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국민의힘이 어제 1만여 명으로 추산되는 전국의 교사들에게 '대선 교육특보로 임명한다'는 문자를 보냈다가 사과했는데요.
그동안 교원의 정치 참여 반대는 물론이고, 교사의 개인적 의사 표현마저 문제 삼았던 국민의힘인데, 파문이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제은효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국민의힘이 어제 불특정 교사들에게 발송한 문자메시지입니다.
첨부된 주소를 누르면 김문수 후보의 이름이 박힌 '교육특보' 임명장이 뜹니다.
지금까지 교사노조 소속 최소 6천5백여 명과 전교조 2천여 명 등이 문자를 받은 걸로 파악됐습니다.
교총 소속 교사와 퇴직자, 교육청 장학사들까지 모두 1만 명을 넘을 걸로 전교조는 추산하고 있습니다.
[강원 초등교사]
"페이스북이나 '좋아요'도 조심하는 선생님들인데 거꾸로 이런 정당에서 개인정보가 그대로 돼 있다고 하니 (개인정보가) 어디까지 유출됐을까…"
현행법상 정치 활동이 금지된 교사들이라 당혹감이 더 클 수밖에 없습니다.
[경기 고교교사 (음성변조)]
"이런 임명장으로 받는 걸로 징계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므로 불안하고 황당했던 것이죠. 화가 나고…"
국민의힘은 그간 교원의 정치 활동을 보장하라는 전교조 등 교사단체의 요구에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 왔습니다.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 (2022년 5월)]
"헌법에 규정돼 있는 내용입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교사가 정치 편향적인 수업을 해서는 아니 됩니다."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한 교사를 징역형에 처하는 법안을 내는가 하면,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선고 중계를 학교에서 보여주는 것도 문제 삼았습니다.
심지어 문자메시지 파문이 불거진 어제도 "교실의 정치 오염을 막겠다"며 일부 학부모들의 지지 선언을 공개하는 등 촌극을 빚기도 했습니다.
[김민전/국민의힘 의원 (어제)]
"교사들의 정치 활동을 전면적으로 보장한다라고 하면 우리 아이들이 있는 교실이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우려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교사들은 어이없다는 반응입니다.
[충남 중등교사]
"(교사들에게) 정치 중립 의무를 반드시 지키라고 하면서 여러 가지로 괴롭혔던 기억들이 있습니다. 유튜브나 이런 데에 정치, 좋아하는 연설가 '좋아요' 버튼만 눌러도 그거 가지고 문제 삼은 적도 있어요. 사실 그 당이 그 당이거든요."
국민의힘은 전화번호를 제공한 캠프 관계자를 해촉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전교조와 교사노조는 "명백한 개인정보보호법 공직선거법 위반"이라며 해당 관계자를 경찰에 고발했습니다.
MBC뉴스 제은효입니다.
영상취재: 이관호, 황주연 / 영상편집: 박병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