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샤, 스킨푸드 등 국민 화장품의 귀환
K뷰티 1세대, 인디 전략 장착
글로벌 시장 다시 두드린다

한때 ‘국민 화장품’으로 불리며 대중적 인기를 끌었던 케이(K)뷰티 1세대 브랜드들이 부활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샤, 스킨푸드, 비디비치, 토니모리 등은 브랜드 재정비와 글로벌 확장을 앞세워 침체기를 딛고 실적이 개선됐다.

이들 브랜드는 2000년대 중후반부터 2010년대 초까지 가성비를 무기로 한 ‘로드숍’ 모델로 시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소비 패러다임이 온라인 중심으로 급변하고, 중국 시장 내 한한령(限韓令)이 장기화하며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단독 매장을 기반으로 한 유통 구조는 올리브영 등 복합 편집숍에 밀려 구시대적인 모델로 전락했다.

미샤(MISSHA)는 미국 아마존(Amazon)이 진행한 '빅 스프링 세일'(Big Spring Sale)을 통해 3월 한 달간 BB크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28% 증가했다고 밝혔다./미샤 제공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타고 부상한 인디 브랜드들은 ‘저자극·클린뷰티’ 등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MZ세대(1980년~2000년대 출생자)의 선택을 받았고, 1세대 브랜드들은 상대적으로 그 흐름에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참고로 클린뷰티란 피부에 유해한 성분을 배제하고, 자극이 적은 성분 위주로 만든 화장품을 일컫는다.

그러나 최근 이들 브랜드는 빠르게 전략을 수정하고 반등에 성공하고 있다. 미샤를 운영하는 에이블씨앤씨는 2023년 매출 2645억원, 영업이익 203억원을 기록하며, 2020년의 680억원 영업손실에서 완연히 회복했다. 특히 전체 매출의 56.4%가 해외에서 발생하며 글로벌 K뷰티 수요를 입증했다. 스킨푸드 역시 같은 해 매출이 781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200억원 늘었다. 토니모리도 2023년 96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7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들 모두 미국, 일본, 대만 등지로의 진출 확대가 실적 반등의 핵심으로 꼽힌다.

대기업 계열 브랜드들도 예외는 아니다. 신세계인터내셔널은 비디비치 브랜드 20주년을 맞아 전면적인 리뉴얼에 나섰다. 로고와 패키지를 모두 변경했고, 글로벌 확장 전략에 힘을 싣고 있다. 실제로 신세계인터내셔널의 2025년 1분기 전체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에서도 비디비치는 전년 동기 대비 20%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코스메틱 부문 성장을 견인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부활의 배경으로 ‘인디 뷰티 공식’의 흡수를 꼽는다. 기존의 대형 브랜드들이 인디 브랜드들이 성공적으로 활용한 전략 ▲핵심 제품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 ▲클린뷰티 및 윤리적 소비 가치 강조 ▲감성 브랜딩 등을 전략적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미샤의 ‘비타씨 앰플’, 스킨푸드의 ‘당근 패드’처럼 단일 히트 제품에 집중한 마케팅이 대표 사례다. 유통 채널도 변화했다. 이들은 과거 단독 매장 대신 올리브영, 다이소, 무신사 등 멀티 브랜드 채널에 적극 입점하며 소비자와의 접점을 다시 넓히고 있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1세대 브랜드들은 검증된 제품력과 합리적인 가격대를 기반으로 국내외 유통 채널 다변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최근 인디 브랜드 붐과 맞물리며 브랜드 유산을 다시 조명받는 계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07 트럼프 밈코인 거액 투자자 행사에 한국인들도 초청받아 랭크뉴스 2025.05.24
47606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승인… "19조원 투자해 파트너십" 랭크뉴스 2025.05.24
47605 포로교환 직후 키이우에 대규모 공습…젤렌스키 "러 전쟁 끌어"(종합) 랭크뉴스 2025.05.24
47604 '위기감' 끌어올린 이재명 "바짝 신경 안 쓰면 내란세력 다시 돌아와" 랭크뉴스 2025.05.24
47603 민주당 "대선 사실상 양자대결‥보수 단일화해도 지지율 떨어질 것" 랭크뉴스 2025.05.24
47602 하루 11번 분화…日사쿠라지마 화산, 일주일째 '검은 연기' 공포 랭크뉴스 2025.05.24
47601 국민의힘 “李 ‘박근혜 부정선거’ 허위 해명” 형사 고발 랭크뉴스 2025.05.24
47600 코로나19, 중국이 기원지였나…펜데믹 5년 전 이미 유행 랭크뉴스 2025.05.24
47599 [크랩] 8분 순삭! 2차 대선 토론 핵심만 모아봤습니다 랭크뉴스 2025.05.24
47598 이재명 “윤석열 외환죄 책임 물어야…국힘은 보수 아닌 극우” 랭크뉴스 2025.05.24
47597 민주 “김문수 도지사 때 소방헬기 162회 사용, 황제 행세” 랭크뉴스 2025.05.24
47596 이재명 “제가 미워도 내란세력 결코 안 돼···당선되면 주가 오를 것” 랭크뉴스 2025.05.24
47595 백악관, NSC 직원 다수 돌연 해고·면직‥조직 축소 시동 랭크뉴스 2025.05.24
47594 "中곳곳서 임금체불 항의 시위…공장 방화에 저임금 논란도" 랭크뉴스 2025.05.24
47593 러·우크라 포로교환, 평화 첫 단추?…여전히 동상이몽 랭크뉴스 2025.05.24
47592 “누가 대통령돼도 오른다”...코스피 3000 기대감 ‘솔솔’ 랭크뉴스 2025.05.24
47591 "산이 부풀어 올랐다…각별한 주의 필요" 日 '활화산'에 불안감 확산 랭크뉴스 2025.05.24
47590 이재명 “부정선거 했으면 내가 이겨야지 왜 윤석열이 이기나” 랭크뉴스 2025.05.24
47589 생활비 오르는데, 정부는 "물가안정"…국민 화나게 한 착시 랭크뉴스 2025.05.24
47588 다급한 김문수 쪽, 이준석에 “정치적 셈법 없다” 단일화 또 압박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