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컴퓨텍스 2025’ 참석을 위해 대만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21일 타이베이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을 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에 대한 미국의 수출 통제 조치를 “실패한 정책”이라며 작심하고 비판했다. 그간 “중국과의 기술 격차는 크지 않다”라거나 “우리가 특정 시장을 떠나면 다른 기업(화웨이)이 그 자리를 대신할 것”이라는 등 불만을 완곡하게 드러냈지만, 이번엔 수위가 세졌다. 중국의 빠른 추격에 위기감을 느낀 엔비디아가 더는 여유 부리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음을 보여준다.

아시아 최대 정보기술(IT) 박람회 ‘컴퓨텍스 2025’ 참석차 대만에 머물고 있는 황 CEO는 21일 열린 글로벌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가 미친 영향과 정책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그는 “전반적으로 볼 때 수출 통제는 실패(failure)했다”고 잘라 말했다. 또 그는 “수출 통제가 오히려 화웨이 등 중국 기술 기업들이 경쟁력 있는 AI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데 속도를 내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자사의 인공지능(AI) 반도체 ‘H20’ 시리즈의 중국 수출길이 막히면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재고를 전액 손실 처리했다고도 설명했다.

황 CEO는 특히 중국이 독자적 기술력을 빠르게 키우고 있는 점을 경계했다. 그는 “4년 전 바이든 정부 초기에 엔비디아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95%에 달했지만, 지금은 50%에 불과하다”며 “사양 낮은 제품만 팔 수 있었기 때문에 평균판매단가(ASP)도 떨어져 그만큼 수익도 많이 잃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바이든 정부 당시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중국 전용 저사양 칩(H20)을 판매해왔지만, 지난 4월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며 이마저도 제한됐다. 엔비디아는 최근 공시를 통해 AI 칩 수출 제한 강화로, 올해 1분기에만 약 55억 달러(약 7조6000억 원)의 손실을 봤다고 밝혔다.

향후 H20보다 사양이 더 낮은 제품을 개발할 가능성은 일축했다. 황 CEO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 아키텍처(H100, H200 등의 기반 설계도 격)는 더는 추가로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며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진다”고 말했다.

중국 시장의 향후 전략적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황 CEO는 “이제 미국만이 AI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은 설득력을 잃었다”며 “수출을 막을 게 아니라 기술 확산을 통해 경쟁에서 앞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내년도 중국의 AI 시장 규모를 500억 달러(약 70조원)로 전망하며, 이 기회를 놓치는 건 전략적 실책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14%에 해당하는 170억 달러(23조6000억원)를 벌었다.

지난 19일 개막 하루 전 기조연설에 이어 간담회에서도 삼성전자는 언급되지 않았다. 이날 황 CEO는 ‘고급 패키징 기술을 가진 TSMC 외에 다른 팹(공장)을 이용할 가능성’을 묻는 질문이 나오자 “현재 다른 대안은 사실상 없다”며 선을 그었다. TSMC 외에 패키징 기술을 가지고 있는 삼성전자나 인텔과의 협력 가능성은 낮다는 의미다. 삼성전자는 패키징 역량을 키우고 있으나, 업계 1위인 TSMC와의 점유율 격차는 더 커지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삼성의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8.1%로, 전 분기(9.1%)보다 하락했다. 같은 기간 TSMC는 67%를 기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179 전설의 아이폰 디자이너 영입...오픈AI, 애플 뛰어넘을까?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8 미국 관세 폭탄에 최악의 경우 우리 수출 10.6%↓, 성장률 0.7%p↓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7 전국 교사에 국민의힘 ‘교육특보 임명’ 문자…개인정보 어떻게 샜나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6 남아공대통령 “남아공에 집단학살 없어”…트럼프 주장 재차 부인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5 “우화에 정색하고 있다”…이슈가 된 ‘이재명 호텔경제학’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4 [단독] 검찰 “계엄 선포문·포고령, 노상원 작성 가능성 커”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3 손흥민, 마침내 '무관의 한' 풀었다…토트넘 우승에 감격의 눈물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2 ‘투자자들이 美국채 외면한다’…국채 하락에 증시·달러도 흔들[데일리국제금융시장]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1 [영상] “또 투표 않게 잘 좀 해야”…‘뼈 때리는’ 재외 유권자 바람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70 법대 교수 "대선 사전투표 막아달라" 가처분신청…헌재서 기각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9 MBC, 故오요안나 괴롭힘 가해자 지목된 기상캐스터와 계약 해지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8 [비즈톡톡] 中 TV 추격에 매출 2위도 위태… 쫓기는 LG전자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7 [단독] 김혜경 “남편이 분열된 나라를 화합으로 이끌길 기도해요”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6 "6월 4일엔 새 대한민국"‥"다시 한번 박정희"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5 영화 ‘야당’을 본 마약 수사 브로커 ‘야당’의 영화평은?···“ 야당 시대 이제 끝났다”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4 미, ‘카타르 왕실 선물’ 항공기 인수…“대통령 전용기로 활용”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3 고글 쓰자 눈앞에 나타난 기체…항공기 정비 교육도 첨단 시대[르포]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2 “악귀 축출” 가스라이팅 하다 잔혹하게 살해…조카 해친 무당 이모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1 뇌물 논란에도 카타르 항공기 받았다…미 “트럼프 전용기로 활용” new 랭크뉴스 2025.05.22
51160 [속보] 손흥민의 꿈이 이루어졌다···‘생애 첫 우승’, 맨유 꺾고 유로파 정상 등극 new 랭크뉴스 2025.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