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이 지난 1월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5개월 반 동안 한 번도 말씀 못 드린 건데….”

지난 20일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재판에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증인석에 섰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계엄 당시 직접 통화한 인물이다. 군검찰 조사 때를 제외하면 그의 입에서 윤 전 대통령의 지시사항이 나온 적은 없었다. 그러던 이 전 사령관이 처음으로 법정에서 조심스럽게 ‘그날의 기억’을 말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2월3일 밤 11시30분쯤, 이 전 사령관은 오상배 전 수방사 부관(대위)과 차량을 타고 국회에 도착했다. 국회를 한 바퀴 정도 돌았을 때였다. 오 대위가 들고 있던 이 전 사령관 비화폰에 ‘대통령님’이라는 단어가 찍혔다. “대통령 전화입니다.” 이 전 사령관은 이 전화를 시작으로 윤 전 대통령과 총 네 차례 통화했다. 처음 두 차례 통화할 때까지만 해도 이 전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이 ‘허락 없이 국회에 들어간 사람들’을 끌어내라고 지시한 것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세 번째 통화에서 이 전 사령관은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수화기 너머 윤 전 대통령의 목소리가 들렸다. “발로 차서라도 부수고 들어가야 하는 거 아니냐”. 통화 초반만 해도 이 전 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이) 엄청 화가 났구나, 현실에서 이탈됐구나’ 생각했다”고 했다. ‘테러를 소탕하라’는 뜻인 줄 알았던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일 수 있다는 걸 처음 인지한 것도 이때였다. 통화가 끝날 때쯤, 이 전 사령관은 ‘블랙아웃’이 왔다.

“같은 이야기(국회에 못 들어가고 있다)를 말씀드렸더니 굉장히 화를 많이 냈습니다. (…)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저도 뭔지 모르겠지만 블랙아웃이 됐습니다. 오 대위의 진술서를 보면 대통령이 6~7번 얘기하는데 제가 대답을 안 하고 가만히 있더라고요. 아무 생각이 안 났고, 아무 반응도 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이 전 사령관은 국회에서 계엄 해제 요구안이 의결된 뒤 연결된 네 번째 통화는 아예 기억하지 못했다. 통화기록만 남아있을 뿐이었다. 앞서 오 대위은 법정에서 윤 전 대통령이 이 전 사령관과의 마지막 통화에서 “결의안이 통과됐다고 해도 내가 두 번, 세 번 계엄 하면 되니까 너네는 계속 해라”라는 취지로 말했다고 증언했다.

‘이재명 체포조’로 출동한 소령
“어디 태울지도 몰라···임무수행 부정적이었다”

같은 날 법정에는 국회 출동 당시 ‘이재명 체포조’로 출동한 방첩사 소속 신모 소령도 증인으로 나왔다. 신 소령은 지난해 12월3일 밤 11시50분쯤 김대우 전 방첩사 수사단장으로부터 ‘이재명’ 세 글자와 함께 “체포조로 출발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신 소령은 “‘아, 체포인가’ 당황하면서 나갔습니다”라며 당시를 떠올렸다.

약 50분 뒤, 김 전 단장은 신 소령 등과 단체 통화를 하며 “우원식, 이재명, 한동훈 3명 검거에 집중하라. 포박해서 수방사로 데려가라”고 다시 전했다. 국회에서 계엄 해제 요구안이 의결되기 전이었다. 신 소령은 이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전달받지 못했고, 우원식 국회의장에 대해선 “차 안에서 네이버로 누군지 얼굴을 찾아봤다”고 말했다.

체포를 위해 부대원 5명이 함께 차 한 대에 탑승했지만 분위기는 부정적이었다. 체포한 인원을 어디에 태워야 할지부터 알 수 없었다. 부대원들은 ‘5명이 한 차를 타고 왔는데 이재명을 어디에 태우냐’ ‘차량을 두 대 가져가야 하나’ 같은 대화도 나눴다. 신 소령은 ‘임무수행에 부정적이었던 것인가’라는 군검찰 질문에 “예”라고 답했다. 당시 방첩사 부대원들은 국회 인근에 차량을 세워둔 채 대기하며, 체포조를 지원하러 온 경찰과 연락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문 부수고 들어가겠습니다’ 곽종근 복창 등
뚜렷해져 가는 ‘국회 체포조 지시’ 관련 정황들

불법계엄 관련 재판들이 무르익어 가면서 법정에서는 계엄의 진실들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이 전 사령관에게 충격을 준 ‘문 부수고 들어가라’는 지시는 지난 19일 윤 전 대통령 재판 증인으로 출석한 박정환 특전사 참모장(준장) 진술에서도 언급됐다. 박 준장은 계엄 당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병력 투입 지시를 받는 통화 장면을 목격했다. 박 준장은 곽 전 사령관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상관으로 추정되는 인물과 통화하며 “문 부수고서라도 들어가겠습니다!”라고 복창했다고 밝혔다.

지난 20일 군사법원 재판이 끝나갈 무렵, 여인형 전 국군 방첩사령관 측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 대한 증인 신청을 철회했다. 그간 여 전 사령관은 ‘체포조 메모’를 두고 홍 전 차장과 기억을 달리했다.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에서는 증인으로 나와 “홍 차장의 진술에 대해서는 따져야 할 부분이 많다”며 신빙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여 전 사령관 측이 홍 전 차장에 대한 증인신문 의사를 접은 것은 홍 전 차장이 밝힌 사실들을 문제 삼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한편 2차 공판부터 비공개로 열린 김 전 장관 등 군 지휘부에 대한 재판은 지난 23일 구삼회 육군 2기갑여단장(준장)부터 공개로 전환했다. 앞서 재판부는 정보사 측에서 비공개를 전제로 정보사 관계자들의 증인 출석을 승낙한 점을 고려해 총 6차례 비공개로 증인신문을 진행했다.

‘총 쏴서라도 끌어내’ 지시에 99년생 군인은 생각했다…“이건 진짜 아니다” [법정 417호, 내란의 기록①]지난 12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 심리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세 번째 공판기일에는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부관 오상배 대위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바짝 깎은 머리에 군복 차림을 하고 재판정에 성큼성큼 들어선 오 대위는 증인 선서를 하기에 앞서 재판부에 비공개 진행을 요청했다. “발언이 세상에 공개되는 것에 대해 심리적 부...https://www.khan.co.kr/article/20250517060004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18 李 “‘비법률가 대법관 임명’ 추진, 섣불러… 민주당 입장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7 국민의힘 "민주당의 '지귀연 스토킹' 심각한 수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6 청주시, '마약' 단어 포함 간판 바꾸면 최대 200만원 지원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5 이재명 경기 남부 돌며 수도권 공략···김문수, 경북 돌며 박근혜 찾아[대선 D-10]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4 [단독] ‘문학사상’ 재창간호 뒤집은 이중근 뒤에 ‘강만수’ 있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3 [단독] 李 ‘부정선거 발언’ 논란… 개혁신당 “고발 안해, 국민이 판단”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2 “손흥민은 우리 영웅들 이끈 레전드”…유로파 우승 퍼레이드에 런던 들썩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1 대선 후보 현장 라이브 05.24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10 대선 D-10‥수도권·경북 주말 총력 유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9 한동훈 "절체절명의 선거, 친윤 구태 청산만이 이재명 이기는 유일한 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8 이재명 51.1 vs 김문수 43.9%…이재명 48.9 vs 이준석 37%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7 “친윤구태청산” “친윤 떨거지”… 독해진 한동훈의 입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6 김문수, 오늘 박근혜 전 대통령 예방…후보 선출 후 첫 만남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5 “꿈이 역사를 만든단 말씀 생생해” 노 전 대통령 추도사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4 트럼프,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승인…“140억달러 효과”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3 [인터뷰] KAIST 교수 된 충남대병원장 “전 세계 100만명 건강 정보 모아 수명 늘리겠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2 [속보] 김문수, 박근혜 전 대통령 만난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1 ‘사퇴’ 표기 데드라인 24일인데…이준석 “내란세력 함께 할 일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00 국민의힘 "'도지사 전화 갑질'은 프레임, '형수 욕설'은 사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99 "까나리액젓으로 상간남에 복수"…변호사도 놀란 방법 [이혼의 세계] new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