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산 재입주'보다는 '청와대 복귀'
李 지지층에서 용산에 강한 반감
'용산행' 예고한 이재명 구상 차이
충청 빼고 세종시 이전엔 속도조절

편집자주

경마식 여론조사의 한계가 뚜렷합니다. 한국일보는 지지율 숫자를 뽑아내는 데 그치지 않고, 대선의 의미, 후보 역량과 자질, 공약 평가 등을 심도 있게 살피고자 일간지 최초로 유권자 3,000명 규모의 대선 인식 '웹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총 5회 심층조사로 국민의 위대한 선택을 안내하겠습니다.
지난달 15일 촬영된 서울 종로구 청와대 관저. 연합뉴스


'용산보다 청와대.'

차기 대통령 첫 집무실로 절반에 가까운 유권자는 청와대로의 복귀를 희망했다. 현재의 용산 대통령 집무실로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은 22%에 그쳤다. 유력주자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일찌감치 용산행을 예고했지만, 이재명 후보 지지층은 청와대를 점찍으며 차이를 보였다. 세종 대통령실 집무실 이전의 경우 천천히 진행해야 한다는 신중론이 다수였다.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공개한 대선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유권자 45%는 '다음 대통령은 처음에 어디에서 일하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청와대로 복귀해야 한다"고 답했다. △용산 대통령실 재입주(22%) △세종시 이전(16%) △모르겠다(12%) △서울정부종합청사로 새로 이전(5%)이 뒤를 이었다.

아무도 원하지 않는 용산, 청와대 1순위



'청와대 복귀'는 이념 성향, 후보 지지 여부와 무관하게 대체적으로 앞섰다. 특히 이재명 후보(58%)와 더불어민주당(59%) 지지층이 상대적으로 청와대 복귀를 더욱 원했다. 이 후보 고정지지층의 경우 청와대 복귀(60%), 세종시 이전(16%), 용산 재입주(12%)순으로 용산이 꼴찌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사용했던 용산 집무실에 대한 거부감이 이재명 후보 지지층에서 매우 강하게 퍼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통령 당선 시 용산 대통령실을 임시로 쓰다가 청와대로 복귀한 뒤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한다"는 이재명 후보의 구상과는 다소 배치되는 결과다. 중도층과 지지 후보를 정하지 않은 유동층의 선택도 청와대였다. 각각 48%, 46%가 청와대로 복귀를 가장 희망했고, 용산 집무실 재입주는 17%, 14%에 그쳤다.

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고정 지지자는 49%가 용산 대통령실 재입주를 희망했다. 다만 청와대 복귀 희망도 30%나 됐다. 보수 성향 유권자들도 '용산 재입주'(39%)와 '청와대 복귀'(34%) 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 윤석열 정부가 무리하게 밀어붙인 용산 대통령실 이전을 되돌려야 한다는 민심이 적지 않은 것이다. 당시에도 용산 이전 찬반은 6대4 수준으로 반대가 더 많았다.

충청 빼고 세종 이전 난색... 신중론 다수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관련해선 서두를 필요 없다는 의견이 절반을 넘었다. 대통령실 세종시 이전 시기를 묻는 질문에 유권자의 53%가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해야 한다"고 답했다. "당선 후 가급적 빠르게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은 21%에 그쳤고, "다음 대통령 임기가 끝날 때쯤이나 그 후에 해도 된다"는 의견도 10%나 됐다. 신중론엔 정파와 이념을 가리지 않았다. 이재명 후보 지지층(59%), 김문수 후보 지지층(55%)은 물론 진보(57%) 보수(56%) 중도(50%) 성향 유권자 등 절반 이상이 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몰아붙여서는 안 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민심이 갈린 건 역시 충청이었다. 충청강원 지역 유권자 30%는 대통령이 당선되면 가급적 빠르게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이동시켜야 한다고 봤다. 다른 지역 유권자들의 찬성률이 10~20%대에 그친 것과 차이다. 충청 지역 유권자들이 차기 대통령의 첫 집무실로 세종을 희망한 비율도 24%로 다른 지역보다 높았다. 행정수도 이전에 따른 지역 간 이해관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일보 여론조사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838 ‘설상가상’ 황정음, 전 남편에 18억원 부동산 가압류 당해 랭크뉴스 2025.05.23
51837 경찰, 사회복무요원 ‘부실근무’ 의혹 위너 송민호 송치 랭크뉴스 2025.05.23
51836 [비즈톡톡] 불에 달군 칼도 못 자르는 케이크가 인기?… ‘밈’이 돈 되는 식품업계 랭크뉴스 2025.05.23
51835 화학적 거세 확대한다는 ‘이 나라’…"재범율 60% 감소할 것 랭크뉴스 2025.05.23
51834 경찰, 尹 비화폰 서버 확보… ‘계엄 판도라 상자’ 열리나 랭크뉴스 2025.05.23
51833 트럼프 ‘하버드 유학생 비자 박탈’,지지층 결집 노림수 논란 랭크뉴스 2025.05.23
51832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 “이준석, 28일쯤 단일화 할 듯” 랭크뉴스 2025.05.23
51831 전동화한다던 GM의 변심… 난감해진 韓 배터리 업계 랭크뉴스 2025.05.23
51830 올여름도 평년보다 덥다…기상청, 여름철 기상 전망 발표 랭크뉴스 2025.05.23
51829 윤재옥 "김문수 지지율 상승세…이 추세면 사전투표 전 역전" 랭크뉴스 2025.05.23
51828 충격에 빠진 하버드·불안에 떠는 유학생… “재정·학문적 역량 타격”[뉴스분석] 랭크뉴스 2025.05.23
51827 25년간 하반신마비 행세해 보험 급여 18억원 타낸 70대 실형 랭크뉴스 2025.05.23
51826 Z세대가 바라는 4.5일제 조건은 “연봉 그대로” 랭크뉴스 2025.05.23
51825 盧 수도 이전 개헌 띄운 이준석 "3당 합당 거부한 노무현 닮고 싶다"... 단일화 선 긋기 랭크뉴스 2025.05.23
51824 [르포] 명동 피규어샵에 중국인 100명 ‘오픈런’… “中에 리셀, 한 번에 200만원도 법니다" 랭크뉴스 2025.05.23
51823 [단독] ‘금융거물’ 골드만삭스 차기 CEO, 이창용·이재용·김병주 만났다 랭크뉴스 2025.05.23
51822 지귀연 부장판사, “술 접대 아니다” 대법원에 소명서 제출 랭크뉴스 2025.05.23
51821 홍준표 수사하는 경찰…검찰에 있는 ‘명태균 휴대전화’ 확보 고심 랭크뉴스 2025.05.23
51820 정말 4500명 괌으로? 주한미군 감축설 다시 나온 이유는 랭크뉴스 2025.05.23
51819 민주당 박범계 ‘변호사 자격 없어도 대법관’ 추진…국힘 “사법 독재” 랭크뉴스 2025.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