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대통령 선거일은 공휴일이지만 이날도 쉬지 못하고 일을 해야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투표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 택배노동자가 대표적인데요.
택배사들은 아직 이날을 휴무일로 지정하지 않은 가운데, '택배 없는 날' 지정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변윤재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화물차 뒷칸에서 택배 상자들을 쌓아 올린 뒤 손수레에 하나씩 옮겨 담고, 주택가 골목골목, 계단을 오르내리며, 상자들을 내려놓습니다.
15년째 택배노동자로 일하고 있는 백상엽 씨는 여태 투표를 거른 적 없는데, 이번만큼은 못 할 거 같은 걱정이 앞섭니다.
[백상엽]
"이번 투표가 되게 중요한 투표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정말 못할 수도 있겠구나."
사전 투표일은 모두 평일이라 시간을 짜내기 어렵고, 본 투표일도 화요일, 1주일 중 가장 일이 많이 몰리는 날이기 때문입니다.
다 같이 쉬면 모를까, 투표를 위해 시간을 내는 만큼 손해를 감수해야 합니다.
[백상엽]
"저희는 건당 수수료를 받는 특고직(특수고용직)이기 때문에, 배달을 하지 못하면 수입이 한 3~40만 원 정도 손해를 보기 때문에… 가장으로서 생각 안 할 수 없는 부분이거든요."
지난 2020 총선과 22년 대선 24년 총선 때에도 대부분의 택배업체는 배송을 멈췄습니다.
하지만 올해는 대부분의 회사들이 아직 6월 3일을 휴무일로 지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쿠팡이 점화시킨 배송전쟁에 다른 택배사들도 주 7일 배송, 새벽배송을 내걸고 참전하며 경쟁이 격화된 상황이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전국 택배 노조와 시민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투표권 보장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지현/참여연대 사무처장]
"국회와 각 정당에 요구합니다. 사각지대에 놓인 택배 노동자 등 비정형 노동자들의 참정권 보장을 위한 입장을 공개적으로 분명히 밝혀주십시오."
택배뿐 아니라 음식 등 각종 배달라이더, 프리랜서 등 이른바 비임금 노동자 860만여 명이 이런 투표 사각지대에 있는 걸로 추정됩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도 각 택배업체에 조속한 휴일 지정을 요구하고 나선 가운데, CJ대한통운 등 택배사들은 "참정권 보장을 위해 여러 대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습니다.
MBC뉴스 변윤재입니다.
영상취재: 강종수, 황주연 / 영상편집: 김현수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