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작년기준 月소득 299만원 넘는 국민연금 수급자 소득 따라 최대 '절반' 감액

감액자 2019년 9만→2024년 13만7천명 '급증'…작년 감액연금 총 2천429억원


국민연금 노령연금 (PG)
[권도윤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은퇴 후에도 생활비 한 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소득 활동에 나선 국민연금 수급자들이 오히려 연금이 깎이는 불합리한 상황이 해마다 반복돼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작년 한 해에만 무려 13만7천61명이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 제도'로 인해 받아야 할 노령연금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 일하는 고령층의 근로 의욕을 꺾고 노후 소득 안정을 저해한다는 비판과 함께 제도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월소득 299만원 넘으면 연금 최대 절반 '싹둑'…고령화사회 현실과 괴리
22일 보건복지부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현행 국민연금법은 노령연금 수급자가 연금 외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필요경비 공제 후), 임대소득 등이 발생해 월평균 소득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초과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5년간 연금액의 일부를 깎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점인 'A값'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최근 3년간 평균소득 월액을 뜻하며, 2024년 A값은 월 298만9천237원이었다. 노령연금을 받는 어르신이 일을 해서 한 달에 299만원 이상을 벌면 연금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의미다.

감액되는 금액은 A값을 초과한 소득액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대 초과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면 초과액의 5%를,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이면 5만원에 더해 100만원 초과분의 10%를 추가로 삭감하는 방식이다. 소득이 아무리 높아도 연금액의 최대 50%까지만 감액된다.

(아래 표 참조)



이 제도는 1988년 국민연금 제도 시행 당시 "특정인에게 소득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막고 연금 재정의 안정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그러나 평균 수명이 늘고 고령층의 경제활동이 중요해진 현실에서 오히려 "노후소득 보장을 저해하고 고령자의 근로 의욕을 꺾는다", "열심히 일해서 세금도 냈는데, 연금까지 깎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역시 우리나라의 급격한 저출생·고령화를 지적하며 노후 소득 보장 강화를 위해 해당 감액 제도 완화를 권고한 바 있다.

감액자 수 꾸준히 증가…정부 폐지 방침에도 '지지부진'
국민연금공단 자료에 따르면 퇴직 후 재취업 등으로 소득이 발생해 노령연금이 삭감된 수급자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19년 8만9천892명이었던 감액 수급자는 2022년 12만7천974명까지 늘었다가 2023년에는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상향 조정 영향으로 11만799명으로 잠시 줄었지만 2024년에는 다시 13만7천61명으로 급증했다.

이들이 삭감당한 연금액 역시 상당하다. 2023년 한 해 동안 총 2천167억7천800만원이 삭감됐고, 2024년엔 총 2천429억7천만원에 달했다.



문제는 정부가 이미 해당 제도 폐지를 공식화했음에도 실제 개선이 더디다는 점이다. 복지부는 2023년 10월 발표한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안'에서 "노후 소득 보장을 강화하고 고령자 경제활동을 제고하고자 소득 활동에 따른 국민연금 감액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1년 넘게 가시적인 법 개정은 이뤄지지 않았고 그사이 연금 감액자는 계속 늘고 있다.

국회에서도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노령연금 감액 제도를 1년간 유예 후 폐지하는 내용의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는 등 제도 개선 움직임이 있긴 하지만 구체적인 성과는 미흡하다.

차기 정부 변화 기대…대선 후보들 "폐지 또는 완화" 한목소리
이런 상황에서 6·3 대선의 주요 후보들이 한목소리로 재직자 노령연금 감액 제도 개선을 약속해 차기 정부에서의 변화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크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일하는 어르신에게 적용되는 국민연금 감액을 개선하겠다"고 공약했으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역시 "근로소득에 따른 노령연금 감액 제도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기존 개선 의지에 더해 여야 대선 후보들까지 적극적인 제도 개선을 약속하면서 오랜 논란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249 김문수 “국회의원 10% 감축, 공수처 폐지”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8 김정은 눈앞서 부서진 北신형구축함…"용납못할 범죄행위" 격노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7 [속보] 코스피 2600선 붕괴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6 “대출 못 갚고 문 닫는다” 소상공인 폐업 50만 곳 연체 13조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5 이재명은 품고 김문수는 거리뒀다…달라진 '태극기 활용법' [대선 인사이드]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4 지하철 30분 앞당겨 운행…MZ노조 "반대" vs 서울시" 수요 많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3 [속보] 김문수 "국회의원 10% 줄이자... 불체포·면책특권도 폐지"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2 이재명 48.1% 김문수 38.6%…지지율 격차 ‘10%p 이내’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1 북한 “구축함 진수과정에서 엄중 사고”…김정은 “범죄행위”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40 우승 트로피에 이마 긁힌 손흥민 "누가 밀어서 상처났어요!"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9 경찰·구청, '지귀연 접대 의혹' 강남 주점 현장점검 시도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8 이재명 “기본사회위원회 둘 것…주4.5일·정년연장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7 이재명 48.1% 김문수 38.6%…양자대결땐 李 50.3% 金 43.5%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6 김문수 “대통령 되면 임기 3년으로… 국회의원 정수 10% 감축”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5 아시아권 코로나 재확산 '비상'‥"팬데믹 대비"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4 비트코인, 사상 최초 11만달러 뚫었다…랠리 어디까지 이어가나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3 이재명 48.1% 김문수 38.6% 이준석 9.4%[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2 북 "구축함 진수과정서 엄중 사고"…김정은 "용납못할 범죄행위"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1 [속보] 이재명 "기본사회 국가전담기구 설치… 출생부터 노후까지 소득 보장" new 랭크뉴스 2025.05.22
51230 [속보] 김문수 "국회의원 정수 10% 감축…선관위 특별감사위 도입" new 랭크뉴스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