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후위기 토론, '재생에너지 vs 원전' 구도
김문수 후보 "원전이 싸고 안전하다" 주장
이준석, 이재명에 "한국 원전 불신하나?"
이재명 "당장 싸도 폐기물 처리, 사고 우려"
권영국 "이준석, 기후 공약 자체가 없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왼쪽부터),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체 발전량 중 원자력 비중을 60%까지 올리자는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공약에 대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한국 기업들이 RE100(재생에너지 100%)을 달성해야 하는데 재생에너지 수요는 어떻게 감당하냐"
며 직격했다. 김 후보는 "RE100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발전 단가가 저렴한 원전 확충을 주장했다.

23일 열린 대선 후보 2차 토론(사회 부문)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 대 원자력 발전' 구도가 지난 1차 토론회보다 더욱 강하게 부딪혔다. 이재명 후보는 '기존 원전과 수명 연장이 가능한 안전한 원전은 계속 쓰되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가자'는 입장이고,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값싼 원자력 발전 단가와 수출 산업으로서의 원전 유망성을 강조하고 있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는 탈핵과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60%를 주장한다.

지난해 기준 발전원별 비중은 원전 31.7%, 석탄 28.1%, 액화천연가스(LNG) 28.1%, 신재생 10.5%, 기타 1.6%인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면 석탄과 LNG를 대체할 발전원을 찾아내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원전 확대론자'인 김 후보는 지난달 발표한 공약에서
'원자력 발전 비중을 60%(대형 원전 35%·SMR 25%)까지 늘릴 경우 전기료 반값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다'
고 밝힌 바 있다.

김 후보 공약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원전 하나를 짓는데 10년, 15년이 걸리고 RE100 에너지원에는 원전이 포함되지 않는다"며 "RE100 제품만 사겠다는 글로벌 기업 수요에 맞춰야 하는데 어떻게 감당할 생각이냐"고 지적했다. RE100은 기업의 사용 전력을 재생에너지 100% 전환하자는 캠페인으로 구글, 애플,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전 세계 440여
개 기업이 참여
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 내 협력사들에게 RE100을 요구해 국내 기업들도 재생에너지 확보가 시급하다.

그러나 김 후보는 "RE100이 좋은 구호지만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RE100이 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지나지 않으면 안 돼서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배출된 탄소량에 따라 관세를 매기는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도 있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반박했다. CBAM은 당장 내년 1월부터 본격 시행된다.

김 후보는 "전 세계 30여 개국이 원자력 발전만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대안이라고 했다"며 원전 확대를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자력 에너지 발전량을 세 배로 확대하겠다'는 선언에 한국, 미국, 캐나다, 프랑스 등 31개국이 서명한 사실을 거론한 것이다. 하지만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3배 확대' 서약에 동참한 국가는 지난해 11월 기준 133개국으로 재생에너지 확대가 '글로벌 표준'에 훨씬 가깝다고 평가받는다.

원자력 안전성 문제를 두고도 후보자들 간 논박이 이어졌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를 향해 "후쿠시마·체르노빌 사고를 얘기하며 한국 원전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재명 후보는 "한국 원전을 불신한 적은 없다"면서 "당장은 원전이 (생산 비용이) 싼 게 맞지만 폐기물 처리 비용이나 사고 비용을 고려하면 엄청 비싼 에너지일 수 있다"고 답했다.

권영국 후보 역시 김문수 후보를 향해 '원전 폐기물 문제'에 대한 대안이 없는 점을 꼬집고, 이준석 후보에게는 '기후 공약이 없다'고 비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080 치킨값 다시 오르나…브라질산 닭고기 일부 수입 허용[Pick코노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9 대서양 무역전쟁 먹구름…트럼프, 내달부터 EU에 50% 관세 위협(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8 [대선 D-10] 후반 레이스 돌입…지지율 격차 축소 속 단일화 변수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7 "한마리는 방에, 한마리는 부엌에…우리 집 강아지 두마리" [김성칠의 해방일기(21)]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6 “미국, 주한미군 4,500명 괌 등 다른 지역으로 이전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5 '1위 이재명' 맹추격하는 김문수, 이준석도 상승세... 보수 총결집에 대선판 '꿈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4 '관세충격' 없는걸까, 한∙중∙일 4월 글로벌 수출 늘어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3 EU, 트럼프 50% 관세 위협에 "이익 방어할 준비돼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2 트럼프 “해외 생산 스마트폰에 관세 25%…삼성 등 모두 해당”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1 [오늘의 날씨] 24일 전국 흐리고 비…남부 해안 강풍 주의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70 전국 흐리고 곳곳 비…낮 최고 15∼21도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9 [뉴욕증시-1보] 'EU 관세 50%' 트럼프 위협에 동반 하락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8 트럼프, 원자력 산업 재건 나섰다…2030년까지 대형원자로 10기 착공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7 경매낙찰 아파트 시신 나왔다…해외여행 다니넌 84년생 비극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6 '샤넬백 일련번호' 스모킹건 찾았다, 건진 청탁의혹 수사 급물살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5 트럼프, 해외 생산 스마트폰 관세 25% 시사…“삼성도 해당”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4 주한미군 4500명 감축설…中견제 위해 진짜 감축? 한미 관세 협상용?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3 김건희 비서, 샤넬백 바꾸며 85만원 웃돈…"尹 캠프 인사 동행"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2 [속보] 트럼프, 다른大도 유학생 금지하나 질문에 "많은 것 보고 있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061 최악 폭염 온다···기상청 “올여름 평년보다 더워” new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