로 섭취해 기생충에 감염되면 위험이 커지지만 암 발병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때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담관은 간에서 생성된 담즙이 담낭을 거쳐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 경로로, 담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이 바로 담관암이다. 한국은 담관암을 비롯해 담낭암, 십이지장 유두부암을 포함한 담도계암의 발생률이 2022년 기준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1위인 칠레에선 담낭암이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 밖의 담도계 암종에선 한국이 가장 높은 발생률과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담관암은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흐름에 따라 세계적으로도 증가하는 추세다. 다만 국내에선 이와 함께 담관암의 대표적 위험 요인 중 하나인 간흡충(간디스토마) 감염이 담도계암 발생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김효정 고려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간흡충은 담관에 기생하면서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담관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며 “한국은 민물 회를 즐기는 문화가 일부 지역에 남아 있어 간흡충 감염률이 높은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민물고기를 생으로 먹는 식습관은 매우 위험해 반드시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담관암은 조기 진단이 어려운 탓에 대부분 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어 수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항암치료 효과도 낮아 췌장암보다도 예후가 더 나쁜 암으로 알려져 있다.

발견이 어려운 이유는 담관이 자리 잡고 있는 해부학적 위치와 관련이 있다. 담관은 간 내부에서 혈관처럼 여러 방향으로 퍼졌다가 하나로 합쳐져 간 바깥으로 나오는 구조로 돼 있다. 담관암은 발생 위치에 따라 간 내·간 외로 구분하는데, 특히 간 내 담관암은 부피가 큰 간 안에서 잘 드러나지 않다 보니 종양이 커져서 간 밖으로 돌출되거나 간의 넓은 부위를 침범해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담관암 초기에는 통증 같은 자각 증상이나 특별한 신체 변화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도 특징이다. 간 외 담관암 역시 간 외부의 담관이 완전히 막혀 담즙 배출이 차단되기 전까지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증상을 알아채고 검사를 하는 시점에선 이미 병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증상은 황달로, 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고 소변 색이 짙어진다. 이 외에도 복부 통증, 체중 감소, 식욕 부진, 이유 없는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다.

영상·혈액검사로도 쉽게 찾아내기 어려운 점도 문제다. 간 내 담관암은 종양의 크기가 1㎝ 이상이면 초음파 검사로 발견할 수 있지만, 더 흔한 간 외 담관암은 일반 건강검진에서 시행하는 초음파 검사로는 간 외 담관의 극히 일부만 관찰할 수 있다. 또 담관 벽은 두께가 1㎜ 이내로 매우 얇다. 암이 발생해 벽이 두꺼워지더라도 그 변화가 미미하고 더디게 진행돼 정밀 영상 검사로도 초기의 미세한 변화까지 감지하기 쉽지 않다. 아직 담관암에 특화된 혈액검사가 없는 점도 조기 진단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다.

담관암은 수술이 가능한 환자의 비율이 20~30%에 불과해 치료도 어렵다. 담관은 다른 장기들이 복잡하게 얽힌 위치에 자리 잡고 있고 특히 간문맥·간동맥 등 주요 혈관과 가까워 수술이 어렵다. 또 보이는 병변보다 실제로 침범한 범위가 넓은 경우가 많아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완전 절제 비율도 낮다.

수술이 어렵다면 표적치료제·면역항암제 등을 활용한 항암치료로 암의 크기를 줄이고 진행을 늦추는 치료를 시행한다. 담관이 막혀 발생할 수 있는 담도염을 예방하고 담즙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스텐트 삽입 등의 처치도 병행할 수 있다. 김효정 교수는 “담관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담석증, 만성 간염 등 담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적절히 치료하고, 만성 염증 환자는 간 기능 혈액검사 및 복부 영상 검사를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37 악수하는 김문수 후보-김혜경 여사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6 트럼프 ‘하버드 외국 학생 차단’에 벨기에 왕세녀도 불똥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5 국민의힘 "이재명, 과거 부정선거 발언 부정하며 적반하장식 궤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4 이재명 “비법조인에 대법관 자격, 섣부르다…민주당 입장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3 이재명 “비법조인 대법관 법안 제 입장 아냐…당내 자중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2 리얼미터 "이재명 46.6%·김문수 37.6%·이준석 10.4%‥1·2위 격차 9%p"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1 “연금도 갈라치나” “3천만 원 손해인데?”…연금 발언 모음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0 25년 동안 “하반신 마비” 연기…보험금 18억 챙긴 70대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9 성인용 로봇이 말했다, “우리 친구부터 시작하자”…시작할 수 있을까? [특파원 리포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8 이준석, 국민의힘 단일화 압박에 "이재명 집권 도우미 될 꺼냐"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7 민주당, 권영국 1%에 ‘흠칫’…설난영 광폭행보엔 ‘반색’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6 ‘박정희 리더십’ 띄우는 김문수… 대구서 박근혜 예방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5 [시승기] 몸집 커져도 주행감은 그대로… 미니 컨트리맨 전기차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4 이재명 "비법조인 대법관 섣불러…민주당이나 제 입장 아니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3 청주시, 이름에 ‘마약’ 들어간 간판 바꾸면 최대 200만원 지원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2 이재명, ‘생애 첫 투표’ 고3 표심 잡기…김문수, 박정희 생가서 보수층 결집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1 '극적 휴전' 印·파키스탄, 상호 영공 내 비행금지 1개월 연장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0 설난영 “김문수, 법인카드 규정 엄수… 돈 무서워하는 사람”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9 '박정희 정신' 앞세운 김문수, 박근혜 전 대통령 예방…지지율 격차 좁힐까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8 李 “‘비법률가 대법관 임명’ 추진, 섣불러… 민주당 입장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